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섹션에서는 듀얼 채널
메모리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알려드린뒤, 글을 마무리 지을까한다. 듀얼 채널 구성을 위해선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어떻게
꽂아야하는지 알아보자.
동일 용량, 동일
모듈수(단면/양면) 메모리 사용
가장 중요한 것은 듀얼 채널을
이룰 메모리는 메모리 용량이 동일해야하며, 메모리에 사용된 메모리 모듈수도 동일해야한다는 것이다. 다른 용량의 메모리를 사용하거나 양면
메모리와 단면 메모리를 혼용하면 듀얼 채널 구성이 불가능해진다. 그리고 당연한 얘기지만, 메모리 하나를 사용하거나 3개로는 듀얼 채널을
구성할 수 없다.
메모리 2개 사용시
875/865의 메모리는 채널
A와 채널 B로 나뉘어 있으며, 채널 A의 메모리 슬롯 하나와 채널 B의 메모리 슬롯 하나가 짝을 이루어 듀얼 채널을 구성한다. 2개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듀얼 채널을 구성할 때에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채널 A와 채널 B의 슬롯 하나씩에 메모리를 꽂아주면 된다.
메인보드에서 예를 들자면 DIMM1과 DIMM3에 꽂거나, DIMM2와 DIMM4에 꽂으면 된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한칸씩 떨어지게다. (대개 이렇다는 것이며, 예외의 경우가 존재할 수도 있음을 유의하자)
메모리 4개 사용시
4개의 메모리를 사용할 때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바로 위의 그림과 같이 동일한 메모리 4개를 모든
슬롯에 장착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듀얼 채널을 두 개 구성하는 방법이다.
두번째 방법은 어렵게 생각할
필요없이 메모리 2개씩 따로따로 듀얼 채널을 만든다고 생각하면 되겠다. 예를 들자면 DIMM1과 DIMM3 슬롯에는 256MB 단면을
장착하고, DIMM2와 DIMM4에는 512MB 양면을 작장하여 각각 듀얼 채널을 구성하면, 전체적으로 듀얼 채널로 동작한다는 것이다.
CPU 종류별 정규
메모리 클럭
다음의 표는 875/865
칩셋의, CPU 종류별 지원 메모리 클럭을 나타낸 것으로 참고하시기 바란다. (보드나라에 FSB800 CPU가 없는 까닭에 BIOS에서
못보여드리고, 이런 표로 보여드려야한다는 것에 참 우울해진다. ㅠㅠ)
하이엔드 유저들을 위한 875P 메인보드
875P 메인보드의 가격을
생각해보았을 때(아직 판매되는 제품은 하나뿐이지만, 칩셋 자체의 가격도 높고 옵션도 많아 높은 시장가를 형성할것이 뻔하다) 875P 메인보드를
선택하는 유저는 극소수에 불과할 것이다. PAT가 어느 정도의 효력을 발휘한다고는 하지만, 각종 불필요한 기능까지 감당하면서 875P를 구입할
이유는 없으며 적당한 가격과 기능을 형성할 865PE 메인보드가 준비되어 있지 않은가. SATA HDD도 많지 않아서 865PE의 ICH5이
부담스럽기까지한데, Serial ATA RAID x2, ATA133 RAID면...
하지만 ECC 메모리를
사용해야한다거나 PAT를 통한 최고의 성능은 원하는 소수의 고급유저들에겐 875P 메인보드가 최고의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GP
Pro 슬롯을 갖춘 제품도 있고 SCSI나 RAID를 위한 PCI 슬롯를 갖춘 제품도 있고 폭넓은 HDD 확장성을 갖추기도한, 그야말로
워크스테이션용으로 손색없는 875P 메인보드들이 아닌가. 그리고 ECC나 PAT가 아닌 각종 부가기능을 원하는 유저라면 875P가 아닌
865PE 풀스펙 제품을 기다려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