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8N-E의 전원부는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한 3-Phase의 구성이며, A8N-SLI에 사용되는 모스펫 방열판과 약간은 다른 모습을 한 방열판이 사용된다. A8N-SLI의 방열판이 촘촘한 편이라면 A8N-E는 핀 사이의 공간이 거의 2배에 가까운 구성을 보여준다.
A8N-E가 지원하는 슬롯을 둘러보면, 가장 상단의 파란색은 PCI-Express x16 슬롯이고 순서대로 PCI-Express x1 2개, 검정색의 PCI-Express x4의 슬롯, 마지막으로 3개의 PCI 슬롯으로 구성된다. PCI-Express를 지원하면서 PCI 슬롯을 많이 사용하는 유저들에게는 그리 반가운 모습은 아니지만, 과도기 이기에 PCI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은 모습이다.
▲ PCI-Express x2 작동 이미지
제공되는 PCI-Express x4 슬롯은 4x라고 메인보드 상에 인쇄되어 있지만, 실제 그래픽 카드 사용시 2x 모드로 작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매뉴얼에는 PCI-Express x1의 2배 대역폭인 1GB/s를 지원한다는 내용이 추가되어 있어 2x로 작동되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이는 A8N-E와 비슷한 구성을 한 제품들이 갖는 공통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nForce4 Ultra 칩셋 쿨러의 하단에는 추가로 S-ATA를 지원이 가능한 칩셋의 비어있는 공간이 보이고, 4개의 S-ATA 포트가 존재한다. CMOS 전지와 클리어 점퍼, USB 2.0 6개를 추가로 사용 가능한 커넥터, COM 포트, 프론트 패널이 있다. 중간에는 ITE사의 I/O와 모니터링을 해주는 칩셋, 소켓 방식의 바이오스 칩이 있다.
좌측은 A8N-SLI의 슬롯이고 우측은 A8N-E의 슬롯인데 A8N-SLI는 PCI-Express x16 슬롯 2개의 사이에 PCI-Express x1 2개의 슬롯과 SLI Select Card가 있지만, A8N-E는 nForce4 Ultra 칩셋을 사용하는 만큼 PCI-Express x16 슬롯과 PCI-Express x4 슬롯 사이에 SLI Select Card가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제조사들의 PCI-Express x16 슬롯 사이가 ASUS사의 제품이 넓은 편에 속하여 쿨러 장착의 제약이 비교적 적은 편이라는 장점이 있다.
NVIDIA nForce4 Ultra 칩셋은 개조하여 nForce4 SLI로 변신이 가능하며, A8N-E의 경우 비록 PCI-Express x4 슬롯을 제공하지만 실제 동작은 2x이다. 최신 ForceWare 드라이버가 아닌 SLI를 지원하는 비교적 구 드라이버인 66.75버전에서 SLI 구성도 해볼 수 있는 슬롯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SLI를 구성하지 못하더라도 그래픽 카드를 추가로 설치하여 4개의 화면 구성도 기대해볼 수 있다.
실제 SLI를 지원하는 NVIDIA GeForce 6600GT 그래픽 카드 2개를 골드 핑거로 연결한 모습이다. 골드 핑거의 경우 SLI 메인보드를 지원하는 A8N-SLI의 것으로 A8N-E의 경우 별도로 구할 수 있다면, SLI의 구성도 시도해볼 수 있다. A8N-SLI와 슬롯 사이의 공간이 비교적 넓어 거리가 좁은 타사의 제품들에 비해 쿨러 설치의 제약이 비교적 덜한 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