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새로운 G92코어를 장착한 NEW 8800GTS! XFX 8800GTS Alpha Dog Edition 512MB

2007-12-14 00:00
권경욱 前 기자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ress@bodnara.co.kr

2. G92, 8800GTS 512MB의 달라진 점




 

 

 

 

 

 

G92 코어를 기반으로 한 NVIDIA GeForce 8800GTS 512MB는 그래픽시장의 세대교체를 가져올 폭풍의 눈! NVIDIA GeForce 8800GT 장착 Leadtek Winfast 8800GT Extreme 기사에서 살펴본 G92 코어 기반 NVIDIA GeForce 8800GT 512MB와 동일한 G92 코어를 가지고 있으며, 코어와 메모리, 쉐이더 클럭의 차이, 그리고 스트림 프로세서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어떠한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자.

 

128개의 스트림 프로세서를 제공하는 G92 코어 8800GTS 512MB

[G92, GeForce 8800GT 512MB 스트림 프로세서 유닛 구성 (112SP)]

[G80, GeForce 8800 시리즈 스트림 프로세서 유닛 구성 (128SP)]

G92 코어를 적용한 새로운 GeForce 8800GTS 512MB는 G92 코어를 적용한 GeForce 8800GT보다 한 그룹의 스트림 프로세서 유닛을 추가하여 112개에서 16개 늘어난 128개의 스트림 프로세서를 갖는다. 이는 NVIDIA GeForce 8800GTX 768MB와 GeForce 8800 Ultra 768MB가 가진 스트림 프로세서 유닛과 동일한 갯수다.

하지만, 상위 G80 코어 기반의 8800GTX나 8800 Ultra와 동일한 128개의 스트림프로세서를 제공하는 대신 메모리 인터페이스는 상위 제품들이 384bit를 제공하는 것과는 달리 256bit로 줄어들었고 대신 코어와 메모리, 그리고 쉐이더 클럭을 크게 높여 줄어든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보완해주고 있는 방식이다.

또, ROP (Raster Operation, Render Back-End Units) 역시 G80 8800GTX와 8800 Ultra가 6개로 이루어진 그룹마다 4개의 픽섹을 한 클럭에 처리할 수 있어 총 24개의 픽셀 처리 능력을 가지는데 G92 8800GT 512MB와 8800GTS 512MB는 16개로 줄어들었다.

그 외 DirectX 10, Shader Model 4.0, 통합 쉐이딩 아키텍처는 그대로 유지되며, FP16과 FP32 지원이 추가되어 HDR + AA의 지원, 128bit HDR 렌더링 지원에는 차이가 없다. 추가로 Anti-Aliasing에서 기존보다 향상된 4xMSAA와 16x CSAA 지원 부분 역시 차이는 없지만, 새로운 Trancsparency Multisampling (TRMS)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이미지 품질 개선과 함께 성능 저하를 줄였다고 NVIDIA는 밝히고 있어 AA 성능 저하 부분을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DirectX 10과 통합 쉐이딩 아키텍처 등에 대한 궁금한 내용은 나를 타짜라 불러다오!! XFX GeForce 8800 GTX 기사와 G80 GPU의 내부 구조는 코드명 G80, DirectX 10, nVIDIA GeForce 8800 / 도대체 어떤게 바뀐거야? 그래픽시장의 세대교체를 가져올 폭풍의 눈! NVIDIA GeForce 8800GT 장착 Leadtek Winfast 8800GT Extreme 기사를 통해 소개되고 있으므로 참조하면 된다.

 

쉐이더 처리 능력 향상을 위한 스트리밍 프로세서 구조 개선

[8800 시리즈에 적용된 스트리밍 프로세서 구조]

GeForce 8800 시리즈는 16개의 스트리밍 프로세서가 총 8 그룹이 사용되어 최대 128개의 스트리밍 프로세서가 제공된다. 16개 스트리밍 프로세서 하나의 구조는 텍스처 처리를 위한 텍스처 필터링과 텍스처 어드레스 유닛, 그리고 Shader 연산 작업을 빠르게 처리하기 위한 L1/ L2 캐쉬가 제공된다.

이미 GeForce 8500과 8600 시리즈를 소개하였을 때 언급하였던 부분으로 G80 코어 기반의 8800 시리즈와는 다르게 G92 코어 8800GT 512MB와 8800GTS 512MB는 모두 텍스처 어드레스 유닛과 텍스처 필터링 유닛이 1:1 구성을 하고 있다. G80 코어 8800 시리즈 (8800GTX, 8800 Ultra 등)의 경우 이와는 다르게 1:2의 구성을 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텍스처 어드레스 유닛과 텍스처 필터링 유닛을 1:1로 구성함에 따라 텍스처 처리 능력 향상을 통해 클럭 당 쉐이더 처리 능력이 높아졌다. G92코어 8800GT 512MB는 56 텍스처링 프로세서 (텍스처 어드레스 유닛 8개, 텍스처 필터링 유닛 8개로 1:1 (56 : 56) 구성을 하고 있다.) G92 8800GTS 512MB는 64 텍스처링 프로세서 (텍스처 어드레스 유닛 8개, 텍스처 필터링 유닛 8개로 1:1 (64 : 64) 구성을 하고 있다.)

 

2세대 PureVideo HD 지원 및 H.264 가속을 위한 BSP 엔진 제공

[G92 기반 8800GTS는 BSP를 통해 H.264 가속시 CPU 점유율을 낮춰준다.]

G92 기반의 GeForce 8800GT 512MB와 GeForce 8800GTS 512MB는 모두 이전 세대의 G80 코어가 1세대 PureVideo HD를 지원하여 H.264 하드웨어 가속 부분에서 CPU 점유율이 높았지만, GeForce 8500과 8600 시리즈부터는 2세대 PureVideo HD를 지원하고 H.264 코덱 가속을 위한 BSP 엔진을 내장했는데 G92 8800GT와 8800GTS는 모두 2세대 PureVideo HD 및 Video Processor 2, BSP 엔진 내장을 통해 CPU 점유율을 낮출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경쟁사의 HD 3800 시리즈들은 UVD (Unified Video Decoder)를 통해 H.264를 비롯하여 VC-1까지 하드웨어 가속 기능을 제공하므로 VC-1 코덱의 경우 G92 기반 8800GT와 8800GTS보다 CPU 점유율 면에서 유리하다. VC-1 코덱의 경우 G92 기반 8800GT와 8800GTS는 HD 3800 시리즈보다 아직까지 CPU 점유율이 높은 편이다. 새롭게 등장할 G98 코어 기반의 GeForce 8400GS 제품의 경우 VC-1 가속까지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상태다.

2세대 PureVideo HD를 지원하는 G92 기반 8800GT와 8800GTS 512MB는 1세대 PureVideo HD를 지원하여 BSP 엔진 등이 제외되고 있는 GeForce 7 및 8800 시리즈보다 낮은 CPU 점유율을 보여준다. 2세대 PureVideo HD에서는 CPU의 부하를 많이 차지하는 과정을 BSP 엔진을 통해 처리해주어 CPU의 점유율을 낮춰준다. CPU가 처리해주던 CABAC (가변 길이 부호화)와 CAVLC (산술 부호화) 과정을 모두 GPU의 BSP 엔진이 이를 처리해주기 때문에 CPU의 점유율을 낮출 수 있다.

G92 코어 8800GT와 G80코어 8800 시리즈 등의 H.264와 VC-1 가속 성능은 그래픽시장의 세대교체를 가져올 폭풍의 눈! NVIDIA GeForce 8800GT 장착 Leadtek Winfast 8800GT Extreme 기사를 참조하자.

 

G92 코어 8800GT/ 8800GTS와 G80 코어 8800 시리즈 비교

스펙

GF 8800GTS

GF 8800GT

GF 8800GTS

GF 8800GTX

GF 8800Ultra

제조공정

65 nm (G92)

65nm (G92)

90 nm (G80)

트랜지스터

7억5천4백만

7억5천4백만

6억8천1백만

코어클럭

650 MHz

600 MHz

500 MHz

575 MHz

612 MHz

Shader 클럭

1625 MHz

1500 MHz

1200 MHz

1350 MHz

1500 MHz

스트림
프로세서

128 개

112 개

96 개

128 개

메모리 클럭

1940 MHz

1800 MHz

1600 MHz

1800 MHz

2160 MHz

메모리
인터페이스

256 bit

256 bit

320 bit

384 bit

메모리 대역폭

62.1 GB/s

57.6 GB/s

64 GB/s

86.4 GB/s

103.7 GB/s

메모리 용량

512 MB

256/ 512 MB

640/320 MB

768 MB

ROPs

16

16

20

24

텍스쳐
필레이트

41.6 GT/s

33.6 GT/s

24 GT/s

36.8 GT/s

39.2 GT/s

HDCP 지원

지원

HDMI 지원

지원

버스
인터페이스

PCI Express 2.0

PCI Express 2.0

PCI Express 1.1

TDP

~150 W

110W

147 W

177 W

175 W

가격

$299 - $349

$199 - $249

$349 - $399

$499 - $599

$699

G92 코어를 사용한 8800GT와 8800GTS는 이전의 G80 코어 제품들이 90nm 공정을 적용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65nm 공정을 적용하여 같은 크기의 다이에서 더 많은 코어를 생산이 가능하고 클럭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가격적인 부분과 클럭 상승에 따른 성능 향상, 그리고 공정 개선에 따른 발열 및 소비전력에서도 유리해졌다. 소비전력의 경우 G92기반 8800GT는 110W, G92 8800GTS는 최대 150W로 G80 기반의 8800GTX나 8800Ultra와 비교하여 낮아졌다. G92 코어 8800GTS의 경우 클럭 향상과 스트림 프로세서 증가 등에 따라 G92 코어 8800GT보다 소비전력이 높아졌다.

G92 코어를 사용한 8800GT와 8800GTS는 G80 코어 기반의 8800 시리즈와 비교하여 코어와 메모리 클럭을 비롯하여 쉐이더 클럭 역시 증가되었다. 대신, 메모리 인터페이스는 256bit로 낮아졌는데 이를 코어와 메모리, 쉐이더 클럭을 높임으로써 메모리 인터페이스 부족을 보완해준다. (G80 코어 8800GTS는 320bit, 8800GTX와 8800Ultra는 384bit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스트림 프로세서 역시 G80 8800GTS 320/ 640MB가 96개, 8800GTX/ 8800Ultra가 128개를 가지는 것과 비교하여 G92 8800GT는 112개, G92 8800GTS는 128개를 가진다. 따라서, 메모리 인터페이스는 줄었지만, 클럭 향상 및 스트림 프로세서의 증가를 통해 G92 코어 기반의 8800GT와 8800GTS는 높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ROP 역시 G92 코어 기반의 8800GT/ 8800GTS는 16개, G80 8800GTS 320/ 640MB의 20개와 8800GTX/ 8800Ultra의 24개보다 줄어들었다.

HDCP 지원은 경쟁사의 HD 3800 시리즈와는 다르게 코어 내부에 이를 온칩화하지 않아 외부 HDCP 키롬을 이용하며, HDMI는 코어 내부에서 이를 지원하고 있다. 또, G92 코어를 사용한 8800GT와 8800GTS는 PCI-Express 2.0을 지원하고 있어 PCI-Express 1.1 대비 더 높은 대역폭을 활용할 수 있다.

가격 부분 역시 G92 코어 8800GT가 G80 기반의 8800GTS 320/ 640MB보다 낮으면서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어 가격대 성능비가 좋다. G92 코어 역시 $299 ~ $349 사이의 가격을 형성할 것으로 알려져 G80 코어를 사용한 8800GTS 320MB 수준의 가격을 형성하면서 성능은 8800GTX를 위협하고 있다. 그러나, 성능과 함께 가격을 고려한다면 G92 코어 8800GTS 512MB보다 8800GT 512MB가 더 유리한 것은 사실이며, 국내에 출시된 G92 코어 8800GTS 512MB는 38만원 대를 기록하여 가격적으로 8800GT 512MB보다 불리한 입장이다.

G92 코어 8800GTS 512MB는 AMD ATI에서 등장할 HD 3870 X2 (RV670 코어 2개 사용) 버전을 견제하기 위해 등장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먼저 등장한 만큼 가격적인 부분에서 유리하고 내년 등장할 것으로 알려진 NVIDIA DirectX 10.1 지원 그래픽 카드들이 등장하기 전까지의 공백을 매워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apolyon (ID) / 07-12-14 0:09/ 신고
성능차이가 그리 많이 나질 않아서 큰 메리트는 없는거 같네요..
taru777 (ID) taru77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4 0:10/ 신고
전 저 멍멍이가 잼나게 생겨서 좋더군요(?)
kyta123 (ID) kyta12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4 0:21/ 신고
먼저 가격대에서 매리트가 없다고 봐야하겠군요,
8800GT가 없었다면 모르겠지만...
asica / 07-12-14 0:51/ 신고
차라리 ddr4를 달고 나오지 거의 메리트가 없군요.
jung21 (ID) / 07-12-14 0:57/ 신고
xfx만 그렇지 타사를 보면 이미 new gts가 적정가격에 내려와 있죠. 그게 gt xxx시리즈들을 압박중입니다.
y20303 (ID) y2030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4 1:44/ 신고
아무래도 가격이 있는지라 성능에 비해 큰 매력이 없어 보이네요
mktsoft (ID) / 07-12-14 1:53/ 신고
오타신고: 3페이지에 [GPU-Z로 인식된 GeCube Radeon HD 3850 512MB OC]
성능이 확실히 좋아졌네요.
zx1977 (ID) zx197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4 2:49/ 신고
성능은 좋아보이지만 저같이 일반유저들은 가격대비성능비를 보기에 ... 구경만 해야되네요...
joel83 (ID) joel8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4 2:50/ 신고
앱솔루트쪽 제품들이 자주 보이네요-
milkblue (ID)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4 3:00/ 신고
8800GT 때문에 경쟁력을 가지려면 가격차이를 줄여야 겠군요.
bsbday (ID) bsbda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4 4:01/ 신고
컴 성능도 후달리고.. 콘솔이 생긴 이후론 컴퓨터게임을 안하다보니 비디오카드 기사에서도 HD영상 가속쪽으로만 관심이 쏠리게 되는군요.
높은 가격에 HD영상 재생시 보다 높은 CPU점유율..
탐이 나는 카드이긴 하지만 3870가질래 8800 GTS가질래 라고 한다면 3870을;;
blasty (ID) blast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4 7:07/ 신고
역시 가격이 높은 제품이군요. 3850의 인기가 더 좋을듯..
qp / 07-12-14 8:42/ 신고
분명 기존 8800과는 다른 제품인데, 이름을 8850같이 50정도는 더 붙여줘야 할듯한데.
왜 기존과 똑같은 제품명를 사용했는지 궁금.
cvera (ID) / 07-12-14 8:43/ 신고
이야.... 로또만 맞아라 제발... ^^
bluemun (ID) bluem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4 9:38/ 신고
8800GT와 가격대비 성능에서 안 좋아 보이네요. 뭐 고성능 그래픽카드를 필요로하는 분들도 있으니
blackchh (ID) / 07-12-14 9:43/ 신고
G92를 쓴 8800GTS벤치지마 눈길은 HD3870에 더 가지네요. 가격대비의 성능에는 HD3800시리즈가 더 낫죠...
zeonis (ID) zeoni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4 9:49/ 신고
초기의 높은 각겨은 시간이 지나면 내려갈 것이고 기다리는 것이 상책이네요 ...
kimjongkyeun (ID) / 07-12-14 10:22/ 신고
확실히 새로운 드라이버가 나오니까 8800GT와의 차이가 점점더 커지는군요...
vsado (ID) / 07-12-14 12:47/ 신고
8800gt와 그리 차이가 없는 성능.. 가격만 낮아지면 "한번 생각 해 볼까?" 정도 이네요.
x8051 (ID) x805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4 13:03/ 신고
메리트가 없게 느껴지는건 가격이 문제이네요. @_@
jin2006 (ID) / 07-12-14 13:42/ 신고
가격을 고려한다면 8800gt 가 나아 보이네요.
왠지 재고처리용 같다는...
athlon88 (ID) / 07-12-14 14:11/ 신고
소비전력은 역시 높군요. -_-;
rbear (ID) rbe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4 15:02/ 신고
경쟁상대는 자사제품은 8800GT일듯 합니다. 최근 3800시리즈에 사용자의 관심이 솔리는 것도 가격대비 성능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이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됩니다. 솔직하게 어중간한 라인업이기 때문에 관심이 가질 않네요.
asto2020 (ID) asto202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4 15:54/ 신고
완전 내 본체값..
ds0160 (ID) / 07-12-14 16:33/ 신고
얼렁 DX10.1지원이나 해주지 =ㅅ=;;
white117 (ID) / 07-12-14 16:40/ 신고
거의 GTX급 성능을 보여주는 제품을 어느정도 노려볼 만한 가격대에 만날수
있다는데 점수를 주고 싶네요. GTX는 아직도 60만원대라 감히 올려다볼 엄두도 안난다는...
eros96 (ID) / 07-12-14 17:03/ 신고
먼저나온...8800GTX...이래저래 치이는군요 ㅠ.ㅠ
kama136 (ID) / 07-12-14 18:40/ 신고
가격대비(?) 성능에서는 GT제품이 역시나 낫겠군요.
seel013 (ID) seel01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4 19:01/ 신고
G92 8800시리즈는 항상 가격이 문제네요 ^^;;
내년이 되면 좀 나아질려나요...
hojin93 (ID) / 07-12-14 19:33/ 신고
가격이 조금더 저렴해지지않는다면 큼 매리트는 없어보이네요.
actium (ID) actium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4 19:56/ 신고
오호! 8800GT 오버가 나온 상황이라...글쎄요. 가격적인 매리트가 있을지...
ktk7 (ID) ktk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4 21:23/ 신고
매리트는 없을지는 모르겠으나 지금 내가 쓰고있는것 보다는 훨씬 좋군요.ㅋㅋㅋ
godanhan (ID) / 07-12-14 21:46/ 신고
이 제품이 8800gt와 엇비슷한 가격이면 좋을텐데 말이죠. ㅎㅎ
ohye701 (ID) ohye70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4 22:05/ 신고
역시 하드웨어가속이 있다고 했지만 2세대 PureVideo HD가 아니군요.
ho5945 (ID) ho594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4 22:22/ 신고
에이~ 이전보다야 저렴한 가격이겠지만 여전히 가격은 하늘을 치솟는다고 할 수 있겠군요. 한 단계 아래 제품인 8800GT랑 비교했을 때 가격 차이가 100불이 난다면 더 말할 것도 없습니다. 8800GT나 HD3800시리즈가 왜 인기를 끌었는데~
crazy100 (ID) / 07-12-15 9:45/ 신고
요즘은 main 보드나 램이나 하드보다도 그래픽 카드의 가격이 가장 쎈 것 같네요.
맘같아선 최신형으로 구매하고 싶지만...할 시간이 없어서 ㅡㅡ;
genesispower (ID) / 07-12-15 11:56/ 신고
너무나 높은 가격이 문제네요!!
역시나 GT는 쪽을 노리는게 좋겠는데요!!
lordstar (ID) lord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5 12:26/ 신고
트리플 엑스 제품 나오면 얼마나 성능이 올라갈지 기대가 되네요.
하지만 가격이 문자라는거...
jik4000 (ID) / 07-12-15 13:23/ 신고
내겐 너무 먼 당신...
jooh1023 (ID) / 07-12-15 15:23/ 신고
정말 굿이네요~~
blueye81 (ID) / 07-12-15 15:46/ 신고
생각보다 가격이... 쿨럭
8800GT를 사는쪽이 훨씬 좋지 않을까요?
yakpkb (ID) yakpkb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5 16:12/ 신고
왠지 8800GTX와 비슷한 성능을 보여주는걸로 봐서 가격대가 이와 비슷하게 형성되지 않을까하네요.
scoot (ID) scoot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6 11:25/ 신고
확실히 성능에서는 엔비디아가 많이 앞서는 느낌입니다. 가격이 좀 비싸서 그렇지
cmk05812 (ID) / 07-12-16 12:53/ 신고
관심 없을뿐더러, 사용할 일도 없기에 PASS~!!;;
splicer (ID) / 07-12-16 17:38/ 신고
8800GT랑 가격차이가 얼마나 날지....
zryu072141 (ID) zryu07214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7 22:39/ 신고
XFX가 경쟁사 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당히 쎄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쎄죠..
30만원 준다고 하면 지포스 선택 안합니다. 클럭에서 밀리고 테스트에서도 조금 앞서기도 하지만 대세는 밀린다고 봅니다. 가격을 다운시켜서 발빠르게 경쟁력을 두지 않는 한 시장 잠식은 힘들 듯 합니다. GTS로 새로운 돌풍이긴 하지만 전체 경쟁력에서는 떨어집니다. 지포스 흔들릴 수 도 있겠네요. 그동안의 지존자리가..-;;
이 제품은 써본적이 없어서 잘은 모르지만..기사만으로는 밀리네요..
sasam32 (ID) / 07-12-19 15:20/ 신고
가격대 성능비로 봤을 때는 확실히 8800GTX보다는 낫겠지만 내년에 나올 DX10.1기반의 신제품을 기다리거나 9000시리지를 기다리는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intermen (ID) / 07-12-21 1:19/ 신고
역시 신년을 기다려보는 희망을 가지는게 좋을듯싶네요.
genesispark (ID) genesispark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24 11:30/ 신고
GT 라는 제품때문에 포지션이 어정정한 제품으로만 보입니다.
terree (ID) / 07-12-28 3:38/ 신고
아..신공정이라는 말에 GTX정도는 가뿐히 넘겨줄 주 알았는데, 아직은 GTX까지는 안되는 거 같네요. 정말이지 8800GTX 구매하신 분들은 뽕을 뽑으시는 듯..^^
ryangedu (ID) / 08-01-13 14:37/ 신고
오버도 잘 되고 좋아보이네요. 하지만 가격대는 아직도 나와는 먼 당신이네요--;.. 더 저렴하지길..
lys2232 (ID) / 08-01-13 23:08/ 신고
성능은 말할것 없이 좋지만 가격이...
lomelindy (ID) / 08-03-23 0:27/ 신고
역시 손을 뻗기엔 너무 먼 가격입니다. 그리고 기존제품과 특화된것이 성능도 가격도 아니니 그저 나왔나보다 할뿐..
dreamwizard (ID) / 08-07-08 22:50/ 신고
역시 가격이 저랑은 너무도 멀리에...있네요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12/14] '월드 오브 워쉽' x 벽람항로 일곱 번째 콜라보레이션  
[12/14] GTA 온라인, FIB 파일 피날레에서 보상 두 배 제공  
[12/14] 넥슨, 메이플스토리M M4U 아일랜드 2차 이벤트 실시  
[12/14] 운빨존많겜, 출시 1주년, 역대급 업데이트와 이벤트 쏟아진다!  
[12/14] 서린컴퓨터, 시스템 빌드 전문 유튜버와 협업한 'PC SNAP 에디션' 출시  
[12/14] 펀키스, 31g 초경량 마그네슘 합금 8K 게이밍 마우스 WLMouse Beast Miao 시리즈 출시  
[12/14] Razer, 생산성과 게이밍 동시에 잡은 3종 키보드 마우스 출시  
[12/14] 디아블로 IV, 2025 세계 접근성 인식의 날 기념해 누구나 손쉽게 성역을 탐험하도록 돕는 기능 소개하는 영상 공개  
[12/14] 마우저, 첨단 비전 AI 기술을 지원하는 르네사스의 RZ/V2N 마이크로프로세서 공급  
[12/14] MSI, AI 게이밍 모니터 분야 선도  
[12/14] 삼성전자, AI 기능 탑재한 'AI 통버블 세탁기' 출시  
[12/14] 라이엇 게임즈, 발로란트 출시 5주년 기념 ‘자선 // V25 세트‘ 출시  
[12/14]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90 FE 둠 더 다크 에이지스 에디션 공개  
[12/14] 소니 PS5 가격 세 번째 인상 카드 꺼내나?  
[12/14] 넷마블 신작 세븐나이츠 리버스, CU와 제휴 이벤트 실시  
[12/14] 소리샵, 파이널(Final)의 프리미엄 유선 이어폰 S5000 출시  
[12/14] 웨스턴디지털, 인그라시스와 AI 워크로드 대응 위해 고성능 패브릭 연결 분산형 스토리지 공동 개발  
[12/14] 로보락 S9 MaxV Ultra, GS홈쇼핑 판타지에스 특집 방송 진행  
[12/14] 플레인비트-나루씨큐리티, 디펜더 서밋 2025 개최  
[12/14] 넥슨, 메이플스토리 2025 여름 ‘어셈블’ 쇼케이스 6월 7일 개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