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nm 공정이지만, 효율 향상을 위한 내부 개선!
[GeForce 9600GT, G94-300-A1]
NVIDIA는 지금까지 메인스트림 시장에 이전 세대의 퍼포먼스급에 가깝거나 넘어서는
성능을 내주면서 마음만 먹으면 구입할 수 있는 가격을 형성하여 가격적으로도 유리한 제품들을 내놓고 있다. 대표적으로 잘
알고 있는 GeForce 6600GT/ 7600GT/ 8800GS/ 오늘 살펴볼 9600GT의 메인스트림 라인업이
그것이다.
GeForce 9600GT는 G92 기반의 8800GS 제품들을 대체하기 위해 등장한
메인스트림 제품인데 기존 8800GS의 경우 상위 8800GT에서 스트림 프로세서와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줄였지만, G92
코어에 제약을 준 만큼 생산 부분이나 가격적인 부분에서 그렇게 유리하게 작용하지는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설계를 할 필요가 있었고 그렇게 나온 것이
GeForce 9600GT로 볼 수 있다. GeForce 9600GT는 G92 코어와 동일한 65nm 공정을 사용하고
있지만, 스트림 프로세서가 줄어드는 등으로 성능 저하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새로운 구성을 하게 된다.
GeForce 9600GT는 G94의 새로운 코어를 사용하고 새로운 이름이 부여되었으나 G92 코어의 8800GS/ GT/ GTS와
같이 DirectX 10 지원의
특징인 통합 쉐이더 아키텍처 및 DirectX 10과 Shader Model 4.0의 지원을 유지하고 있어 경쟁사가
지원하는 DirectX 10.1은 지원하지 못하는 완벽히 새로운 칩셋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상위 G92 8800GTS
512MB의 절반의 스트림 프로세서를 가지고 나머지 스펙은 유사한 것도 이를 증명한다고 할 수 있다.
[G94 코어 GeForce 9600GT는 64개의 스트림 프로세서 제공]
GeForce 9600GT는 스트림 프로세서는 위 이미지의 8800GT의 7개 구성
(112개의 스트림 프로세서 제공)에서 4개로 줄어 총 64개의 스트림 프로세서를 제공한다. 단순히 보아도 48개의 스트림
프로세서가 줄어든 만큼 성능의 저하가 발생할 것을 예상해볼 수 있다.
그리고 클럭 당 쉐이더 처리 능력을 높이기 위한 구성 역시 8600 시리즈부터
이어오던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어 32 텍스처 프로세서 (텍스처 어드레스 유닛 8개, 텍스처 필터링 유닛 8개로 1:1
(32:32) 구성)를 구성하여 8800GS의 48, 8800GT의 56 구성보다 줄어들었다.
그러나, GeForce 9600GT는 스트림 프로세서가 줄어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비책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코어와 쉐이더 클럭의 향상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클럭의 향상은 성능과
직결되기 때문에 내부 구성을 줄이더라도 클럭을 높여 성능 저하를 줄이고 있다. GeForce 9600GT는 코어와 쉐이더
클럭이 각각 650/ 1625MHz가 적용되어 G92 8800GT가 가진 600/ 1500MHz보다 높고 G92
8800GS의 657/ 1450MHz과 비교하여 코어 클럭은 낮지만, 쉐이더 클럭은 더 높아졌다. 메모리 클럭은
GeForce 9600GT는 1800 (900)MHz, 8800GT는 1800 (900)MHz, 8800GS 384/
768MB (1750 (850)/ 1800 (900)MHz)와 큰 차이는 없다.
두 번째로 ROP (Raster Operation, Render Back-End
Units)의 갯수를 들 수 있다. GeForce 8800GS는 12개, 8800GT는 16개를 제공하였는데
GeForce 9600GT는 상위 제품인 8800GT와 같은 16개의 ROP를 제공한다. ROP의 경우 AA 적용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상위 제품과 동일한 ROP를 제공함으로써 고해상도와 AA 적용 등에서의 성능 저하를 줄일 수 있다.
세 번째로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G92 8800GT와 같은 256bit를 구성하고 있다.
G92 기반의 8800GS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메인스트림 그래픽 카드들은 128bit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가져 상위 그래픽
카드들과 성능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G94 9600GT는 256bit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여 성능 저하를
줄이고 있다. G92 8800GS의 경우 메모리 용량은 384/ 768MB로 메모리 용량은 증가될 수 있었지만, 메모리
인터페이스가 192bit로 줄어들어 성능 저하를 가져왔다. G94 9600GT는 상위와 같은 256bit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유지함으로써 성능 저하를 줄일 수 있다.
그 외
FP16과 FP32 지원으로 HDR + AA 지원, 128bit HDR 렌더링 지원,
Anti-Aliasing에서도 4xMSAA와 16x CSAA을 비롯하여, 새로운 Trancsparency
Multisampling (TRMS)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이미지 품질 개선과 함께 성능 저하를 줄인 부분 역시 그대로
이어받고 있다.
G92 기반의 8800GT 256/ 512MB, 8800GS의 궁금한 부분은 지난 기사인
그래픽시장의 세대교체를 가져올 폭풍의 눈! NVIDIA GeForce 8800GT 장착 Leadtek Winfast
8800GT Extreme 기사와
메모리에 발목잡혀 8800GT 512MB와 비교 불가! NVIDIA 8800GT 256MB
기사,
HD 3850 좋은 시절은 다 갔다! 이엠텍 GeForce
8800GS XENON 태왕 384MB HDMI VF1000
기사를 참조하자.
NVIDIA GeForce 9600GT/ 8600GTS/ 8800GS/ 8800GT 스펙
비교
스펙 |
GF 9600GTS 512MB |
GF 8600GTS 256MB |
GF 8800GS 384/ 768MB |
GF 8800GT 256/ 512MB |
제조 공정 |
65nm |
80nm |
65nm |
65nm |
코어 |
G94-300 |
G84-400 |
G92-150 |
G92-270 |
트랜지스터 수 |
505milion |
289milion |
754milion |
754milion |
코어 클럭 |
650MHz |
675MHz |
575/ 600-650MHz |
600MHz |
쉐이더 클럭 |
1.625GHz |
1.45GHz |
1.44/ 1.625GHz |
1.50GHz |
Stream Processors |
64 |
32 |
96 |
112 |
메모리 클럭/ 인터페이스 |
1800 (900)MHz/ 256bits |
2000(1000)MHz/ 128bits |
1700(850)/ 1800 (900)MHz/ 192bits |
1800 (900)MHz/ 256bits |
메모리 대역폭(GB/sec) |
57.6GB/s |
32GB/s |
40.8/ 43.2 GB/s |
57.6GB/s |
ROPs |
16 |
8 |
12 |
16 |
Texture filtering rate (texels
per clock)/ Texture Address Unit |
32/ 32 |
16/ 16 |
48/ 48 |
56/ 56 |
Texture Fill Rate
(Billions of billinear filtered texels/sec) |
20.8GT/s |
10.8GT/s |
32.2/ 33.6-36.4GT/s |
33.6GT/s |
HDCP 지원 |
지원 |
지원 |
지원 |
지원 |
DisplayPort 지원 |
지원 (온칩) |
- |
- |
- |
HDMI 지원 |
지원 (온칩) |
- |
- |
- |
RAMDACs |
400MHz |
400MHz |
400MHz |
400MHz |
버스 |
PCI-E 2.0 |
PCI-E 1.1a |
PCI-E 2.0 |
PCI-E 2.0 |
GeForce 9600GT는 G92 코어와는 달리 새로운
G94 코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앞서 언급하였듯이 G92 코어를 개선한 버전이기 때문에 DirectX 10.1은 지원하지
못한다. 스펙 구성의 차이에 따라 G92 코어의 754백만 트랜지스터보다 적은 505백만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제조
공정은 이전과 같은 65nm 공정이 그대로 사용된다.
또, 코어와 메모리 클럭 역시 상승된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쉐이더 클럭이 8800GT의 1500MHz보다 높아진 1625MHz가 적용되었다. 메모리 클럭의 경우 1800
(900)MHz로 이전의 G92 8800GS/ 8800GT와 큰 차이는 없다.
스트림 프로세서는 64개로 8600GTS와 비교하여 2배로
늘었지만, GeForce 8800GS의 96개나 8800GT의 112개보다 줄어든 스트림 프로세서를 제공한다.
GeForce 9600GT는 ROP 역시 8600GTS의 8개의 2배인 16개를 제공하고 이는 8800GT와 같다.
또한, 8800GS가 48, 8800GT가 56,
9600GT는 32 텍스처 프로세서로 줄어들었다.
출력 부분에서는 HDMI를 비롯하여 새로운 PC
모니터용 디지털 비디오 인터페이스인 DisplayPort를 지원하기 위한 트랜스미터를 모두 GPU에 온칩하여 이들을 바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HDMI 지원은 기존의 G92 시리즈 역시 온칩화 되었으나 경쟁사인 AMD처럼 오디오
컨트롤러까지는 포함하지 않았었는데 G94 9600GT 역시 HDMI의 오디오 출력은 외장형 사운드 카드나 온보다 사운드의
SPDIF 출력을 이용해야 한다.
인터페이스 역시 G92 기반의 8800 시리즈와 같이 PCI-Express 2.0 규격을
지원한다.
NVIDIA GeForce 9600GT와 경쟁 칩셋과의 스펙
비교
제품명 |
GF 9600GT |
GF 8800GS 384/768MB |
GF 8800GT 256/512MB |
HD 3870 512MB |
HD 3850 256MB |
제조 공정 |
65nm |
65nm |
65nm |
55nm |
55nm |
트랜지스터 |
505백만 |
754백만 |
754백만 |
666백만 |
666백만 |
코어 클럭 |
650Mhz |
575/600-650Mhz |
600Mhz |
775MHz |
670MHz |
Shader 클럭 |
1625Mhz |
1440/ 1625Mhz |
1500Mhz |
775MHz |
670MHz |
Stream 프로세서 |
64개 |
96개 |
112개 |
320개 |
320개 |
Native
DirectX |
DirectX 10 / Shader Model 4.0 |
DirectX 10 / Shader
Model 4.0 |
DirectX 10 / Shader Model 4.0 |
DirectX 10.1/ Shader Model 4.1 |
DirectX 10.1/ Shader Model 4.1 |
메모리 인터페이스 |
256
Bits |
192
Bits |
256 Bits |
256bits |
256bits |
메모리 클럭 |
1800 (900)MHz |
1700 (850)/
1800 (900) MHz |
1400-1600/ 1800 (900) MHz |
2250 (1125)MHz |
1650 (825)MHz |
메모리 용량 |
GDDR3
512MB |
GDDR3 384/ 768MB |
GDDR3 256/ 512MB |
GDDR4 512MB |
GDDR3 256MB |
ROP |
16 |
12 |
16 |
16 |
16 |
텍스쳐 Fill Rate |
20.8GT/s |
32.2/ 33.6-36.4GT/s |
33.6GT/s |
12.4GT/s |
10.7GT/s |
TDP |
95W |
~110W |
110W |
110W |
95W |
Display Out Color |
채널당 10 Bit |
채널당 10 Bit |
채널당 10 Bit |
채널당 10 Bit |
채널당 10 Bit |
가격 |
$169-$189 |
$149-$179/ $204 |
$179 - $199/ $229 - $249 |
~$250 |
$150 |
GeForce 9600GT는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Raden HD 3850의 견재를 위해 등장한
G92 기반의 8800GS를 대체하기 위해 등장한 메인스트림급 그래픽 카드다. 따라서, 현재 시장에서는 8800GS의 뒤를
이어 가격의 하락으로 메인스트림 시장으로 내려간 HD 3850이 타겟이다.
경쟁사의 HD 3850과 비교하여 메모리 용량이 2배인 512MB를 가지고 있고 스트림
프로세서와 쉐이더 클럭의 차이, 코어 클럭에도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ROP는 256bit와 16으로
동일하다.
소비전력 부분 역시 기존의 G92 기반 8800 시리즈들보다 낮아져 HD 3850과 같은
95W TDP를 가지고 있다. 낮아진 TDP로 인하여 GeForce 9600GT는 400W 파워 서플라이를 권장하고 있다.
[GeForce 9600GT는 메인스트림으로 내려온 HD 3850과 경쟁한다.]
성능을 비롯하여 메인스트림급의 주요 선택 요인 중 하나로 볼 수 있는 가격 부분 역시 G92
기반 8800GS와는 달리 같은 공정을 사용하더라도 더 적은 트랜지스터의 사용으로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 언급되고 있는 가격은 $169-$189 사이로 HD 3850이 현재 형성하고 있는 가격대와 비교하여
조금 높은 수준의 가격을 형성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GeForce 9600GT의 등장으로 2008년 1분기부터 G92 기반 8800GS는 사라지게
되며, 보급형 시장에는 8600GT/ GTS가 HD 2600XT GDDR4/ GDDR3 버전과 경쟁하고 메인스트림은
9600GT가 HD 3850과 퍼포먼스에는 8800GT가 위치하고 HD 3870과 각각 경쟁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