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기서는 인텔 CPU를 지원하기 위해 기존 칩셋들의 장점을 이어받고 단점을
개선한 nForce 600i 시리즈가 어떠한 특징과 외형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도록 하자.
nForce 600i 시리즈 Intel Edition은 3가지로 분류
NVIDIA에서는 인텔 CPU를 지원하는 새로운 nForce 600i 시리즈 칩셋 3종을 발표하였는데 기존 nForce
시리즈가 시장에 늦은 출시와 인텔의 칩셋에 밀려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하였던 부분, 그리고 하이엔드 지향에서 벗어나
메인스트림 시장까지 보다 넓은 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이 기존 nForce 500 시리즈를 잇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칩셋 명 |
NVIDIA nForce 680i SLi |
NVIDIA nForce 650i SLi |
NVIDIA nForce 650i Ultra |
NVIDIA nForce 590 SLI |
타겟 시장 |
하이엔드 |
퍼포먼스 |
메인스트림 |
하이엔드 |
FSB (Front Side Bus) |
533/ 667/ 800/ 1066/ 1333MHz |
533/ 667/ 800/ 1066MHz |
533/ 667/ 800/ 1066MHz |
533/ 667/ 800/ 1066MHz |
NVIDIA SLi 지원 |
Yes, 2 x 16 |
Yes, 2 x 8 |
No, 1 x 16 |
Yes, 2 x 16 |
3rd PCI-E 슬롯 |
Yes |
No |
No |
- |
SLi-Ready Memory With EPP |
Yes |
No |
No |
No |
Memory 지원 |
DDR2 800MHz (DDR2 1200MHz
SLi-Ready Memory) |
DDR2 800MHz |
DDR2 800MHz |
DDR2 800MHz (DDR2 1200MHz
SLi-Ready Memory) |
LinkBoost Technology |
Yes |
No |
No |
No |
Gigabit Ethernet |
2 |
1 |
1 |
2 |
FirstPacket Technology |
Yes |
DualNet Technology |
Yes |
No |
No |
Yes |
Teaming |
Yes |
No |
No |
Yes |
TCP/IP Acceleration |
Yes |
No |
No |
Yes |
MediaShield Storage |
Yes |
SATA/ PATA 지원 |
6개/ 2개 |
4개/ 4개 |
4개/ 4개 |
6개/ 2개 |
SATA 속도 |
3Gb/s |
SATA RAID |
0, 1, 0+1, 5 |
0, 1, 0+1, 5 |
0, 1, 0+1, 5 |
0, 1, 0+1, 5 |
PCI-E 구성 |
46 lanes + 9 links (16, 16, 8, 1, 1, 1, 1, 1, 1) |
18 lanes + 4 links (8, 8, 1, 1 or 16, 1, 1) |
18 lanes + 1 links (16, 1, 1) |
48 lanes + 11 links (16, 16, 8, 1, 1, 1, 1, 1, 1, 1, 1) |
USB 지원 |
USB 2.0 10포트 |
USB 2.0 8포트 |
USB 2.0 8포트 |
USB 2.0 10포트 |
Audio 지원 |
HD Audio (Azalia) |
nForce
600i 칩셋들은 앞서도 소개하였듯이 nForce 680i SLI, nForce 650i SLI, 650i Ultra로
하이엔드, 퍼포먼스, 메인스트림 시장을 겨냥한 제품들로 기존 nForce 590 SLI, nForce 570 SLI,
nForce 570 Ultra, nForce 550의 4가지로 나뉜 것을 3가지로 줄였다고 볼 수 있다.
최상위 칩셋인 nForce 680i SLI에서
지원되는 기능들이 추가된 부분을 기존의 스펙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nForce 590 SLI Intel
Editoin과 달라진 부분 중 눈에 띄는 것은 FSB1333MHz를
지원하는 것이다. 2007년 3분기 정도로 예상된 새로운 CPU들에 적용될 FSB1333MHz를 미리 지원하고 있는 것인데
이로 인해 높은 FSB 설정이 가능하여 오버클럭 부분에서도 유리한 모습을 보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지고 있다.
또, AMD nForce 590 SLI에서만
제공되었던 PCI-E 클럭을 높여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높여줄 수 있는 LinkBoost 기능을 지원할 수 있게 된 점이
nForce 590 SLI Intel Edition과 크게 달라진 점이다. 그러나, PCI-E 구성은 기존 nForce
590 SLI와 비교하여 오히려 2개의 lane과 2개의 link가 제거된 부분이 보여진다. 그 외 지원되는 기능들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어 nForce 590 SLI가 지원하는 DualNet, FirstPacket, Teaming,
TCP/IP Acceleration, MediaShield, EPP, HD Audio (Azalia)의 지원은 그대로
유지된다.
하위 제품들인 nForce 650i SLI나
nForce 650i Ultra 칩셋들은 상위인 nForce 680i SLI에서 지원하는 기능들에 제한을 두어 상위
제품과의 차이를 두고 있고 nForce 650i SLI는 SLI 지원 기능 외에 상위 칩셋이 지원하는 기능들이 상당히 많이
생략되어 있다. 지원 기능은 하위인 nForce 650i Ultra와 비교해도 크게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
구성은 가장 상위 칩셋인 nForce
680i SLI는 nForce 680i SLI SPP(C55) + nForce 590 SLI MCP(MCP55)로
이루어지며, nForce 650i SLI는 nForce 650i SLI SPP (C55) + MCP51, nForce
650i Ultra는 nForce 650i Ultra SPP (C55) + MCP51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최상위 칩셋 nForce 680i SLI Intel Editon
최상위 제품이라고 볼 수 있는 nForce
680i SLI는 SPP + MCP의 투칩 구성으로 2 x 16의 SLI 구성으로 Quad-SLI 구성도 가능하고 기존의 최상위 칩셋인 nForce
590 SLI가 지원하고 있던 기능들을 거의 그대로 지원하지만, nForce 590 SLI가 지원하지 못하는 기능들을 추가로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상위 칩셋인
nForce 680i SLI의 SPP와 MCP의 투칩 구성은 기존의 nForce 590 SLI의 구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고 이번에도 AMD 지원 칩셋들과 함께 발표되었다. 기존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인텔 CPU는 AMD 칩셋들과는 다르게 메모리 컨트롤러가 CPU에
내장되어 사용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SPP에 메모리 컨트롤러 기능들을 포함하게 되고 나머지 기능의 지원을 위해 MCP가
추가된다. 대신, AMD는 CPU내에 메모리 컨트롤러를 내장하기 때문에 SPP에는 메모리 컨트롤러 부분이 적용되지 않고 PCI-Express lane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또,
NVIDIA에서 제공하고 있는 Intel용 칩셋 메모리 컨트롤러는 FSB 클럭과 메모리 클럭을 독립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다양한 클럭의 메모리와 오버 클럭에도 유연함을 보일 수 있게 된다.
추가로 FSB 지원 부분에도 변화가 있는데
바로 FSB1333MHz를 지원하는 것이다. 2007년 3분기 중으로 예상된 인텔의 CPU들이 지원하게 될 FSB 클럭인데
그보다 빠르게 지원하여 이미 새로운 CPU 지원에 대한 NVIDIA의 빠른 대처를 볼 수 있는 부분이다.
메모리의 지원도
DDR2 800Mhz 메모리를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같으며, nForce 590 SLI처럼 EPP 규격의
SLI-Ready 메모리의 지원을 하고 있다. NVIDIA의 Enhanced Performance Profile (EPP)는
각 클럭마다 표준화된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고 최적의 타이밍 값과 전압 설정값이 포함되어 JEDEC 규격보다 타이트한 타이밍
등을 적용할 수 있어 오버클럭 상황에서도 더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존 nForce 590 SLI가
지원하지 못했던 링크부스트 (LinkBoost) 기술을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AMD CPU들을 사용하는
nForce 590 SLI 칩셋에만 적용되고 있어 차별화를 둔 부분이지만, nForce 680i SLI에서도 이를 지원할
수 있게 되어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링크부스트는 HyperTransport 버스와 PCI-Express
버스를 자동으로 오버클럭 시켜주는 기능이다. PCI-Express 버스의 클럭을 100MHz를 25% 정도 높인
125MHz로 동작하여 대역폭을 8GB/s에서 10GB/s로 끌어올려 성능을 높이고 SPP와 MCP 사이의 데이터 전송도
빠르게 하기 위해 200MHz보다 높은 250MHz로 동작하게 된다. 이때 HyperTransport 버스의 배율을 5로
기존과 동일하며, 그래픽 카드가 향상된 클럭을 지원하여야 한다.
링크부스트 기능은 nForce 590
SLI 칩셋과 GeForce 7900GTX와의 조합에서만 적용되고 바이오스에서도 자동으로 활성화 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었는데 테스트를 진행한 ASUS Striker Extreme과 P3N32-E SLI, 그리고 ATI Radeon
X1900GT의 조합에서도 활성화되어 제한을 완화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서 소개한 추가 지원 기능들 외에
대부분의 기능들은 기존 nForce 590 SLI 칩셋이 지원하고 있는 기능들을 그대로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DualNet,
FirstPacket, Teaming, TCP/IP Acceleration, MediaShield, EPP, HD
Audio (Azalia) 등의 지원은 그대로 유지된다.
기존 기능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AM2 최고의 선택, nVIDIA NForce 500 칩셋 시리즈와
콘로를 기다렸다, nVIDIA NForce 590 SLi Intel Edition를
참조하면 된다.
NVIDIA nForce 680i SLI는 NVIDIA의 레퍼런스와 비레퍼런스로 제작
칩셋 명 |
NVIDIA nForce 680i SLi (2 x
16) |
NVIDIA nForce 650i SLi (2
x 8) |
NVIDIA Reference |
EVGA, BFG, XFX, ECS, Biostar |
- |
비레퍼런스 디자인 |
ASUS, GIGABYTE, MSI, DFI, ABIT |
ASUS, GIGABYTE, ABIT, MSI, Jetway |
이번에 새롭게 등장한 nForce 680i SLI는 NVIDIA의 레퍼런스
디자인을 따른 제품과 메인보드 제조사들에서 직접 제작한 비레퍼런스 디자인의 제품들로 나뉘고 있다. 물론, 기존에도
NVIDIA의 레퍼런스 제품들이 등장하였지만, 대부분은 테스트 샘플로 많이 사용되어져 왔고 nForce 590 SLI부터
Foxconn이 레퍼런스 제품 제작에 참여하기도 하였고 실제 판매도 되어졌다. 그러나, 실제 시장에서 nForce 590
SLI Intel Edition을 사용한 판매 제품의 수도 많지 않았고 하이엔드를 지향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반응을
얻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하위 칩셋들도 등장하기는 하였지만, 여전히 많은 제조사들의 참여 부족으로 시장에서 큰 호응을 얻지
못하였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레퍼런스 디자인 제품과 비레퍼런스 디자인의 제품들로 나뉘는데 레퍼런스
디자인을 그대로 판매하게 될 제조사들은 EVGA, BFG, XFX, ECS, Biostar 등이 알려져 있다. 비레퍼런스
디자인의 제품을 만드는 곳은 ASUS, GIGABYTE, MSI, DFI, ABIT으로 이미 국내에서도 잘 알려진
제조사들이다. 그래픽 카드의 레퍼런스와는 다르게 메인보드는 이미 이를 꾸준히 개발하고 바이오스 튜닝 능력들을 가진
제조사들의 비레퍼런스 제품들이 오히려 사용자 입장에서 편리한 설정이 가능하고 기판 설계 능력 또한 충분히 좋기 때문에
레퍼런스 제품만 고집할 필요가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최근 등장한 680i SLI 레퍼런스 메인보드의 S-ATA 드라이브 문제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그래픽 카드와는 다르게 메인보드에서는 레퍼런스 제품들보다 사용자들에게는
제조사들의 비레퍼런스 제품들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번 NVIDIA의 nForce 680i SLI의
레퍼런스 제품들에서 S-ATA HDD와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기본적인 문제는 드라이버나 바이오스 부분의 튜닝 문제로 보여지는데 이미 NVIDIA는
nForce 초기 칩셋 시절부터 IDE 문제 등으로 사용자들의 불편을 가져오기도 하였는데 이번에는 IDE를 줄여가는
상황에서 이를 대체할 S-ATA 지원 부분에서의 문제가 붉어졌다. NVIDIA 레퍼런스 메인보드를 제공하는 제조사 등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바이오스를 내놓고 있는 상황이지만, 사용자들은 여전히 IDE에서 발생했던 문제들처럼
불안감을 쉽게 버릴 수 없는 상황이다.
[680i
SLI 레퍼런스 메인보드 S-ATA 드라이브 문제 수정 : 이미지 클릭]
현재 NVIDIA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조사별로 수정된 바이오스를 링크하고 있는
별도의 페이지를 잘 보이도록 하고 있다. 페이지에도 소개되어 있듯이 NVIDIA의 레퍼런스 디자인을 가진 메인보드들로
한정하고 있으며, 비레퍼런스 디자인으로 제작된 ASUS 같은 제조사들의 제품들에서는 아직 이런 문제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상황이다.
NVIDIA의 레퍼런스 디자인을 가진 제품들로는 EVGA, BFG, ECS, Biostar
제품들이 있는데 각각의 제품은 EVGA nForce 680i SLI, BFG nForce 680i SLI, ECS
PN2-SLI2+, Biostar TF680i SLI Deluxe들이다. 현재 이 제품들 중 EVGA와 BFG 제품이
링크를 통해 수정된 바이오스를 제공하고 있고 나머지 두 제품들의 경우 시장에 등장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해당 링크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
주로 발생하는 문제는 S-ATA HDD에 윈도를 설치하거나 프로그램들을 설치, 파일 복사 등의
작업을 진행할 때 발생하고
있는 문제이다. NVIDIA 레퍼런스 메인보드에 이를 해결할 바이오스를 업데이트하면 해결된다고 언급하고 있지만, 여러
포럼들에서는 해결 바이오스로도 여전히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 대표적인 증상들로 무작위 프로그램 종료,
부트드라이브 오류, 블루스크린, 데이터 오류 등으로 사용 환경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 몇 시간의 테스트들로는 쉽게
찾아내기 어려운 문제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미 IDE 부분에서의 전래가 있어왔던 만큼 NVIDIA는 이의 해결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