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디지탈 리뷰 홈  

고급형 부럽잖은 보급형 풀 프레임, 속도와 4K HDR의 소니 알파7 III

2018-04-10 12:00
이상호 기자 ghostlee@bodnara.co.kr

2. 소니 알파7 III의 사진과 바디 특징



앞서 소니 알파7 III의 초고속 연속 촬영과 AF 속도, 무소음 촬영 및 4K HLG BT.2020 영상 녹화, 슬로우 모션과 퀵 모션 동영상 능력을 확인했지만, 카메라의 기본은 사진. 품질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은 상용 ISO 100 ~ 51200부터 확장 ISO 50~80 / 64000~204800을 지원하는 소니 알파7 III의 ISO에 따른 노이즈 정도를 알아보았다.

이번 소니 알파7 III 리뷰에는 사진과 동영상 촬영 모두에 SEL24105G 렌즈가 사용되었다. 해당 렌즈는 초점거리 24mm ~ 105mm 전 영역의 F4.0 고정 조리개와 손떨림 방지, 초점 고정 버튼을 지원한다.

 

위 사진은 최고옵션 JPG로 촬영된 보름달 사진을 100% 크롭한 것으로, ISO 3200까지는 별다른 노이즈를 보기 어렵지만 ISO 6400부터는 약간의 노이즈가 크게 거슬릴 정도는 아니다. ISO 12800부터는 디테일 손상이 눈에 띄기 시작하며, ISO 25600부터는 노이즈 때문에 피사체의 원형 훼손 발생, 확장 감도로 넘어가면 디테일을 기대하기 어렵다.

다음은 소니 알파7 III의 기본 설정과 P 모드와 JPEG 최고 품질(X.Fine) 조건에서 촬영한 사진의 샘플로, 각 이미지를 클릭하면 약 10MB ~ 22MB에 달하는 원본 사진을 볼 수 있다. 샘플 사진 총 용량은 369MB에 달하니 모바일 디바이스로 확인하는 독자는 데이터 요금제에 주의하기 바란다.

 

 

4K HLG BT.2020과 무소음 셔터, 이미지 93% 커버 AF, 소니 알파7 III는?

소니 알파7 III는 스펙상 크기 126.9 mm x 95.6mm x 62.7mm, 바디 무게 약 565g(배터리 / 메모리 포함시 약 650g)의 미러리스 풀 프레임 카메라로, 전면에 AF 보조광과 그립에 센서 수신부, 조리개 조절 다이얼이 배치되었다.

보드나라에서 실측 결과 마그네슘 합금과 방진 방적 설계가 적용된 알파7 III의 순수 바디 무게는 공식 스펙보다 조금 무거운 573g, 배터리와 메모리 두 개를 탑재한 바디 무게는 659g으로 측정되었다.(카스 WK-4C 전자식 저울 사용)

 

 

수광 효율 극대화를 위해 온칩 렌즈의 간격을 최소화한 갭리스 온칩 렌즈  설계가 적용되었고, 여기에 정확한 입사각을 고려한 중앙부와 비스듬한 입사각을 고려한 주변부 설계로 광량 확보와 동시에 해상력 저하를 억제하고, 앞서 이야기한 새로운 CMOS 센서와 이미지 프로세서 덕에 저감도 촬영시 약 15스탑의 다이나믹 레인지 표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후면에는 상단 107도, 하단 41도 조절이 가능한 틸트형 3인치 TFT LCD와 0.5인치 XGA OLED 뷰 파인터, 조이스틱형 멀티 셀렉터와 조작 휠, 액세스 램프, 기능, 메뉴 버튼 등 카메라의 설정과 제어용 트리거들이 구성되어 있다.

LCD는 터치 조작을 지원해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며, 뷰 파인트 우측 하단의 붉은색 녹화 버튼을 이용해 언제나 바로 동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동영상 녹화는 기본적으로 붉은색 녹화 버튼을 이용해 진행되지만, 옵션을 조절하면 셔터 버튼을 이용한 녹화도 가능하다.

 

소니 알파7 III는 카메라 자체적인 5축 손떨림 보정을 지원해 사용 중인 렌즈의 OIS 지원 여부와 무관하게 알파9과 같은 5스탑의 흔들림 보정 효과를 구현해 안정적인 촬영를 지원한다. 앞서 연사 및 AF 속도 확인을 위한 야간 비행기 추적 촬영과 같이 광령이 부족하거나, 레이싱이나 사이클, 육상 경기나 새들의 비행 등 움직임이 빠른 피사체 촬영시 유리하다.

 

상단에는 노출 보정과 모드 조정 다이얼, 셔터 버튼 및 외부 사운드 녹음을 위한 마이크, 사용자 지정 버튼을 볼 수 있다. 모드 조정 다이얼에는 두 개의 사용자 지정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모드 다이얼을 통해 일반 동영상 촬영/ 슬로우&퀵 동영상 촬영/ 장면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멀티 인터페이스 슈를 장비해 다양한 장비 호환성을 제공한다.

 

하단에는 나사 길이 5.5mm 미만의 삼각대 소켓 구멍과 배터리 커버 장착부가 마련되어 있는데, 소니 알파7 III는 7.2V 16.4Wh, 2280mAh 스펙의 NP-FZ100 배터리 팩이 사용된다. 해당 배터리는 기존 소니 카메라에 사용되던 FW50 대비 CIPA 기준 2배 이상인 710매의 사진 촬영 혹은 최대 125분의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기자가 테스트를 위해 약 4시간 동안 300여장의 사진과 20분 가량의 동영상 촬영 후에도 50% 이상의 잔량이 남았다. 촬영 환경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일상적인 출사라면 백업 배터리는 필요없을 것으로 판단한다.

소니 알파7 III는 USB 충전을 지원하므로 급할 경우 모바일 기기대응 보조 배터리로 임시 대응할 수 있다. 번들 제공되는 충전기는 5V 1.5A 출력을 지원하며, 완전 방전된 NP-FZ100 배터리 팩을 충전하는데 스펙상 약 285분이 소요된다.

 

오른손 그립면에는 NFC 태그와 듀얼 메모리 슬롯이 제공된다. 메뉴에서 1번 슬롯의 메모리 용량이 부족하면 자동으로 2번 슬롯에 저장하도록 변경할 수 있으며, 1번 슬롯에는 RAW를, 2번 슬롯에는 JPG를 동시에 저장할 수도 있다.

참고로 하단의 1번 슬롯은 UHS-I/ II 호환 SD 카드를, 상단의 2번 슬롯은 UHS-I 호환 SD 카드 및 메모리 스틱 프로 듀오를 지원하며, NFC 태그 지원을 비롯해 블루투스, WiFi, FTP, 블루투스 등 다양한 무선 연결을 바탕으로 원격 제어와 백업도 가능해, 상황에 맞춰 결과물을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환경을 꾸밀 수 있다.

 

좌측면에는 마이크/ 헤드폰/ 마이크로 HDMI, 다기능 마이크로 USB 단자 및 USB Type-C 단자가 구성되어 있다. USB Type-C 단자는 USB 3.0 규격으로 기존 USB 2.0 단자보다 빠른 성능을 제공해 4K 영상이나 RAW 촬영과 같이 대용량 작업물의 백업 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USB 포트 중앙에 충전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안내등이 위치해 있다.

 

소니 알파7 III, 보급형 풀 프레임의 새로운 시대를 열다

소니는 보급형 풀프레임 미러리스 카메라 성장인 알파7 III을 앞세워 풀 프레임 카메라 시장에서 20% 이상 성장하는 동시에 풀 프레임 미러리스 카메라에 집중해 국내 카메라 시장에서 매출과 판매대수 모두 1위를 차지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알파7 III는 상위 기종인 알파9의 DNA를 물려받아 센서 영역 93%를 커버하는 693 + 425 하이브리드 AF 포인트, 10FPS 연속 촬영 및 전자식 셔터를 이용한 무소음/ 무진동 촬영, 인물 촬영을 위한 얼굴 인식및 눈동자에 초점을 맞추는 Eye-AF 기능 강화, 15스톱의 다이내믹 레인지가 주요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활동량이 많아지는 봄철을 맞이해 가족 여행에서 아이들의 사진을 찍거나 본격화된 스포츠 시즌을 맞이해 경기장 직관, 콘서트나 연극 등 문화생활을 즐기는 일반인들과 전문가들을 충분히 만족시켜 줄 것이다.

 

여기에 풀프레임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약 2.4배(6K 해상도)의 오버 샘플링을 통해 디테일을 높이는 풀 픽셀 리드아웃(Full pixel readout) 방식의 4K 동영상 촬영, 4K HDR 동영상의 인스턴트 HDR 워크플로우를 위한 HLG(Hybrid Log-Gamma) 프로파일, 감마 적용 결과를 미리 확인해볼 수 있는 감마 디스플레이(Gamma Display), HD 영상으로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프록시 레코딩, 지브라(Jebra) 기능 등의 강화된 동영상과 편의성이 대폭 강화되었다.

실제로 기사 초반에 언급했던 기자의 카메라 선택 기준 중 핵심인 AF 커버 면적과 속도는 충분히 만족할 수 있었는데, 셔터에 올린 손가락에 힘을 주는 순간 바로 잡히듯 빠른 셔터 스피드와 피사체 추적 능력, ISO 12800까지 충분히 쓸만큼 강화된 노이즈 억제력 등에서 소니의 알파7 III 국내 발표회에서의 포부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다.

단지, 소니 알파7 III가 보급형 미러리스라고는 해도 '풀 프레임' 카테고리의 제품인 만큼 크롭 바디의 미러리스 카메라 사용자에게는 무겁게 느껴질 수 있으며, 바디만 250만원에 달하는 가격 역시 부담될 수 있겠지만, 가벼운 무게로 야외 촬영 기화기 많은 봄을 맞이해 기변을 고려 중인 기존 풀 프레임 사용자나 고급기의 가격이 부담스러운 풀 프레임 입문자에게는 충분히 매력적인 바디가 될 것이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프리스트 rubyc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8-04-17 11:28/ 신고
보급형이라지만 부담이..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4/10] 앱코, 진동과 가상 7.1 채널을 탑재한 게이밍 헤드셋 ‘N999’ 출시  
[04/10] MSI, 컴퓨텍스 2025서 AI 노트북 핸드헬드 신제품 공개  
[04/10] HP, ‘Victus Gaming Laptop 15-fb3113AX’ 출시.. 고성능 가성비 겸비한 게이밍 노트북  
[04/10] 이엠텍아이엔씨가 공식 유통하는 PALIT과 SAPPHIRE, COMPUTEX 2025 참가  
[04/10] 퀄컴, 멀티미디어 경험 강화된 스냅드래곤 7 Gen4 발표  
[04/10] 넥슨, ‘마비노기 영웅전’ 오케스트라 공연 6월 21일 개최  
[04/10] '프리미엄한 당신을 위한 최고의 선택' 삼성스토어, '데이코 위크' 진행  
[04/10] 넷마블 북미 자회사 카밤, <마블 올스타 배틀> PC 버전 전 세계 정식 출시  
[04/10] '월드 오브 워쉽' x 벽람항로 일곱 번째 콜라보레이션  
[04/10] GTA 온라인, FIB 파일 피날레에서 보상 두 배 제공  
[04/10] 넥슨, 메이플스토리M M4U 아일랜드 2차 이벤트 실시  
[04/10] 운빨존많겜, 출시 1주년, 역대급 업데이트와 이벤트 쏟아진다!  
[04/10] 서린컴퓨터, 시스템 빌드 전문 유튜버와 협업한 'PC SNAP 에디션' 출시  
[04/10] 펀키스, 31g 초경량 마그네슘 합금 8K 게이밍 마우스 WLMouse Beast Miao 시리즈 출시  
[04/10] Razer, 생산성과 게이밍 동시에 잡은 3종 키보드 마우스 출시  
[04/10] 디아블로 IV, 2025 세계 접근성 인식의 날 기념해 누구나 손쉽게 성역을 탐험하도록 돕는 기능 소개하는 영상 공개  
[04/10] 마우저, 첨단 비전 AI 기술을 지원하는 르네사스의 RZ/V2N 마이크로프로세서 공급  
[04/10] MSI, AI 게이밍 모니터 분야 선도  
[04/10] 삼성전자, AI 기능 탑재한 'AI 통버블 세탁기' 출시  
[04/10] 라이엇 게임즈, 발로란트 출시 5주년 기념 ‘자선 // V25 세트‘ 출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