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여름특집] HD 4850에 적합한 쿨러를 찾아라!

2008-07-30 00:00
권경욱 前 기자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ress@bodnara.co.kr

2. HD 4850 지원 8종 쿨러




HD 4850 지원 레퍼런스외 7종

HD 4850 레퍼런스 쿨러

Radeon HD 4850 레퍼런스 쿨러는 HD 3850 쿨러와 같이 한 개의 슬롯만 차지하는 쿨러이고 HD 3850 레퍼런스 쿨러와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지난 [성능편] HIS 4870 으로 알아보는 ATi Radeon HD 4870 512MB 기사를 통해 살펴보았듯이 HD 4850 레퍼런스 쿨러는 쿨러의 소음에 중심을 두고 있어 동작속도 즉, RPM 값이 낮게 설정되고 있으므로 이를 조절해주면 좋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사용된 쿨링 팬은 60mm의 크기를 가지며, GPU와 메모리, 전원부를 모두 쿨링 할 수 있는 일체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쿨러의 연결은 4핀 PWM 방식으로 온도에 따라 RPM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방식이며, NTK Technology사의 2볼 베어링 방식과 DC12V 0.40A로 동작하는 쿨링 팬이 사용된다.

 

ASUS 글라시에이터 골드

ASUS 글라시에이터 골드 (Glaciator Gold) 쿨러는 지난 판매중인 9600GT는 모두 모았다! NVIDIA 9600GT VGA 14종 벤치마크 기사를 통해 성능과 소음 등을 소개한 적이 있는데 HD 3850에 이어 HD 4850에도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이며, 저렴한 가격에 적절한 소음과 무난한 쿨링 성능을 보여주는 쿨링 솔루션이다. 동작은 2핀 방식으로 레퍼런스 4핀 고정 가이드를 제거하는 약간의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며, 크기가 GPU와 그 주변에 가깝게 위치한 메모리 정도를 쿨링이 가능하고 80mm 크기의 쿨링 팬을 장착하고 있다.

사용된 쿨링 팬은 투명이나 저렴한 가격으로 고휘도 LED는 장착되지 않고 DC12V 0.19A의 스펙과 슬리브 베어링 방식, R128015SL의 모델명을 가지는 EVERFLOW사의 쿨링 팬이다. 스펙은 26.9 CFM과 26dB의 소음, 2400RPM 동작으로 나오나 이 쿨링 팬의 박스에는 최대 2000RPM으로 동작하고 25dB의 소음을 갖는 것으로 표기되고 있다. 사용 가능한 그래픽 카드로는 ASUS 제품에서는 8800GT/ HD 3870을 포함한 이하 제품들에서 사용할 수 있고 HD 4850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마운팅 홀을 4홀이나 4홀은 2가지 범위로 제공되어 다른 제품들보다 제약이 따른다.

 

Coolink GFX Chilla (쿨링크)

쿨링크 GFX Chilla는 80mm 크기의 쿨링 팬 2개를 배치한 듀얼 쿨링 솔루션이 적용된 제품이지만, HD 4850의 전원부 부분을 완전히 덮지는 못하는 크기로 전원부 쿨링은 취약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대신, 전원부 근처로 좌측의 80mm 쿨링 팬이 위치하므로 간접 쿨링 효과는 얻을 수 있으나 낮은 쿨링 팬의 구조 상 측면으로 바람이 많이 나가지 못하는 구성이다. 장점은 80mm 크기의 케이스 팬도 장착이 가능하여 쿨링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쿨링 팬 2개는 최종 3핀으로 동작하도록 서로 이어져 있다.

쿨링크 홈페이지에서는 HD4850 레퍼런스 기반의 제품들에서 호환성 테스트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양한 마운팅 홀을 제공하여 4홀을 제공하면 대부분 장착이 가능한 구조를 보여준다. 중간 지지핀을 통해 볼트로 4방향에서 고정해주며, GeForce 9600GT와 Radeon HD 3870과 HD 4850의 그래픽 카드에 적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히트파이프는 모두 4개이고 도금을 통해 부식을 방지하며, GPU 베이스 부분은 구리, 방열핀은 촘촘하게 배치되고 알루미늄 재질이 사용된다. 사용된 80mm 쿨링 팬 2개는 3핀을 지원하며 HD 4850 그래픽 카드의 4핀에 직접 연결하지는 못하고 메인보드나 함께 제공되는 3핀 to 4핀 12V (최대속도) 변환 케이블을 통해 동작할 수 있다. 쿨링 팬에는 스펙이 나와있지 않으나 최대 2000RPM으로 동작하고 18dB의 저소음 스펙을 가진 쿨링 팬임을 홈페이지나 박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쿨러를 설치하면 히트파이프가 상단에 배치되는 방식이다.

 

Arctic-Cooling Accelero Twin Turbo (아틱쿨링 트윈터보)

Arctic-Cooling Accelero TwinTurbo (이하, 아틱쿨링 트윈터보)는 2개의 80mm 쿨링 팬을 양쪽에 배치한 방식으로 앞서 살펴본 Coolink의 GFX Chilla와 같은 배치 방식이나 테스트에 사용된 쿨러 중 레퍼런스를 제외하고 전원부 상단까지 쿨링 팬이 위치하여 메모리 뿐만 아니라 전원부의 쿨링도 한꺼번에 가능한 구조를 가져 테스트 쿨링 솔루션 중 유일하게 전원부까지 제대로 쿨링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쿨러를 설치하면 뒤에 살펴볼 잘만 VF1000 LED와 같이 히트파이프가 하단으로 위치한다. GPU와 접촉하는 베이스 부분은 구리 재질이고 4개의 히트파이프와 길이가 긴 여러 장의 알루미늄 방열핀이 두 개의 쿨러 하단으로 위치하게 된다. 히트파이프 4개는 넓은 방열핀의 배치에 따라 테스트 제품 중 가장 넓은 간격으로 배치되고 있다.

동작은 3핀과 4핀 PWM 방식을 모두 제공하며, 3핀의 경우 테스트에 사용된 다른 쿨링 솔루션들의 3핀 구성과 달리 그래픽 카드의 3핀에 바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다. 이 쿨링 솔루션은 이엠텍의 HD 4850 제품군 중 일부에 사용되며, 테스트에 사용된 쿨러는 리테일 버전으로 구입할 수 있는 제품이다. 그러나, 리테일 버전은 4핀 PWM 방식 사용시 HD 4850 레퍼런스 카드와 문제가 발생되며, 이엠텍의 경우 4핀 PWM 사용시의 문제를 바이오스 수정을 통해 해결하고 있다.

고정 방식은 볼트 고정으로 중간 플라스틱 가이드를 설치할 경우 코어의 손상 가능성이 높고 HD 4850의 경우 중간 플라스틱 가이드를 설치하지 않고 볼트를 고정하는 편이 좋다. 4홀 고정 역시 2가지로 사용될 그래픽 카드가 제한적이며, 방열핀의 면적이 넓은 만큼 그래픽 카드에 따라서는 이 쿨러를 사용하기 힘들어질 수 있다. GeForce 8800GT이하 제품들과 Radeon HD 3870 이하, HD 4850 등의 그래픽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쿨링 팬은 테스트를 진행한 조건에서는 59% (최대 1508RPM 내외) 정도로 동작하였으며, 스펙은 DC12V 0.15A, Fluid Dynamic Bearing (유체베어링)을 적용하고 있다. 동작 RPM은 1200-2000RPM이다.

 

APACK Zerotherm Hurricane HC92 CU (에이팩 제로썸 허리케인 HC92 CU)

APACK Zerotherm Hurricane HC92 CU (이하, 에이팩 제로썸 HC92 CU)는 잘만과 함께 구리 재질로 GPU와 접촉되는 베이스부와 방열핀을 구성하고 있으며, 92mm 크기의 쿨링 팬을 제공하고 푸른빛을 내는 고휘도 LED를 제공하여 튜닝 효과도 얻을 수 있다. 6mm의 구리 재질 히트파이프가 4개 사용되고 있으며, 쿨러를 설치하면 히트파이프가 하단으로 위치하고 'ㄷ'자 모양으로 히트파이프가 베이스부와 방열핀 부분에 설치된다. 잘만과 함께 몇 안 되는 국산 쿨러이기도 하다.

상단에는 플라스틱으로 된 가이드가 제공되어 각종 케이블로 인한 쿨러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92mm 쿨링 팬은 1500-3300RPM으로 동작하여 테스트에 사용된 쿨링 팬 중 가장 높은 최대 동작속도와 그에 따르는 소음이 크게 증가되는 문제를 갖고 있어 함께 제공되는 팬 컨트롤러를 통해 온도와 소음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쿨링 팬의 동작 속도를 조절하고 사용해야 한다. 쿨링 팬은 3핀 방식으로 메인보드나 변환 케이블로 동작속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쿨링 팬 주위의 플라스틱 가이드로 인해 쿨링 팬 동작 소음과 함께 추가 소음이 발생할 수도 있다.

사용 모드에 따라서는 상단 플라스틱 가이드를 포함한 상태 (기본 모드), 상단 가이드 제거하고 쿨링 팬과 히트싱크를 사용한 상태 (오버클럭 모드), 그리고 팬과 가이드를 모두 없앤 상태 (무소음 모드)의 3가지가 가능한데 최근 등장한 듀얼 쿨링 방식이나 싱글 쿨링 방식 중에서 쿨링 팬이 제거되면 모두 비슷한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해진다.

고정 방식은 4홀을 이용하며, 3가지의 마운팅 홀을 제공하고 핸드 스크류 방식과 중간 지지핀을 통해 안정적이며 편하게 그래픽 카드를 설치할 수 있다. 지원 그래픽 카드는 GeForce 8800 시리즈, HD 3870이하, HD 4850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

 

3RSystem ICEAGE G-1000 (지천)

3RSystem의 ICEAGE G-1000 (이하, 3RSystem 아이스에이지 지천) 쿨러는 지난 한 겨울에 난데없는 쿨러벤치!! 공랭 방식 타워형 쿨러 4종 벤치마크 기사를 통해 소개한  3RSystem ICEAGE CPU 쿨러에서 먼저 소개된 DTH (Direct Touch Heatpipe)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DTH는 말 그대로 히트파이프가 GPU에 직접 접촉되어 냉각하는 방식이다. 이전에도 설명하였듯이 히트파이프와 CPU가 직접 접촉하는 방식은 이 제품에 적용된 DTH (Direct Touch Heatpipe)와 HDT (Heatpipe Direct Touch)의 두 가지 방식이 있고 DTH는 중국, HDT는 대만에 특허가 출원되어 있다. 히트파이프는 총 3개가 사용되어 다른 비교 제품들이 4개를 제공하는 것보다 하나가 더 적은 편이며, 80mm 쿨링 팬 2개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동작하면서 서로 상충되어 쿨링 효과가 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히트파이프는 설치시 상단에 위치하고 GPU와 접촉하는 위쪽 부분에는 메모리 2개 정도가 히트파이프를 통해 추가 쿨링이 가능해진다.

3RSystem 아이스에이지 지천에 사용된 쿨링 팬은 앞서 살펴본 쿨링크 GFX Chilla, 아틱쿨링 트윈터보 제품과 같이 듀얼 80mm 쿨링 팬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함께 제공되는 80mm 블루 LED 팬을 장착하고 3핀 방식으로 동작하여 메인보드 등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80mm 블루 LED 팬은 별도로 구입도 가능하며, 최대 2500RPM의 동작속도와 25dB의 소음, Hydraumatic (유체베어링) 방식이 적용된 쿨링 팬이다. 추가로 3핀 to 4핀 12V 변환 케이블을 통해 5V/ 12V 동작이 가능하다. 5V 동작은 하얀색 커넥터에 3핀을 연결하고 검정색 커넥터에 연결하면 12V로 동작되며, 5V에서는 1200RPM (+/- 10%)로 12V에서는 2500RPM (+/- 10%)로 동작한다. 쿨링 팬은 분리 장착이 가능한 형태로 쿨링 팬 하나 또는 두 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고정 홀은 4홀로 중간 지지핀을 사용하며, 핸드 스크류 방식으로 설치가 편리하다. 중간 4홀은 2가지 방식으로 43mm와 53mm 마운팅 4홀이 제공된다. 사용 가능한 그래픽 카드는 HD 3870 이하, G92 8800 시리즈와 9600 시리즈에 적용가능하며, HD 4850에도 사용할 수 있다.

 

3RSystem ICEAGE G-600 (지육백)

3RSystem ICEAGE G-600 (이하, 3RSystem 아이스에이지 지육백)은 앞서 살펴본 지천과 같은 DTH (Direct Touch Heatpipe) 방식의 쿨링을 적용하는 제품으로 방열핀 부분이 지천과 비교하여 80mm 쿨링 팬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해 놓은 것과 80mm 쿨링 팬 하나만 사용하는 차이를 보이는 제품이다. 히트파이프는 지천과 같이 총 3개가 사용되며, 마찬가지로 메모리 2개는 히트파이프를 통해 쿨링이 가능하다.

사용된 쿨러는 3핀 방식으로 메인보드 3핀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함께 제공되는 3핀 to 4핀 12V 변환 케이블을 통해 5V (저소음)/ 12V (최대속도)로 각각 동작 시킬 수 있다. 5V 동작은 하얀색 커넥터에 3핀을 연결하고 검정색 커넥터에 연결하면 12V로 동작된다. 80mm 쿨링 팬은 지천과 마찬가지로 블루 LED를 장착하고 있으며, 지천의 동작속도와 동일한 1200-2500RPM을 동작된다. 5V 동작은 하얀색 커넥터에 3핀을 연결하고 검정색 커넥터에 연결하면 12V로 동작되며, 5V에서는 1200RPM (+/- 10%)로 12V에서는 2500RPM (+/- 10%)로 동작한다. 

고정 홀은 지천과 같은 방식으로 중간 지지핀을 사용하며, 핸드 스크류 방식으로 설치가 편리하다. 중간 4홀은 2가지 방식으로 43mm와 53mm 마운팅 4홀이 제공된다. 사용 가능한 그래픽 카드는 HD 3870 이하, G92 8800 시리즈와 9600 시리즈에 적용가능하며, HD 4850에도 사용할 수 있다.

 

잘만 VF1000 LED

잘만 VF1000 LED는 최근 등장한 HD 4850 제품들에 OEM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쿨링 솔루션으로 테스트에 사용된 다른 비교 쿨러들과 마찬가지로 총 4개의 히트파이프가 적용되며, 중간 지지핀을 통해 다양한 그래픽 카드 제품들에 적용할 수 있는 설치 방식과 핸드 스크류 방식으로 설치가 편리하다. 추가로 제공되는 SLI 구성 고정볼트도 SLI 구성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에이팩 제로썸 HC92 CU와 같이 팬 컨트롤러를 제공하여 원하는 속도를 적용할 수도 있다. 히트파이프와 방열핀들은 모두 구리 재질로 되어 무게가 비교 제품들 중 조금 더 무거운 편에 속한다. 잘만의 VFP (Variable Fin Profile) 방식을 적용한 제품이다.

사용된 쿨링 팬은 고휘도 블루 LED를 적용하여 튜닝 효과를 얻을 수 있고 3핀 지원으로 메인보드 3핀에 연결하여 RPM 모니터링 및 사용이 가능하다. 1400-2500RPM으로 동작하며, 18-28dB의 소음, 2볼 베어링 방식으로 비교 제품들과 비슷한 수준의 소음도를 가진다. 현재 판매가 이루어지는 HD 4850에 장착된 OEM으로 제공되는 잘만 VF1000, VF1050의 경우 4핀 PWM 방식 적용이 되고 동작속도 및 전압 역시 테스트에 사용된 리테일 제품과는 차이를 보인다.

고정 방식은 4홀로 마운팅 홀이 다양하게 제공되어 대부분의 그래픽 카드들에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테스트 제품 중 가장 다양한 구성의 마운팅홀을 제공한다. 적용 가능한 그래픽 카드는 G80 GeForce 8800 시리즈와 G92 8800 시리즈, Radeon HD 3870 이하, HD 4850 등의 다양한 제품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redcurse (ID) redcurs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0:20/ 신고
브가용 고급쿨러도 다양하네요
에이팩,3r,잘만 국내3사 제품이 돋보입니다
joel83 (ID) joel8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0:33/ 신고
생각보다 트윈터보의 단점들이 크게 눈에 띄인 결과네요.
일단 크기자체가 3슬롯도 너무 빡빡해 보이는터라 으흠....

크기 및 면적면에서는 확실히 VF1k 시리즈를 따라올만한 녀석은 아직 없는듯.
글래디에이터와 허리케인의 의외의 선전도 잘 봤습니다 :)
milkblue (ID)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0:34/ 신고
사제 쿨러들이 레퍼런스에 비해 성능이 좋은 것은 확실하나, 완제품이 아닌 별도 구입시 전원부방열판을 구성하는 것에서는 문제가 있는 제품들이 있군요.
4850 레퍼런스 사용중인데, 쿨러 바꾸면 온도차이가 확 나겠군요. 전체적인 결과를 볼때 테스트에 사용된 쿨러 하나만 있어도... 라는 생각이 듭니다. ^^

사제쿨러 사용시 전원부 PCB 뒷면의 온도가 100도 이상으로 올라간다는 말이 있던데, 그 부분에 대한 테스트 결과가 없는 것은 아쉬운 부분입니다.
ho5945 (ID) ho594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0:39/ 신고
생긴것보다 꽤 값진 성능을 뿜어내 주는 녀석이 뽑혔네요.. 하지만 가격대가 리테일 쿨러는 너무 높네요.. 그만한 녀석들이 필요할 정도로 발열을 뿜어내주는 그래픽카드가 원망스럽습니다.ㅠㅠ
정구지 / 08-07-30 0:56/ 신고
흠.........플웨의 벤치와는 사뭇 다른 결과물이네요. 어떤것을 믿어야할런지......
bmw375 (ID) bmw37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0:56/ 신고
가격대 성능비는 ASUS의 글라시에이터가 으뜸인 것 같군요. 마침 하나 갖고 있으니 나중에 라데온 HD 4850을 구입한다면 장착해봐야겠습니다.
misaki (ID) / 08-07-30 3:44/ 신고
HR-03 GT는 왜 안나오지;;;
asto2020 (ID) asto202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4:17/ 신고
과거 잘나갔던 VF900도 있었으면 좋았을것 같군요...
bsbday (ID) bsbda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5:14/ 신고
와.. 무섭네요.. 쿨링크 GFX 제품.. 전원부 온도가 90도가 넘어가다니..
개인이 따로 쿨러만 구입한다면 에이팩 제품이 가장 좋겠지만, 기존 리테일 제품을 구입한다면 사제쿨러가 장착되서 나오는 녀석으로 선택하는게 좋겠네요.
y20303 (ID) y2030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5:33/ 신고
역시 소음역시 발열의 해소 못지 않게 중요한 체크사항이네요
kyta123 (ID) kyta12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7:16/ 신고
APACK Zerotherm 제품을 여러개 사용해 봤지만,
만족하는 회사 제품입니다,
잘만의 독보적인 우위에 맞선다면 저는 APACK를 주저없이 선택하겠습니다.
scoot (ID) scoot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8:42/ 신고
다나와 최저가 4만원. 소음과 발열을 위해서 하나 구입하고 싶지만, 가격이..
그냥 잘만 1000 장착된 모델을 봐야 할듯
heaye (ID) / 08-07-30 9:44/ 신고
잘만은 알미늄에 구리도금이라는 말도 있던데.. 어느쪽이 맞는지..
heaye (ID) / 08-07-30 9:55/ 신고
잘만에서 4870이나 9800gtx 의 레퍼쿨러형태로 내놓으면 재미있을거 같습니다.
bluemun (ID) bluem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10:19/ 신고
APACK이 구조에서 9점 맞은 것은 문제가 있다.
크로스파이어도 구성할 수 없는데 이 점수라면 좀 아닌듯 7점 정도가 맞다고 봄
jin2006 (ID) / 08-07-30 10:23/ 신고
잘만 VF1000 LED 제품을 사용중인지라...약간 아쉬웠다는..
하지만 관심가는 기사였습니다.

kidnap (ID) kidnap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10:27/ 신고
플웨어랑 함께보면 잼잇군요...글라시에이터 쿨러가...맘에들어요
blackchh (ID) / 08-07-30 11:05/ 신고
흥미로운 쿨러의 비교테스트였네요. 쿨러 구입에 많은 분들의 도움이 될것 같네요.
apolyon (ID) / 08-07-30 11:23/ 신고
테스트하시느라 수고 많으셨어요...
쿨러구매시 좋은 자료로 삼겠습니다..
리더 / 08-07-30 12:14/ 신고
오랜만에 보는 시의적절한 기사입니다. 요즘 인기가 높은 4850용 쿨러를 테스트하느라고 수고하셨습니다.
king8407 (ID) king840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12:51/ 신고
저는 끌리는게 잘만쿨러와 지천쿨러가 좋은거 같아요
muchunrang (ID) / 08-07-30 13:17/ 신고
그냥 보기엔 G1000 이 좋은 것 같은데... -_-ㅋ;;;
tkdchan (ID) tkdc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13:21/ 신고
선택된 제품이 좋은가요... 별로 믿음이..
kumi012 (ID) kumi01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13:45/ 신고
무척 유용한 벤치마크 기사네요.
정말 좋은 분석의 글 잘 봤습니다.
dna2k (ID) dna2k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14:38/ 신고
플웨즈는 소음부분은 테스트를 안했죠. 역시 전문 장비가 있는 곳이라 뭔가 다르긴 다르군요. 그래도 대부분의 업체들이 잘만VF1000(통구리), GV1000(통구리에 니켈그롬 도금), VF1050(알루미늄에 걍 도금)을 사제쿨러로 쓰는 이유는 역시 뽀대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뽀대는 잘만VF1000 따라갈거 없죠. 전원부 방열판의 경우 지큐브 제품은 신청하면 되고요.. 저는 옆 케이스 쿨링도 되는 케이스 씁니다.
newstar (ID) new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14:52/ 신고
결과적으로 모든 쿨러들이 아직은 많이 부족하네요.
전원부를 효과적으로 해결해주는 것도 없고 오픈상태에서 진행했고 통풍은 않좋지만 실내가 시원하다는 전제도 있는데 쿨러들 성능이 좀.

이쯤에서 외부 배출형 쿨러가 나올때가 됬는데... 기다려봅니다.
kamui510 (ID) kamui51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16:17/ 신고
벤치 결과가 이상합니다.
Arctic-Cooling Accelero TwinTurbo의 경우 모든 온도 테스트에서 5V, 12V가 동일한 온도를 보여주네요 -_-; 데이터 측정시나 입력시 잘못하신거 같습니다.
그리고 각 브랜드별 최고급 쿨러를 비교했으면 더 좋았을건데요 ^^;(써멀테이크 듀오브 쿨러등도 성능이 좋던데;;)
viper2 (ID)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16:38/ 신고
아틱쿨링 트윈터보는 gpu 테스트 부분 서두에 언급하였듯이 4핀 Pwm만을 이용한 결과입니다. 즉, 이엠텍의 바이오스 수정된 그래픽 카드에 트윈터보 쿨러를 4핀 pwm 커넥터로 연결하여 진행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5v와 12v 결과가 동일하게 표기되었습니다.
kamui510 (ID) kamui51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16:44/ 신고
음; 잘이해가 안되네요. 다른 VGA쿨러는 저항등을 이용해서 5V, 12V를 입력하여 최대, 최소RPM에서 성능을 측정했는데 아틱쿨링 트윈터보는 그래픽카드 4핀 PWM으로 연결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면 벤치결과에 문제가 있지 않나요;
4핀 PWM단자도 3핀저항으로 5V, 12V입력이 가능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모든 쿨러가 동일 5V,12V전압을 주어 성능을 평가해야하는데 하나의 쿨러만 예외로 진행하신건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공부하자 (milkblue)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17:43/ 신고
레퍼런스,글래시에이터 까지.. 별도 전압차이를 주지 않았다고 되어있습니다. 3개의 쿨러 겠죠. 굳이 말하자면.....

하지만 트윈터보는 팬콘을 제공하고 나머지 2개는 제공하지 않으니, 아틱쿨링은 팬콘을 이용한 테스트 역시도 이루어졌어야 한다는 말도 일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제품의 테스트에 관해 바이오스 수정등의 멘트가 달려있는 것으로 봐서 별도쿨러구입을 하는 것보다는 해당쿨러가 적용된 이엠텍 제품의 성능을 엿보기위한 자료로서 쓰였다고 보는게 맞을 듯 하네요
viper2 (viper2)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18:37/ 신고
글을 작성한 필자입니다. 말씀하신것처럼 모든 제품을 가급적 동일한 기준을 사용해야 하지만, 기본적으로 이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는 기본 설정을 사용하는 것이 테스트를 진행한 기본원칙입니다. 별도로 수정하는 방법은 리테일 버전이더라도 소수의 사용자들만이 사용 가능할 것이기 때문에 논외라고 생각합니다.

리테일 트윈터보는 3핀 to 4핀 12v 변환 케이블 사용시 샘플 쿨러가 HD 4850을 제대로 쿨링하지 못하는 것을 직접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이를 제외한 것이며 (테스트 도중 gpu가 발열일 이기지 못해 문제가 발생 되었습니다. 샘플을 회수한 상태이므로 샘플 하나만의 문제인지 설치 과정에서의 문제인지 지금은 확인이 어렵습니다.), 4핀 pwm 커넥터도 레퍼런스 HD 4850 그대로에 사용시에 글 내용에 언급하였듯이 낮은 rpm으로 동작하여 gpu 쿨링을 제대로 못합니다.

이엠텍 트윈터보 버전은 바이오스 수정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한 것이고 리테일에서 위 두 가지를 모두 사용이 어렵다는 판단하에 기본 장착 버전과 같은 부분만 테스트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viper2 (jinnei77) jinnei7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17:01/ 신고
아직까지 레퍼런스 쿨러 제품을 제대로 사용하려면 사제쿨러를 장착해야 하니 추가비용이 발생하는군요
viper2 (asuea) asue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17:56/ 신고
벤치결과는 제로썸이지만 가장 많이 팔리는 클러는 잘만이 될 것 같은데요
viper2 (morrian) / 08-07-30 18:01/ 신고
글라시에이터하고 지600 있지만..구입한다면 전원부 발열이 되는 별도 제품을 구입하게 될거 같습니다..사제쿨러 따로 달기도 좀 그런 성능이군요..;;
viper2 (valkyrie)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18:12/ 신고
저 많은 쿨러들 테스트하시느라 수고많으셨습니다.
성능이 좋으면서 발열도 적고 전력소모도 적은 제품은 역시 나오기 어렵겠지요...;;
viper2 (korstds) korstd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19:16/ 신고
에이팩제품이 좋기는 하지만 소음이 다소 있는거 같아서..
가격면에서 저렴하기 때문에 괜찮을거 같기도 하네요.
viper2 (et7124) / 08-07-30 20:46/ 신고
쿨링크 제품이 예상외로 고전을 하네요 ㅡㅡ;;
가격도 나쁘지 않아서 구입할까 말까 생각중 이었는데..
아래다가 그냥 120밀리 일반 쿨러 장착하면 문제 없겠지만...
viper2 (psywind) psywin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20:52/ 신고
사실 쿨러시장이 네임밸류란게 중요해서...
테스트 정말 잘 봤습니다
viper2 (atrivis) / 08-07-30 21:26/ 신고
마지막 점수 주는 부분에서 레퍼런스 쿨러는 추가 비용이 들지 않으므로 가격은 10점 받아야 되지 않을까요?
viper2 (terrmi) / 08-07-30 22:07/ 신고
역시 비싼것은 비싼 것으로 메워여 하나~^^ㅋ
viper2 (ohye701) ohye70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0 22:49/ 신고
음..허리케인의 경우 굉음에 가깝다고 보여지는데;
많이 아쉽네요.
프레스헛 / 08-07-31 8:45/ 신고
그래픽카드 쿨러는 쿨링도 중요하지만 장기간 사용시 쿨러에 소음이 발생하는가 쿨러 청소는 쉽나 AS는 어떤가 따져야 합니다 잘만이 이 3가지에 비교적 만족할만하죠
viper2 (muro) / 08-07-31 10:40/ 신고
개인적으로 아틱 트윈터보와 지천이 성능이나 소음면에서 활약했다고 생각합니다. 트윈터보는 3850에 적용된 제품도 있더군요. 또한 처음보는 지천의 성능이 괜찮네요. 가격도 대강이라도 올려주심 가격VS성능비 비교에 도움이 많이 될듯??좋은 벤치 잘 봤습니다. (고생하셨겠어요 ;;; ^^;;)
viper2 (kss8569) kss856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1 19:04/ 신고
에이펙이 성능을 좋을지 모르겠지만...그래도 잘만이 더...마음이 가네요...쿨러가는데 엄청 힘들었을텐데....이 더운날...ㅎㅎ 수고하셨네요..ㅎㅎ
viper2 (saddj) saddj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1 21:14/ 신고
대단한 기사네요. 4850에 쏠린 관심만큼이나 유익한 정보인 것 같습니다.
viper2 (ktk7) ktk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31 22:15/ 신고
아틱쿨링 트윈터보가 모양으로 보나 멋으로 보나 제일 멋드러 지군요. 그냥 달려서 나온다면 좋겠지만 따로 달아써야 한다면 부담이 되겠네요. 그렇다고 아틱쿨링 트윈터보달란 그래픽을 찾아 사는것도 좀 그렇구요.
lucent / 08-07-31 23:01/ 신고
G-600이 가격대 성능비에서는 탁월한 것 같네요. 하드코어 오버가 아닌 이상
저렴한 가격에 합리적인 성능인 것 같습니다. G1000과의 격차가 가격만큼 벌어지지는 않은 것 같네요.
epic / 08-07-31 23:56/ 신고
참으로 이해할 수 없는 벤치입니다.
허리케인이 1등이라니요. 그 굉음을 경험한 사람이라면 절대 처다보지도 않을 쿨러입니다. 그리고 트윈터보의 경우 문제가 있다면 테스트에서 제외시켜야 하는거 아닙니까? 동일한 조건도 아닌데 굳이 넣은건 무슨 이유인지 모르겠네요.
아무리봐도 성능이나 뽀대나 소음이나 잘만의 압승인 것 같습니다. 작성자의 주관이 너무 첨가된듯...
viper2 (gazaaja) / 08-08-01 1:16/ 신고
허리케인 굉음 정말로 유명하죠
뭐 vga시장의 뜨거운핵인 4800대의 문제인 발열에 대해서 어느정도 대비? 할수 있겟네요,, 근데 4800대는 이미 사제쿨러를 달고 나오기떄문에....래퍼런스만으로는 조금 부족하겟네요.. 나중에 변종 나오고 또한 그에 맞는 사제쿨러 제품이 기대가 됩니다..
viper2 (wolfffish) / 08-08-01 7:53/ 신고
기사가 크로스파이어 브릿지와 쿨러와의 간섭 여부도 확인해 주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_- / 08-08-01 17:56/ 신고
뜨겁다 뜨거워...
viper2 (kama136) / 08-08-02 4:15/ 신고
개인적으로 전원부까지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트윈터보가 가장 마음에 드네요.
viper2 (mudok) / 08-08-02 12:44/ 신고
bodnara 항상 유저들이 궁금해 하는걸 테스트 해주는군요
트윈터보가 중간이상 가고 전원부랑 뽀대에서도 특출나네요
트윈터보가 미리 장착된 제품에서는 rpm 문제가 없다는 얘긴가요?
viper2 (dreamwizard) / 08-08-03 9:26/ 신고
좋은 벤치 잘 봤습니다.
viper2 (hermes) herme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8-03 22:40/ 신고
가격대가 높은 쿨러를 사용했는데도 그래도 어느정도 높은 온도로 유지되는
것 자체가 그래픽카드가 가지는 최대의 약점이 되지 않았을까 싶네요.
성능은 좋은데 역시 온도가 넘 높네요.
그리고 뽑혀진 쿨러에 대한 반응이 별로 인 듯 싶네요...
음 ~~ 개인적으로 잘만의 GV1000이 좋던데..ㅋㅋ
viper2 (lordstar) lord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8-05 0:59/ 신고
확실히 4850에 사제 쿨러 달아주니 컴퓨터 내부 온도가 최소 5도 이상 내려가는군요.
viper2 (gazaaja) / 08-08-05 12:30/ 신고
소음 9점이라면 소음이 크다는 말인가요?? 종합점수가 높은걸로 보면 소음점수가 높으면 소음이 적게 난다는 소리인가?
viper2 (dgtel) / 08-08-07 13:03/ 신고
레퍼런스쿨러에서 카탈리스트 드라이브의 프로필을 변경하여 쿨러의 속도를 UP시켜서 사용하는 편이 가장 저렴하면서도 전원부/메모리 부분 방열에 최대의 효과가 있을 듯하군요.
현제로는 4만원 이상의 제대로된 사제쿨러를 사용해도 그다지 우수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인데..
예전에 78XX시리즈에서 나온 PCB기판을 전부 덮는 방열시스템이 눈에 삼삼하네욤~
viper2 (x8051) x805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8-10 11:10/ 신고
이것참.. 멀 봐도 다 끌리는군요 -.-;
가격을 생각하면 역시 ASUS 글라시에이터 골드가 제일 이쁜거 같습니다.
viper2 (kidnap) kidnap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8-12 15:31/ 신고
이거보고 글라시에이터 구매햇는데 3850쓸때 기본 대비 최대 7도 하락햇네요
생각보단 많이 차이가없엇다고나할까..소음은 머 팍 줄엇지만
8800사고프닷~
viper2 (vobavoba) vobavob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8-14 1:00/ 신고
생긴건..요상한 녀석이 강력하군요..ㅎ
viper2 (dreams) / 08-08-17 13:36/ 신고
트윈터보...괜찮네요.
viper2 (xxyy) / 08-08-17 21:21/ 신고
글라시에이터도 가격을 생각하면 좋은 선택이 되겠네요
viper2 (ysgy1121) / 08-08-19 14:07/ 신고
글라시에이터 디자인도 성능도 괜찮네요
viper2 (compluto) / 08-08-22 16:46/ 신고
쿨러고 머고..보드가 있어야 쿨러에 눈이 갈텐데 -_-;;
viper2 (knihgt) / 08-08-22 17:17/ 신고
괜찮네요..
viper2 (poporon00) poporon0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26 15:46/ 신고
쿨러 종류가...참 많아졌다는..
viper2 (mungcom) / 09-04-06 1:33/ 신고
시일이 상당히 경과한 내용에 댓글 다는게 좀 그렇기는 하지만..

현재의 테스트 방식은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히트 파이프의 방향입니다.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보드를 세운 상태라면 히트파이프가 중력의 영향을 적게 받아서 테스트기 이의를 제기할수 없겠으나

테스트 상태 대로라면 히트파이프의 U자의 둥근부분이 위쪽을 향할때 성능이 하락 됩니다.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7/30] 앱코, 진동과 가상 7.1 채널을 탑재한 게이밍 헤드셋 ‘N999’ 출시  
[07/30] MSI, 컴퓨텍스 2025서 AI 노트북 핸드헬드 신제품 공개  
[07/30] HP, ‘Victus Gaming Laptop 15-fb3113AX’ 출시.. 고성능 가성비 겸비한 게이밍 노트북  
[07/30] 이엠텍아이엔씨가 공식 유통하는 PALIT과 SAPPHIRE, COMPUTEX 2025 참가  
[07/30] 퀄컴, 멀티미디어 경험 강화된 스냅드래곤 7 Gen4 발표  
[07/30] 넥슨, ‘마비노기 영웅전’ 오케스트라 공연 6월 21일 개최  
[07/30] '프리미엄한 당신을 위한 최고의 선택' 삼성스토어, '데이코 위크' 진행  
[07/30] 넷마블 북미 자회사 카밤, <마블 올스타 배틀> PC 버전 전 세계 정식 출시  
[07/30] '월드 오브 워쉽' x 벽람항로 일곱 번째 콜라보레이션  
[07/30] GTA 온라인, FIB 파일 피날레에서 보상 두 배 제공  
[07/30] 넥슨, 메이플스토리M M4U 아일랜드 2차 이벤트 실시  
[07/30] 운빨존많겜, 출시 1주년, 역대급 업데이트와 이벤트 쏟아진다!  
[07/30] 서린컴퓨터, 시스템 빌드 전문 유튜버와 협업한 'PC SNAP 에디션' 출시  
[07/30] 펀키스, 31g 초경량 마그네슘 합금 8K 게이밍 마우스 WLMouse Beast Miao 시리즈 출시  
[07/30] Razer, 생산성과 게이밍 동시에 잡은 3종 키보드 마우스 출시  
[07/30] 디아블로 IV, 2025 세계 접근성 인식의 날 기념해 누구나 손쉽게 성역을 탐험하도록 돕는 기능 소개하는 영상 공개  
[07/30] 마우저, 첨단 비전 AI 기술을 지원하는 르네사스의 RZ/V2N 마이크로프로세서 공급  
[07/30] MSI, AI 게이밍 모니터 분야 선도  
[07/30] 삼성전자, AI 기능 탑재한 'AI 통버블 세탁기' 출시  
[07/30] 라이엇 게임즈, 발로란트 출시 5주년 기념 ‘자선 // V25 세트‘ 출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