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SLI안쓴다구? 650i Ultra가 있잖아!, 렉스텍 nForce 650i UItra

2007-05-22 00:00
김찬호 前 기자 mercuti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ress@bodnara.co.kr

2. 우선, 650i Ultra 를 알아보자



 


   

 

 

 

 

 

 

우선, 650i Ultra 를 알아보자

nVIDIA 입장에서 생각한다면, 그래픽 카드를 한 장이라도 더 판매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를 멀티GPU 구성인 SLi 기술이 반갑다. 여기에 추가로 물리 연산을 해 줄수 있는 그래픽 카드까지 추가한다면, 하나의 시스템에 세 장의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게 되며, 모두 nVIDIA로 구성했을때, 최소한 자사의 제품 중 네 가지는 한 케이스안에 들어있게 된다.

하.지.만, SLi를 구성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멀티 렌더링에 최적화된 게임이 많이 출시되었다고 해도 그에 따르는 두 개의 그래픽 카드 및 파워 서플라이의 추가 비용을 생각한다면, 실용적이라고 말 할 순 없다. (거기에 nForce 680i SLI 메인보드는 비싸기까지) 네이티브 DX10을 지원하는 보급형 그래픽 카드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 사용하고 있는 그래픽 카드에 동일한 놈을 추가해 무리하는 것 보다, 차세대 그래픽 카드를 하나 꼽는편이 훨신 실용적이라고 판단하는 사람들이 많다.

멀티 렌더링을 위해 두 개의 그래픽 슬롯(2 x 16 / 2 x 8 / x16, x8 / x16, x4 모두를 포함해)을 지원하는 메인보드를 사용하고 있다고 해도, SLI나 CrossFire를 구성하는 사용하자는 얼마나 될지 생각해볼 일이다.

그래서 퍼포먼스 레벨의 nForce 650i Ultra가 존재하는 것이다. 아래의 블럭 디아그램을 통해 지원하는 기술을 살펴보자.

nVIDIA는 노스/사우스 브릿지가 아닌 SPP(System Platform Processor)와 MCP(Media Communication Processor)로 메인보드를 구성한다. SPP는 CPU 및 메모리 컨트롤과 PCI-Express 슬롯 들의 제어를, MCP는 이더넷, 오디오, USB, IDE 및 SATA와 PCI 슬롯의 제어를 담당하며, SPP와 MCP는 HyperTransport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즉, nForce 650i SLI는 인텔 칩셋과 닮은 아키텍쳐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 부분이다.

nForce 680i SLI는 두 개의 PCI-Express x16 슬롯을 지원하기 위해 SPP와 MCP에서 각각 PCI-Express x16을 제어하며, MCP HT(HyperTransport) 클럭을 통해 성능 제어를 하기 때문에 가격을 위해 몇몇의 기능을 빼놓은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표를 보면 각각의 nForce 600i 시리즈 차이점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제품명

nForce
680i SLI
nForce
680i LT SLI
nForce
650i SLI
nForce
650i Ultra

속  성

Extreme
Enthusiast SLI
Extreme
Performance SLI
Performance SLI Performance
지원 CPU Core 2 Extreme, Core 2 Quad, Core 2 Duo,
Celeron D, Pentium 4, Pentium D 9XX, Pentium D 8XX

FSB

1333MHz 1333MHz 1333MHz 1333MHz
FSB 오버클럭 Best Good Good Good

EPP 메모리 지원

1200MHz 800MHz 800MHz 800MHz
SLI 구성 2 x 16 2 x 16 2 x 8 미지원
PCI-E Lanes
/ Links
46 lanes
/ 9 links
46 lanes
/ 9 links
18 lanes
/ 4 links
18 lanes
/ 3 links
3rd PCI-E 슬롯 지원 지원 미지원 미지원
SATA / PATA 6 / 2 6 / 2 4 / 2 4 / 2
NVIDIA DualNet 지원 지원 미지원 미지원
Teaming 지원 지원 미지원 미지원
TCP/IP Acceleration 지원 지원 미지원 미지원
USB 포트 10 10 8 8

지원하는 CPU는 동일하며, 3분기에 출시될 FSB 1333MHz 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같지만, SLI-Ready EPP 메모리를 통해 최대 DDR2-1200MHz의 지원은 680i SLI만 지원하며, 650i SLI에서 두 개의 8x를 통해 지원하는 SLI도 650i Ultra에서 생략된 부분이다. 그 외에, PCI-Express Lane과 Link의 차이 및 듀얼넷, Teaming, TCP/IP 가속, USB 포트의 숫자로 보급형에 근접한 제품임을 알 수 있다.

 

그럼 가격차이(MSRP)는?

nVIDIA가 정한 MSRP(manufacturer's suggested retail price : 생산자에 의해 결정되는 소매가격)는 680i SLI에 비해 약 $150 정도 저렴한 대신, 극악의 오버클럭과 물리연산을 위한 PCI-Expree 슬롯, POST LED 등이 없어진다. nVIDIA만을 놓고 보았을때, 최상의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 투자하는 금액이 아깝지 않다면 nForce 680i SLI를 추천할 수 있지만, 단숨에 하이엔드 제품을 구입한다고 해도, 그만큼의 성능 발휘를 못해 아쉬워하기 보다는 '즐기기'위한 컴퓨팅에는 문제가 전혀 없다고 볼 수 있다. 

 

nVIDIA가 제시한 인텔 P965와의 비교는?

Core2Duo의 열풍과 함께한 P965 메인보드를 넘기 위해 만들어 진 것이 인텔 플렛폼 형 nForce 600i 시리즈다. 그 중 막내격인 nForce 650i Ultra의 성능을 nVIDIA 자체적으로 테스트한 값을 살펴보자.

위 테스트 값을 보면, 연두색이 최적화 전의 nForce 650i Ultra의 성능이며, 녹색의 그래프가 최적화 후의 성능이다. P965에 비해 솔직히 1.3~3.5% 높은 미미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지만, 같은 가격이라면 선택할 만한 메리트는 가지고 있다고 nVIDIA는 주장하고 있다. 인텔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nForce 600i 시리즈는 마치 엄마 친구 아들 처럼 자사의 플렛폼을 능가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사실, P965 칩셋은 사우스 브릿지만 변경하며, 기본적인 지원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부족한 하이엔드를 타 사 칩셋이 채워주고 있는 현실이며, nForce 650i Ultra 마저 위협하는 성능을 보여주기 때문에, 인텔의 Bearlake 칩셋의 드라이버나 바이오스가 안정화되기 전까지는 충분히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셈이다.

 

그 외에 650i Ultra가 지원하는 기술은?

GeForce 그래픽 카드와 환상 궁합을 주장하는 nForce 650i Ultra는 이 외에도 지원하는 기술은 많다. 'MediaShield 스토리지 기술'로 데이터 전송 속도의 상승과 보호를 할 수 있는 RAID 지원, 'FirstPacket 기술'을 통해 다운로드 중에도 끊김없는 게이밍을 할 수 있게 이더넷 전송의 우선 순위를 만들 수 있으며, NV 바이오스/소프트웨어 및 nVIDIA를 통한 직접적인 최신 바이오스 지원으로 'Design by nVIDIA'에 합당한 사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scoot (ID) scoot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2 0:35/ 신고
점점 다양화하는 엔포스를 느끼게 하는 제품이네요.
리뷰 잘 봤습니다.
milkblue (ID)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2 1:43/ 신고
어떤 반응을 얻을지 기대됩니다.
gt75 (ID) gt7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2 8:55/ 신고
인텔 CPU는 인텔 칩셋이라는 생각이 너무나 확고해서 시장진입에 성공할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차라리 SLI관련 제품에 집중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pg1313 (ID) pg131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2 8:56/ 신고
소켓만 다르고 거의 같다는 느낌이 드네요.
엔비디아의 가격 경쟁력은 높아 보이는데, 가격은 비싸니..
역시 인텔,MS의 마케팅을 확실히 숙지 한듯..
rinups (ID) rinup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2 9:31/ 신고
흠..성능만 좋다면야 넘어갈 의향이 있습니다..
kor275 (ID) kor27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2 11:28/ 신고
엔포스도 요즘 괜찮죠...가격만 조금 내려간다면 더 좋을텐데...
jjiare02 (ID) jjiare0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2 15:02/ 신고
기대되네요. 역시 안정성이 어떨지가 관건이겠죠.
seel013 (ID) seel01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2 15:21/ 신고
가격은 괜찮은것 같습니다.
바이오스의 완성도에 따라 제품의 성패가 결정되지 않을까 싶네요.
kama136 (ID) / 07-05-22 16:40/ 신고
인텔칩셋의 메인보드의 주는 믿음과... 안정성을 넘기에는...
kss8569 (ID) kss856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2 18:58/ 신고
인텔CPu와 호완성? 안정성 을봐야..
skarhkdg (ID) / 07-05-22 21:01/ 신고
이거 백패널이 너무 횡한게 아닌가 싶네요..;;
jin2006 (ID) / 07-05-22 22:28/ 신고
가격적 메리트만 있다면...
iamafool (ID) iamafool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2 23:04/ 신고
가격이 잘나가는 965보드하고 비슷하더군요.
ceoh (ID) / 07-05-23 11:54/ 신고
발열과 바이오스 안정성은 어떤지요?
yyskjy (ID) / 07-05-23 14:32/ 신고
인텔CPU와 엔포스의 조합이라.......
언발란스하면서도 끌리는 느낌이네요^^;;;;;
pphpeace (ID) pphpeac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3 16:31/ 신고
보급형 Ultra 라..
가격이 적정할지 궁금하군요..
650과 680 이 있지만 그 사이에도 새로운 라인업이 생길텐데..
y20303 (ID) y2030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4 2:14/ 신고
아직 거쳐야 할 산이 많은거 같은데..과연 어떤 평가가 주류가 될지..
sky0734 (ID) sky0734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4 7:49/ 신고
인텔과 실제 경쟁하기에는 장점이 많지 않지만 가격면에서 메이트만 있다면 경쟁은 가능하겠네요.
emaeull (ID) emaeull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4 18:45/ 신고
과연 가격적인 메리트가 있는건지...???
kyta123 (ID) kyta12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4 21:19/ 신고
SLI(크로스파이어)를 안쓰는 사람들에게는 가격적인 면에서 매리트 있지않을까요?
ljhhjw (ID) ljhhjw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6 11:17/ 신고
아직은 가격이 높아 보이네ㅛㅇ
yunkj (ID) yunkj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6 11:29/ 신고
가격적인 잇점만 있다면 이 보드도 괜찮을듯
godanhan (ID) / 07-05-27 16:55/ 신고
역시 문제는 가격이군요.
masasi (ID) masasi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7 20:17/ 신고
10만원 이하로 나올거라니 상당히 관심이 가는 제품이네요. P35 는 너무 비싸고, 945,965는 부족해 보이니....
blasty (ID) blast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7 20:38/ 신고
좋은데, 가격이...저라면 7025나 690을..
yakpkb (ID) yakpkb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7 21:24/ 신고
그래도 인텔은 P35칩셋을 출시해서 어떻게 될런지...
guru (ID) / 07-05-27 22:45/ 신고
워낙 인텔 칩셋이 인기가 좋아서 얼마나 선전할 수 있을지 의문인데요..
jenjinman (ID) jenjinm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7 22:57/ 신고
엔비디아가 인텔 칩셋을 지원하는 보급형 모델이 나왔네요. 과연 시장 반응은 어떨지 기대되네요.
aga1111 (ID) aga111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6-03 3:01/ 신고
9만원쯤이라면 충분히 메리트가 있을듯한데 가격이..
wineagle (ID) / 07-06-03 6:30/ 신고
선택의 폭이 넓어져서 좋네요.
yuhwa (ID) yuhw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6-03 9:48/ 신고
보급형으로 괜찮을 것 같습니다.
bluemun (ID) bluem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6-06 0:44/ 신고
말이 울트라지 보급형 메인보드로 적당해 보이네요.
jlee95 (ID) jlee9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6-06 8:59/ 신고
인텔과 경쟁이 쉽지 않겠네요.
mookee (ID) mooke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6-07 0:38/ 신고
인텔칩셋을 뛰어넘는 모습을 보여줄지.. 우리나라 소비자는 많은 부분 보수적이라서...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5/22] '월드 오브 워쉽' x 벽람항로 일곱 번째 콜라보레이션  
[05/22] GTA 온라인, FIB 파일 피날레에서 보상 두 배 제공  
[05/22] 넥슨, 메이플스토리M M4U 아일랜드 2차 이벤트 실시  
[05/22] 운빨존많겜, 출시 1주년, 역대급 업데이트와 이벤트 쏟아진다!  
[05/22] 서린컴퓨터, 시스템 빌드 전문 유튜버와 협업한 'PC SNAP 에디션' 출시  
[05/22] 펀키스, 31g 초경량 마그네슘 합금 8K 게이밍 마우스 WLMouse Beast Miao 시리즈 출시  
[05/22] Razer, 생산성과 게이밍 동시에 잡은 3종 키보드 마우스 출시  
[05/22] 디아블로 IV, 2025 세계 접근성 인식의 날 기념해 누구나 손쉽게 성역을 탐험하도록 돕는 기능 소개하는 영상 공개  
[05/22] 마우저, 첨단 비전 AI 기술을 지원하는 르네사스의 RZ/V2N 마이크로프로세서 공급  
[05/22] MSI, AI 게이밍 모니터 분야 선도  
[05/22] 삼성전자, AI 기능 탑재한 'AI 통버블 세탁기' 출시  
[05/22] 라이엇 게임즈, 발로란트 출시 5주년 기념 ‘자선 // V25 세트‘ 출시  
[05/22]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90 FE 둠 더 다크 에이지스 에디션 공개  
[05/22] 소니 PS5 가격 세 번째 인상 카드 꺼내나?  
[05/22] 넷마블 신작 세븐나이츠 리버스, CU와 제휴 이벤트 실시  
[05/22] 소리샵, 파이널(Final)의 프리미엄 유선 이어폰 S5000 출시  
[05/22] 웨스턴디지털, 인그라시스와 AI 워크로드 대응 위해 고성능 패브릭 연결 분산형 스토리지 공동 개발  
[05/22] 로보락 S9 MaxV Ultra, GS홈쇼핑 판타지에스 특집 방송 진행  
[05/22] 플레인비트-나루씨큐리티, 디펜더 서밋 2025 개최  
[05/22] 넥슨, 메이플스토리 2025 여름 ‘어셈블’ 쇼케이스 6월 7일 개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