quickmenu
PC 리뷰 홈  

그래픽카드와 CPU 성능 부족 문제, 그 차이를 제대로 알자

2006-04-03 00:00
이우용 수석기자 guyg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guygun@bodnara.co.kr

이번 기사는 Quad SLi 기사의 연장으로.. Quad SLi가 일반 환경에서 전혀 이득을 주지 못하는 이유인 CPU 성능 제한과 그래픽카드(GPU)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준비한 기사이다. 이 기사는 CPU의 클럭에 따라 그래픽카드(GPU)의 성능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는 것보다 CPU의 성능에 따라 그래픽카드 성능이 어떻게 제한을 받게되는가를 알아보아 잘못된 상식을 바로잡기 위해 진행한 테스트이다.

여기서 말한 잘못된 상식이란 많은 유저들이 알고 있는 CPU 성능과 그래픽카드(GPU) 성능의 상관관계에 대한 부분으로써 일반적으로 많은 유저들은 CPU의 성능이 높아지면 그래픽카드 성능도 높아진다고 생각하고 있다.

사실 유저들이 생각하고 있는 이러한 CPU와 그래픽카드(GPU)의 성능 관계도 틀린 정보는 아니다. CPU를 업그레이드하면 게임이 더 빨라지니 그래픽카드의 성능이 높아진다고 생각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하지만 필자가 지금까지 설명한 CPU와 그래픽카드(GPU)와의 관계를 생각해보면 이 정보는 틀린 정보이다.

Quad SLi에서도 설명하였듯이 지금의 게임들에서는 CPU의 성능이 충분하지 못하여 그래픽카드(GPU)가 제성능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두 개의 GPU를 사용하는 SLi등의 멀티 GPU 랜더링의 테스트 결과와 단일 그래픽카드의 성능 테스트 결과를 비교한 테스트 자료들을 통해 쉽게 알수 있는 부분으로써 CPU를 업그레이드하여 게임이 빨라졌다는 것은 그래픽카드(GPU)의 성능이 높아졌다는 것이 아니라 CPU의 부족한 성능 때문에 제한되어있던 그래픽카드(GPU)의 남은 성능이 추가된 것이다.

그럼 다음페이지부터 필자의 이러한 설명을 뒷받침할 테스트 결과들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jgkyung (ID) jgkyung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3 0:44/ 신고
수고하셨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muphy22 (ID) muphy2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3 2:30/ 신고
음... 수고 하셨습니다..

궁금했던 내용이었습니다..
mygirl2 (ID) mygirl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3 6:16/ 신고
듀얼코어 CPU를 사길 잘했군요. 앞으로 출시될 펜티엄D 925도 기대됩니다.
jin2006 (ID) / 06-04-03 8:45/ 신고
듀얼이 대세인가...cpu 성능에 맞는 프로그램들이 많아져야 할듯.
kjw8211 (ID) / 06-04-03 9:52/ 신고
컥 mygirl2 님 부러워~
joel83 (ID) joel8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3 10:42/ 신고
실질수요에 맞는 업그레이드를 권장하는 보드나라 ㅡㅡb

하얀나라님 수고하셨습니다~
RG / 06-04-03 10:49/ 신고
'CPU 성능 제한 기준' 이라는 말씀이,
뭔가 성능을 제한하는 기준이 있다는 말로 들리네요.
(저만 그런가요?;;)
CPU 한계치, CPU 성능 한계치란 말이 더 쉽지 않나 싶습니다.
하얀나라 (ID) / 06-04-03 11:26/ 신고
RG님의 의견에 따라 몇몇 부분을 수정하였습니다.
sky0734 (ID) sky0734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3 12:05/ 신고
음 좋은 기사네요. 잘 봤습니다. 업그레이드에 좋은 기준이 될 듯 합니다.
indy815 (ID) / 06-04-03 12:38/ 신고
이야... 의도도 좋고 내용도 충실한 기사네요. 좋은 글 보고 갑니다. 업글할 때 알맞게 지를 수 있을 것 같네요.
dultwo (ID) / 06-04-03 12:41/ 신고
그렇군요... 제가 잘못알고 있는 부분을
속시원하게 해결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런 좋은 기사가 계속나왔으면 하네요...
정말 잘봤습니다....
kjaejun7 (ID) / 06-04-03 12:53/ 신고
좋은 기사 정말 잘봤습니다.보드나라에 오면 가끔 이런 특집기사같은 내용이 있어서 좋네요.
northwindv (ID) northwindv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3 13:00/ 신고
잘 봤습니다.수고하셨네요..CPU 와 GPU의 관계를 잘 나타내 주셔서 앞으로 많은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cheeks (ID) cheek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3 13:10/ 신고
음 좋은기사네요 무조건 VGA성능만 높으면 되는줄 알았는데..
kss8569 (ID) kss856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3 13:11/ 신고
저는 업그레이드 할때 그래픽카드 먼저 업글 할꺼 같습니다.
pg1313 (ID) pg131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3 13:37/ 신고
좋은 기사네요..^^
가장 경제적인 CPU
가장 경제적인 GPU
가장 경제적인 해상도

앞으로 PC를 구입할때는 주로 사용하는 해상도도 염두해 둬야 할듯..냠
eye2eyes (ID) / 06-04-03 13:55/ 신고
흠흠. 이런기사 원츄에요!
항상 사용하면서도 뭔가 애매하고 가려운 부분을
제대로 긁어주셨네요. 그래프로 확실하게!

듀얼코어라 다행이에요 ^^;;
notebe (ID) / 06-04-03 16:41/ 신고
잘보았습니다~
shc572 (ID) shc57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3 17:00/ 신고
이런 기사..
정말 마음에 듭니다..
정말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felix4u (ID) / 06-04-03 17:18/ 신고
흥미 있는 기사 잘 봤습니다.
valkyrie (ID)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3 17:52/ 신고
제가 막연하게만 생각하던 부분을 잘 긁어준 기사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rbear (ID) rbe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3 17:57/ 신고
필요했던 기사였네요. 감사합니다. 그래도 최근 고사양을 요하는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너무 큰 출혈이 필요할 듯.. ㅠㅠ
lightlas / 06-04-03 19:32/ 신고
예전에 모 사이트에서 단순히 비싼시퓨-비싼글픽
비싼시퓨-중급글픽, 중급시퓨-비싼글픽, 중급시퓨
-중급글픽 결과를 비교해서
'그래픽카드에 투자하는 것이 이익이다'
라고 단순결론 내린 기사에 비해서
훨씬 심층적이고 논리적인 기사였습니다.
간단하고 가벼운 논문 수준이라면 비약일까... ^^;;

이제 하드코어 게임 유저들이 가장 궁금해여겼지만
막연하게 알고 있던 부분을 명쾌히 해결해 주셨군요.
그 수고에 박수를 드립니다.

굳이 더할 것이 있다면,
이번에는 '성능의 이상적인 그래프가 낮은 기울기로'
그려질 7300GS나 '성능의 이상적인 그래프가 더 높
은 기울기로' 그려질 7900GT같은 녀석들의 사례도
조금 더 덧붙여 주셨으면 더더욱 체계적인 게시글이
될 듯합니다.(물론, 이 내용이 결론을 도출하는데
부족함은 없을 듯합니다.)
alphonse (ID) alphons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3 21:06/ 신고
그렇죠 어느한쪽만 올라가서는 결코 전체성능 향상이 되지는 않지요 시피유 메모리 버스 그래픽카드까지 어디하나 막히는곳이 있으면 거기서 병목을 일으키니
zooc80 (ID) / 06-04-03 22:07/ 신고
결군은 CPU와 그래픽카드가 둘다 좋아야한다는 $_$
ian5364 (ID) ian5364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3 22:31/ 신고
부품하나하나가 서로 잘 보완되어야 결국성능도 업"된다는 진리~ㅋㅋ
bunzen (ID) / 06-04-03 23:24/ 신고
해상도별 프레임 그래프가 일자면, cpu, 사선이면 gpu 군요~ gpu먄 장땡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lswrome (ID) lswrom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3 23:32/ 신고
1024도 상당히 많이 차이 나네요.. 흠냥 시퓨 차이가 상당하군요
milkblue (ID)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4 0:21/ 신고
의미있는 벤치결과군요. ^^
jack / 06-04-04 0:25/ 신고
저번 동영상 기사도 그렇고 이것도 그렇게 기획력이 있으시네요. 보드나라가 사람을 잘 뽑았군요.
saratoga (ID) / 06-04-04 3:01/ 신고
비용의 한계로 업그래이드 고민하시는분한테는 정말 유용한 내용이네요.(새로 컴터 장만하는사람들한테 나 이거이거로 조립해서 벤치해주고 비용받는 사업이나 해볼까?ㅋㅋ)
dualmoon (ID) / 06-04-04 10:45/ 신고
좋은 리뷰입니다....필요한 정보를 콕! 찍어주셨네요..^^
balkkarack (ID) / 06-04-04 11:02/ 신고
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파코인 / 06-04-04 17:45/ 신고
파코즈에 오래전에 CPU 와 GPU 의 관계에 대한 내용의 강좌가 올라온적이 있습니다. 이 리뷰보다 더 기술적이고 자세하다고 생각됩니다만..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y_tips&page=1&sn1=&divpage=1&sn=on&ss=off&sc=off&keyword=%B1%E8%C1%F8%BF%EC&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966
makesound (ID) / 06-04-04 19:19/ 신고
역시!!!! 보드나라 위의 파코즈 기사도 좋군요...근데 파코즈는어렵다..ㅡ.ㅡ;
korstds (ID) korstd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5 1:02/ 신고
결국 씨퓨는 어느정도 이상이 되면 그래픽카드하고는 무관해진다는 결론..
kood (ID) koo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5 12:11/ 신고
좋은 기사군요 멋집니다 듀얼코어 이면 그래픽 카드 하고는 상관이 없다는 결론
p41giga2 (ID) / 06-04-05 14:44/ 신고
30프레임 이하면...뭐 눈에 띄게 나타날테니까요..
하지만 게임만을 위한 테스트는 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diskfull (ID) / 06-04-05 23:07/ 신고
좋은 기사네요. 업글 다시한번 생각을..
hyeonsig (ID) / 06-04-06 8:09/ 신고
잘 봤습니다.
아직은 업글 할수 없는...
minkever (ID) / 06-04-06 22:23/ 신고
조금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시스템 성능이란 것은 전체가 영향을 주는 것일텐데요, 해상도가 높아지면 GPU만 무리를 주는 것이 아니라 CPU도 무리를 주게된다는 생각에서 출발, 서로의 감당할 수 있는 정도를 측정해보려는 시도와 그 자체 벤치는 인정할만 합니다.
하지만, 체감원리가 반드시 하얀나라님의 주장대로는 되지 않는다고 봅니다.
1024x768에서 60프레임이 나오고 1280x1024에서 40프레임이 나온다면 GPU 업그레이드가 낫다는 말씀인데요, 그렇다면 해상도가 아무리 높아져도 이미 CPU는 한계를 벗어난 상태이기 때문에 GPU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으로 이해되는데 말입니다.
제가 이해한 것이 맞다면, 저 상태에서 하나의 체크를 더 했어야 한다고 봅니다. 같은 클럭 같은 환경에서 GPU가 아닌 VGA 램의 처리 속도를 알아볼 수 있는 벤치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또한 메인보드의 램처리 속도도 알아봐야 하겠지요.
minkever (ID) / 06-04-06 22:23/ 신고
해상도가 높아지게되면 GPU뿐만이 아니라 램버스 클럭도 굉장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비단 VGA의 램뿐만아니라 메인보드의 메인RAM 속도도 영향을 주게 되겠지요. 따라서 고해상도부터의 체감원인이 반드시 CPU와 GPU라고 보기가 힘들다는 것을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좀더 명확한 비교를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즉 GDDR 램만 클럭을 높여보는 것과 메인보드의 램 클럭을 높여본 상태에서의 동일 실험 같은 것을 보여주셨으면 하는 거죠. 진정한 병목현상이 어디서 일어나고 있는 것인지를 좀 자세히 알고 싶어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_^; 현재 상태에서 최상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를 부탁드리는 것이죠. 업글(지름 -_-)을 통한 성능향상에 어느것이 유리한 것만 제시해주시지 말고 ㅎㅎ~
오디 / 06-04-07 12:39/ 신고
3800과 FX-60의 프레임을 비교해봤을때 1280 이상에서는 차이가 적군요. 19인치 1280, 20인치 1600 의 해상도를 가지죠. 요즘은 대세가 19인치이상이니 게임매니아라면 듀얼 그래픽이 효과적인 것 같습니다.
ronaya (ID) ronay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8 15:43/ 신고
역시 컴퓨터 부품에는 상관관계가 중요하군요.
metdol (ID) metdol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08 22:15/ 신고
좋은 정보네요 저또한 단순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많은 도움이 되는 중요한 정보인것 같습니다.
wineagle (ID) / 06-04-09 6:58/ 신고
좋은 정보 잘봤습니다.
음 / 06-04-09 15:02/ 신고
결국 씨퓨 그래픽 둘다 좋아야한다는... 슬픈기사...

오매 돈 많이들것시유^-^; 그나저나.. DX10나올때까지는 업글 패수~^-^;; DX9떳을때 DX8지원 그래픽카드들 금방 바보되었던 기억이 밀려오기에.....;;
lsblord (ID) / 06-04-09 19:03/ 신고
정말 잘 읽었습니다 질러야 되는데 돈이 없네요
휴=3
sindong92 (ID) / 06-04-09 23:36/ 신고
ㅎㅎ그런것이었군요. 결론은 둘다 좋아야 한다는 얘기네요. ㅋ
selfi (ID) / 06-04-10 1:40/ 신고
굿입니다. 하얀나라님.
요즘 정말 좋은 기사를 많이 올려주시네요

기사의 목적, 타당성, 효용성, 신뢰성, 이해도, 정확도 전부 잘 맞아 떨어지는군요.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selfi (ID) / 06-04-10 1:53/ 신고
아 그리고 minkever님.
그 의도하신 바는 잘 알겠지만..
그런 테스트가 실행되기는 어려울것 같네요.

일단 cpu의 다양한 선택만큼 램속도의 다양한
선택이 있는것도아니구요. vga의 비디오램또한 마찬가지 일테구요.


만약에 비디오램의 양이나 메인메모리양에 대한
상관관계의 벤치를 원하신다면 그런 조건을
맞추기가 까다로울것 같군요.

일단 표준이상의 램만 장착된다면 이후엔
큰 차이가 없을 뿐더러
표준이하의 램을 장착했을 경우라고 생각해본다면
시스템 hierachy(계층구조?) 를 봤을때 바로 밑의
하드디스크 속도까지 벤치를 하는 일이 벌어지겠죠.

여기까지 가면 이 기사의 cpu, vga 코어자체의
처리량만을 따지는 기사의 범주에서 많이
벗어나질것 같네요
kwbang2 (ID) / 06-04-11 12:39/ 신고
자주 가려운 부분을 긁어주는 글들이 생기는 듯 하여 보기 좋습니다. 3D작업을 조금이라도 해 보신 분들이라면 좀 더 이해속도가 빠르겠다는 생각이네요.
(사실 게임에서 말하는 3D와 작업이라 일컫는 3D는 많이 다른 양상이라서...)

프로그래밍적인 부분이 비교가 가능할지는 모르겠지만, 3D엔진이 차지하는 비율도 상당수준인터라 역시나 일반적인 유저가 아닌 작업을 위주로 하는 분들이라면 CPU 던 GPU던... 동시기에 업그레이들 병행해야 하는 것 같네요.
jiin81 (ID) / 06-04-13 1:06/ 신고
아무리 그래도 CPU는 가격대 성능비가 좋으면 돼죠.
일반사용자에게는...
kaki0219 (ID) / 06-04-13 11:31/ 신고
바톤 3200에는 어느정도까지의 그래픽카드가 어울릴지...흠...이런 상관관계를 알려주는 벤치도 잼있겠는데요..ㅎㅎ
pksps (ID) / 06-04-15 22:06/ 신고
유용한 정보네요 이건 전혀 생각지 못했던 내용이었는데 잘 봤습니다..^^
saratoga (ID) / 06-04-16 1:03/ 신고
이런 사무실컴은 시푸위주 집컴은 그래픽 위주로 업그래이드 할려는 계획 전면 수정 ^^
kado (ID) kad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16 10:06/ 신고
다 부족한게 느껴 지는군
diabloage (ID) / 06-04-16 14:48/ 신고
작성하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을 추가하자면 CPU의 업그레이드는 여러작업에서 속도 향상을 보장하지만 그래픽카드는 오직 그래픽만 한정되어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서 업그레이드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결론은 자신이 하고자 하는 작업에서 실질적인 이득이 어느쪽이 더 많은지 알아보고 하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kuki63 (ID) / 06-04-17 12:20/ 신고
저런것도 고려해야 겠군요. 득실을 잘 따져 업그레이드도 생각해야겠어요 .~(__)~
blasty (ID) blast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18 20:41/ 신고
근데 모든 게임에서 해당 프레임을 확인할 수 가 있나요?
아니면 따로 확인하는 툴이 있는건가요??? 궁금하당
Y.W. Ahn / 06-04-19 21:25/ 신고
게임 자체에 FPS보는 기능이 있다면 그것을 사용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Fraps같은 외부 유틸을 이용합니다.
... / 06-04-24 0:30/ 신고
제가 궁금했던것을 한번에 풀어주시는군요!!

1024나 1280이나 프레임 변화가 없길래 이거 왜이래? 그랬는데....씨퓨가 딸리는거였군요...추가로...
제 경험에 의하면 씨퓨 딸리면 해상도마다 프레임차이 별로 안나는것도 있찌만 옵션별로도 프레임 차이가 거의 안나더군요...최하옵이나 풀옵이나...
fantnsia (ID) / 06-04-28 16:08/ 신고
잘보고 갑니다
moonwolf (ID) moonwolf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30 16:33/ 신고
그동안 CPU와 GPU간의 관계를 명확히 머릿속 설정할 수 있게 해준 좋은 기사였습니다. 감사합니다.^^
lagoseo (ID) / 06-04-30 19:23/ 신고
정말 좋은 정보입니다.

CPU와 VGA의관계를 잘 설명해 주었군요
jenadu (ID) / 06-04-30 19:58/ 신고
CPU성능도 많이 좌우하는군요^^
ryangedu (ID) / 06-04-30 23:25/ 신고
VGA만 좋다고 해서 뛰어난건 아니라는 것인가.
하하하 / 06-05-06 12:22/ 신고
좋은기사 잘 봤습니다!
1024x768 이하에서 SLI는 돈낭비임이 입증됐군요.
moonlight11 (ID) / 06-05-07 9:51/ 신고
정말 좋은 기사 네요 ^^
잘 보고 갑니다.
deltahos (ID) / 06-05-07 20:12/ 신고
수고하셨습니다..
zoone / 06-05-24 13:56/ 신고
고생하셨습니다.

그런데, 실제 사용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은 CPU의 한계 클럭에 묶이기 쉬운 최대 프레임 구간 (평균프레임)이 아니라, 병목이 생기는 (그래픽이 복잡한) 최저 프레임 구간입니다. 그리고 이 최저 프레임 구간 (연막이 있는 곳을 통과한다던지, 복잡한 지형의 실내에서의 게임 진행..)의 프레임은 거의 GPU와 비디오램 성능에 의존적입니다.

결론적으로, 게이머라면, CPU는 메인스트림으로, (10만원 중반 이하급) 그래픽카드는 하이앤드에 근접한 급으로 (30만원 초과 급)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러나, 전체적인 렌더링 시간 (평균프레임)이 중요한 3D 렌더러라면, CPU와 그래픽카드에 사용하는 한계비용을 다시 계산해야 할 것입니다.
newstar (ID) new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25 7:02/ 신고
오호...cpu의 한계치라... 시각의 반전이군요. 결국 자신의 게임 해상도에서 교차점을 찾는것이 나름대로 가장 쾌적하게 게임을 즐기는 방법이었군요.
sky738 (ID) / 06-06-20 17:50/ 신고
머리 좋은 넘이 눈도 밝고만.....
lovebat (ID) / 06-07-31 22:38/ 신고
아주 잘 봤습니다. ^^ 수고하셨습니다.
heaye (ID) / 06-08-01 0:50/ 신고
애슬론64 3800 에서 7600GT의 제성능이 1280*1024 이상 모드에서만 나온다고 글쓰신분처럼 해석하신다면

팬4 2.4c에 5200울트라VGA를 1024*768 쓰는 사람이 vga를 7600GT로 교체하면 안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애슬론3800 에서도 제성능을 못내는데 겨우 2.4c에서 교체함 안되겠지요. 하지만 실질적으로 2.4c에서 7800se로 바꿔도 상당폭의 그래픽성능향상이 있습니다.
hufskon (ID) / 06-08-02 22:27/ 신고
단순히 프레임만 비교하기 보다는 질적인 측면에서 그래픽카드를 업그레이드 하는 분들도 꽤 계시죠. 저처럼 게임 자체만 돌아가면 만족하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암튼 유용한 팁이었네요
궁금 / 06-08-04 1:07/ 신고
최저해상도와 최고 해상도가 차이가 없고 비슷하다면

시피유를 업그레이드 해야 한다 이말인가요?

제가 지금 콘로 6400@ 3.2기가 에 6600 사용중인데

WOW에서 최저와 최고 해상도가 똑같네요;;

물론 수직동기화는 풀고 테스트 했습니다.

그럼 전 CPU를 업그레이드 해야 하는걸까요?

~.~;;
kood (ID) koo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8-05 17:56/ 신고
네 잘봤습니다 유익한 내용이군요

수고하셨습니다
epddhk (ID) / 06-08-18 12:45/ 신고
정말 멋진 글입니다.
그동안의 뭔가 좀 미심쩍었던 부분을 상당부분 해결해주어 시원합니다.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4/03] 퀄컴, 멀티미디어 경험 강화된 스냅드래곤 7 Gen4 발표  
[04/03] 넥슨, ‘마비노기 영웅전’ 오케스트라 공연 6월 21일 개최  
[04/03] '프리미엄한 당신을 위한 최고의 선택' 삼성스토어, '데이코 위크' 진행  
[04/03] 넷마블 북미 자회사 카밤, <마블 올스타 배틀> PC 버전 전 세계 정식 출시  
[04/03] '월드 오브 워쉽' x 벽람항로 일곱 번째 콜라보레이션  
[04/03] GTA 온라인, FIB 파일 피날레에서 보상 두 배 제공  
[04/03] 넥슨, 메이플스토리M M4U 아일랜드 2차 이벤트 실시  
[04/03] 운빨존많겜, 출시 1주년, 역대급 업데이트와 이벤트 쏟아진다!  
[04/03] 서린컴퓨터, 시스템 빌드 전문 유튜버와 협업한 'PC SNAP 에디션' 출시  
[04/03] 펀키스, 31g 초경량 마그네슘 합금 8K 게이밍 마우스 WLMouse Beast Miao 시리즈 출시  
[04/03] Razer, 생산성과 게이밍 동시에 잡은 3종 키보드 마우스 출시  
[04/03] 디아블로 IV, 2025 세계 접근성 인식의 날 기념해 누구나 손쉽게 성역을 탐험하도록 돕는 기능 소개하는 영상 공개  
[04/03] 마우저, 첨단 비전 AI 기술을 지원하는 르네사스의 RZ/V2N 마이크로프로세서 공급  
[04/03] MSI, AI 게이밍 모니터 분야 선도  
[04/03] 삼성전자, AI 기능 탑재한 'AI 통버블 세탁기' 출시  
[04/03] 라이엇 게임즈, 발로란트 출시 5주년 기념 ‘자선 // V25 세트‘ 출시  
[04/03]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90 FE 둠 더 다크 에이지스 에디션 공개  
[04/03] 소니 PS5 가격 세 번째 인상 카드 꺼내나?  
[04/03] 넷마블 신작 세븐나이츠 리버스, CU와 제휴 이벤트 실시  
[04/03] 소리샵, 파이널(Final)의 프리미엄 유선 이어폰 S5000 출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