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SSD 기본 성능 비교
4개의 NVMe M.2 SSD와 1개의 SATA SSD 성능 및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테스트 시스템을 구성했다. 이미 보드나라에서 몇 번
SSD 관련 기사에 사용한 AMD 라이젠 시스템에 윈도우 10 최신 버전(RS5)을 적용했다.
NVMe M.2 SSD들은 빠른 성능과 작은 크기 때문에 온도가 빠르게 상승해 내부 부품의 수명이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때문에 SSD 발열이 높아지면 성능을 떨어뜨려 온도를 낮추는 스로틀링이 걸리게 된다.
이번 기사는 특정 SSD 제품의 발열 측정 목적이 아니라 낸드 플래시 특성에 따른 NVMe M.2 SSD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므로 예전에
보드나라에서 리뷰했던 M.2 전용 쿨러를 장착해 원활한 쿨링 환경을 조성했다.
일반적으로 가장 쉽고 간편하게 SSD 성능을 살펴볼 수 있는 CrystalDiskMark를 돌려본 결과 4종의 M.2 SSD와 1개의
SATA SSD 모두 제품 스펙과 거의 같은 연속 읽기/쓰기 성능을 기록했다.
4K 랜덤 읽기/쓰기 성능은 SSD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4종 모두 SATA SSD보다 빠른 성능을 보였으며, SATA 6Gbps 인터페이스
때문에 성능에 한계가 있는 SATA SSD도 같은 인터페이스를 쓰는 SATA HDD보다 훨씬 빠르다.
연속 쓰기 성능은 고성능 3D TLC NVMe M.2 SSD인 WD Black (2018) 1TB 모델이 가장 빨랐지만 캐시 영역으로 인한
효과가 크기 때문에 4K 랜덤 쓰기를 포함한 실사용 조건이라면 3D MLC가 들어간 삼성 970 RPO 512GB가 좀더 나을 것으로 보인다.
CrystalDiskMark에서 90% 더티 상태로 테스트 파일 크기를 32GB로 늘린 경우에도 4종의 NVMe M.2 SSD 모두 스펙상
성능을 준수한다. QLC 낸드 때문에 우려했던 Crucial P1 1TB도 클린 상태와 비교해 성능 변화가 없었다. 다만 WD Black
(2018) 1TB 및 HP SSD EXP920 1TB는 90% 더티 상태에서 4KB 랜덤 전송 속도 일부가 하락했다.
AS SSD 벤치마크 결과도 CrystalDiskMark와 결과값이 낮을 뿐 각 제품간 특성이나 성능 차이는 비슷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온다. 3D MLC 고성능 모델인 삼성 970 PRO가 절반의 용량에도 불구하고 3D TLC 고성능 WD Black (2018) 1TB 모델과
호각으로, 랜덤 쓰기 및 액세스 타임은 더 빠르게 측정됐다.
3D QLC 낸드를 사용한 Crucial P1 1TB SSD는 CrystalDiskMark보다 연속 읽기 성능이 떨어지게 측정됐으며, 랜덤
쓰기 액세스 타임이 MLC/TLC 낸드 SSD보다 약간 느리게 나왔다. 그러나 NVMe M.2 인터페이스 이점인지 동일 용량 SATA
SSD보다는 모든 항목에서 결과가 높았다.
HDD의 경우 모터로 회전 하는 플래터 위에 헤드 암이 특정 구간으로 이동해 데이터를 읽고 쓰는 방식이라 메모리 주소로 바로
접근 가능한 SSD보다 랜덤 읽기/쓰기와 액세스 타임 모두 크게 느려질 수 밖에 없다.
ATTO Disk 벤치마크는 구간별 연속 읽기 및 연속 쓰기 성능을 파악하기 좋은데 3D MLC 낸드를 쓴 삼성 970 PRO 512GB와
3D TLC 낸드를 사용한 WD Black (2018) 1TB는 공식 스펙보다 약간 높은 성능을, HP SSD EX920 1TB는
CrystalDiskMark 때와 마찬가지로 스펙보다 약간 낮은 읽기/쓰기 성능을 기록했다.
그러나 일반 SSD 및 HDD는 ATTO Disk 테스트에서 일정 구간이 넘어가면 최대 성능을 끝까지 유지하는 것과
달리 3D QLC 낸드가 들어간 Crucial P1 1TB는 중간 부분에서 최대 성능을 기록하고 이후 성능이 하락하는 것으로 측정됐다.
Anvil's Storage Utilities 테스트 결과도 다른 벤치마크 도구와 동일한 결과를 확인하는데 충분했다. 3D MLC 낸드가
들어간 삼성 970 RPO 512GB가 3D TLC 1TB SSD와 비슷한 성능을 보여주는데, 가격을 고려하지 않고 같은 1TB 기준으로 한다면
3D MLC NVMe M.2 SSD가 성능 면에서 최고의 선택이다.
반대로 같은 가격이면 용량이 2배 많은 고성능 3D TLC NVMe M.2 SSD를 선택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또한 벤치마크 점수
놀이나 부하가 많은 디스크 작업을 하지 않는다면 실사용 체감 성능 차이가 없는 중급형 NVMe M.2 SSD나 가성비가 높은 SATA SSD도
하나의 선택지다.
SATA HDD는 SSD 한 두 개로는 해결하기 힘든 고용량 스토리지를 구현하는데 도움을 주며, 시스템에 따라서는 인텔 옵테인
메모리(Intel Optane Memory)나 AMD 스토어 미(StoreMI)와 같은 HDD 캐싱 드라이브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