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휴대 간편한 지상파 DMB 수신기! Skydigital SKY-DMB Mini Stick

2006-12-23 17:00
권경욱 前 기자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ress@bodnara.co.kr

3. 수신 프로그램 및 수신 화면




 

 

 

 

 

 

여기에서는 SKY-DMB Mini Stick가 제공하고 있는 수신 프로그램은 어떠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로 수신되는 지상파 DMB 수신 화면은 어떤지를 살펴보았다.

 

컴팩트한 크기의 UI 수신 프로그램

SKY-DMB Mini Stick는 컴팩트한 크기를 가진 UI 수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작은 크기로 휴대가 편리하다는 부분과 함께 큰 특징 중 하나다. 일반 PC의 경우 20인치 이상의 LCD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많아 큰 화면을 가진 수신 프로그램에서도 크게 지장이 없지만, 작은 LCD를 제공하는 노트북이나 UMPC 등에서는 너무 큰 화면은 사용에 부담이 될 수 있다.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20 x 240 정도의 화면 크기보다 약간 큰 크기를 가진 수신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제공되는 기능은 일반 HDTV나 TV 수신 카드들에서 제공하고 있는 수신 프로그램들과 비교하여 적은 편이라고 할 수 있지만, 기본 제공되는 녹화나 화면 저장, Time Shift 등을 모두 제공하고 있어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추가 기능들은 재생 화면 부분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할 수 있고 여기에서 외부 버튼들의 기능 외에 다양한 설정들을 추가로 제공하고 있다. 언어는 한국어와 영어의 2가지를 제공하고 있으며, 단축키를 제공하여 빠르게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고 F1키나 팝업 메뉴의 단축키 정보를 선택하면 해당 단축키 목록을 볼 수 있다.

 

주파수 설정 부분은 해당 지역의 지상파 DMB 수신 지역 부분을 설정하는 것으로 유럽 Local, 유럽 전역, 한국 서울-경기, 한국 전역, 중국 북경, 중국 상해 등으로 나뉘고 있다.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한국 서울-경기 지역에서의 지상파 DMB 수신 채널들만 검색 목록에 나타났다. 좀 더 많은 방송 채널들이 늘어야 지금보다 더 많은 사용자들이 지상파 DMB를 시청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채널 검색과 방송 수신 중 신호 약함 메세지

수신 프로그램을 켰을 때 TV와 Radio, Search의 세 가지 버튼이 오른쪽 하단에 위치하는데 Search 버튼을 눌러주면 주파수 설정에서 선택한 지역에 맞는 TV와 Radio 방송이 수신된 채널을 검색해주게 된다. 앞서 보았듯이 한국 서울-경기 지역을 선택하였을 때는 총 9가지 채널이 검색된다. 현재까지 지상파 DMB 수신의 경우 서울이나 수도권 등에만 제공되고 있어 지방에서는 이를 제대로 수신할 수 없지만, 조만간 방송 지역을 늘려간다고 하니 기다려볼 수 밖에 없다. 이는 지상파 DMB가 무료라는 부분이 단점으로 지적될 수 있는 부분이다.

 

지상파 DMB 채널 수신 중에 신호가 약한 채널로 이동하였을 때는 '신호가 약합니다.'라는 메세지가 나타난다. 위치를 변경하거나 수신 안테나를 뽑아 신호를 더 잘 받을 수 있도록 해주면 해결된다.

 

수신 화면 시청은 3가지 방법을 제공

[화면 보통크기]

[화면 200%크기]

[화면 전체크기]

수신 프로그램으로 수신된 화면은 총 3가지 모드를 제공하는데 기본은 화면 보통크기로 320 x 240의 크기이며, 화면 200%크기와 하면 전체크기의 2가지를 추가로 제공한다. 화면 200%크기와 전체크기는 기본 수신 화면인 320 x 240를 강제로 늘려 보다 넓은 화면으로 감상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화질 저하가 뒤따르게 된다.

 

환경 설정 옵션 제공

환경 설정 중 옵션에서는 다른 프로그램들보다 항상 위에 위치하게 해주는 항상 위에 보이기와 차량용에 사용할 경우를 대비하여 차량용으로 사용 체크 부분을 제공하는데 이를 체크하면 화면의 끊김을 줄여주는 기능을 해준다. 전체화면 설정에서는 일반적인 4:3 비율과 꽉찬 비율의 2가지를 제공하여 전체화면 사용시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이미지, 비디오, 라디오의 이미지 저장, 녹화, 녹음이 진행된 파일이 저장되는 경로를 설정해줄 수도 있다.

 

Time Shift 기능 제공

[가장 처음 위치한 정지 버튼을 클릭하면 Time Shift 기능이 동작한다.]

Time Shift는 일반 HDTV나 TV 수신 카드들에도 많이 적용되고 있는 기능으로 하드디스크에 진행된 부분을 저장하여 감상 중 놓친 부분을 다시 감상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 수신 프로그램의 가장 하단에 위치한 평상시 정지로 나타난 제일 처음에 위치한 버튼을 눌러주면 Time Shift 기능이 동작되며, 다시 재생으로 나타난 부분을 누르면 동작을 멈춘다.

켜고 끄는 기능 외에 임시 저장되는 위치 설정 변경, 그리고 최대 시간 설정을 제공한다. 최대 시간 설정 부분에서는 30/ 60/ 90/ 120분의 4가지 설정을 제공하는데 필요에 따라 해당 시간을 선택하면 되지만, 저장 시간에 따라 하드디스크의 필요 용량도 늘어나므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예약 녹화 기능

일반 HDTV나 TV 수신 카드들이 제공하고 있는 예약 녹화 기능을 기본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시간이 없어 미처 볼 수 없는 드라마나 영화, 프로그램 등을 해당 시간에 맞추어 놓으면 자동으로 녹화를 진행해주는 기능이다. PC가 종료된 상태에서 다시 켜지면서 동작하는 등의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항상 켜놓아야 하는 단점이 있다. TV와 Radio의 두 가지 모두를 정해진 시간에 녹화가 가능하며, 시작과 종료 시간만 설정해주면 알아서 녹화를 진행해준다.

 

수신 프로그램 업그레이드도 간단히

수신 프로그램에 마우스 오른쪽 키를 눌러 불러오는 메뉴에서 하단의 새 프로그램 체크를 눌러주면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이 오래된 버전인지를 확인하고 업그레이드 이전 버전이라면 자동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해준다. 이때는 물론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업데이트를 진행하지 못한다.

 

SKY-DMB Mini Stick으로 수신된 화면

SKY-DMB는 기본 320 x 240 크기의 화면을 가지며, 이미지 저장 기능은 3가지 화면 크기를 조절할 수 있지만, 320 x 240의 크기로만 화면 저장이 가능하였다. 아래의 4가지 화면은 320 x 240으로 저장된 이미지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4:3 비율 전체화면 모드로 촬영된 이미지 (이미지 누르면 큰 화면)]

기본 320 x 240 크기로 재생되기 때문에 최근 HDTV와 같은 화면은 기대할 수 없지만, 시청하는데 크게 어려움은 없었다. 또, 3가지 화면 모드를 제공하지만 기본인 320 x 240의 화면이 가장 깨끗했고 200%나 전체화면은 화면에서는 기본 화면보다는 강제 화면 늘림이기 때문에 화질이 떨어지는 편이다. 그러나,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화면을 지켜본다면 크게 무리 없는 정도의 화면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jwings90 (ID) / 06-12-23 19:26/ 신고
휴대성 하나는 정말 발군이네요^^ 지상파 DMB의 관건은 역시 얼마나 다양한 콘텐츠가 공급되느냐에 달린것 같네요^^
northwindv (ID) northwindv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12-23 19:43/ 신고
작고 편리한듯~~휴대간편은 최고네요..역시 7인치수준의 화질이라..일반 노트북이나 모니터에는 별로겠지만..
milkblue (ID)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12-23 19:53/ 신고
휴대성 발군...
하지만 이건 수도권 만을 위한 장치라서...
jin2006 (ID) / 06-12-24 9:50/ 신고
디자인이 작아 좋네요. 성능은 좀 아쉬운듯..
alphonse (ID) alphons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12-24 20:47/ 신고
휴대성은 괜찮은 것 같은데 음 수신 감도가
얼마나 나올지
zooc80 (ID) / 06-12-24 23:48/ 신고
작고 안테나가 달려있어서 휴대성이나 수신율이 괜찮게 보이네요 ^^
pmicro (ID) pmicr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12-26 2:25/ 신고
회사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하늘에서 날아 다니는 돼지털(?)은 다 취급하네요.^^
deathesp (ID) deathesp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12-26 22:40/ 신고
딱보니 mnbt oem제품같네요.
프로그램 완전 판박이...
몸체는 코발트 k2에... 수신률은 눈물날거 같군요.
(안좋아서)
TPEG도 빠지고, JSS랑 DLS도 빠지고...이거원 -_-;
jaeheec (ID) jaeheec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1-01 11:56/ 신고
수신율이 문제겠지요....
yunkj (ID) yunkj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1-01 19:23/ 신고
DMB수신기가 점점 작아지네는군요. 성능은 좋아지고 ㅎㅎ
sky0734 (ID) sky0734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1-02 23:07/ 신고
수신기가 좀 작군요.
no1mrchoi (ID) / 07-01-03 22:01/ 신고
지금 DMB 보급이 조금 주춤한듯하네요.
아직 광역시 단위로 일부가 개통된듯한데.
올 하반기쯤되야 수요와 관심이 늘어날듯 합니다.
成호철 (ID) 成호철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1-04 9:46/ 신고
제발...!!
제발 지방에도 DMB를 보게해달란 말이예요~~
scoot (ID) scoot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1-04 23:02/ 신고
최근 지상파DMB가 좀 위기 였는데, 점점 좋아진다고 하니
기대를 해야죠..그래도, 수신기가 없어서 그림의 떡 ㅠ_ㅠ
gimjeong (ID) / 07-01-06 0:28/ 신고
저도 회사에서 보고 싶네요..
핸드폰에서 지원하면 좋을테지만..ㅠ_ㅠ
yuhwa (ID) yuhw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1-06 9:31/ 신고
DMB수신기가 점점 소형화 되네요..
ceoh (ID) / 07-01-07 18:32/ 신고
조그마한게 대단하네요^^;;
jenjinman (ID) jenjinm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1-07 23:17/ 신고
DMB 수신기 작고 사용하기 편리할것 같네요.
wineagle (ID) / 07-01-13 6:58/ 신고
크기는 작아지고 성능은 점점 좋아지는군요.
jaeheec (ID) jaeheec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1-14 22:43/ 신고
dmb방송이 나와야 고나심을 가질텐데...
ohye701 (ID) ohye70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1-21 21:25/ 신고
이제 곧 활성화 될까요?
전국 DMB망을 깐다고 하니
swangat (ID) / 07-01-22 21:06/ 신고
휴대성 정말 탁월하네요. 기대가 됩니다.
k800229 (ID) k80022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1-25 2:04/ 신고
수신률만 좋아진다면 기대할만하겠군요
ilymaf (ID) / 07-01-28 22:27/ 신고
노트북에서 쓸만 하겠군요
ljhhjw (ID) ljhhjw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2-03 21:06/ 신고
워낙 크기가 작으니...좀더 두고보고 사야겟꾼요
iruni (ID) / 07-03-26 9:11/ 신고
HDTV용도 같은 크기로 나오던데,
HDTV 수신기능이 좋아진다면 매리트가 있을텐데요..
sd123q (ID) / 07-04-04 6:37/ 신고
워,,쓸만하겠네요 크기도 작고 아담하네요
l3rainl3ox (ID) / 07-04-08 8:51/ 신고
이런거 한개 잇으면 쓸만할텐데
mookee (ID) mooke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14 18:29/ 신고
휴대용으로 괜찮네요.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12/23] '월드 오브 워쉽' x 벽람항로 일곱 번째 콜라보레이션  
[12/23] GTA 온라인, FIB 파일 피날레에서 보상 두 배 제공  
[12/23] 넥슨, 메이플스토리M M4U 아일랜드 2차 이벤트 실시  
[12/23] 운빨존많겜, 출시 1주년, 역대급 업데이트와 이벤트 쏟아진다!  
[12/23] 서린컴퓨터, 시스템 빌드 전문 유튜버와 협업한 'PC SNAP 에디션' 출시  
[12/23] 펀키스, 31g 초경량 마그네슘 합금 8K 게이밍 마우스 WLMouse Beast Miao 시리즈 출시  
[12/23] Razer, 생산성과 게이밍 동시에 잡은 3종 키보드 마우스 출시  
[12/23] 디아블로 IV, 2025 세계 접근성 인식의 날 기념해 누구나 손쉽게 성역을 탐험하도록 돕는 기능 소개하는 영상 공개  
[12/23] 마우저, 첨단 비전 AI 기술을 지원하는 르네사스의 RZ/V2N 마이크로프로세서 공급  
[12/23] MSI, AI 게이밍 모니터 분야 선도  
[12/23] 삼성전자, AI 기능 탑재한 'AI 통버블 세탁기' 출시  
[12/23] 라이엇 게임즈, 발로란트 출시 5주년 기념 ‘자선 // V25 세트‘ 출시  
[12/23]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90 FE 둠 더 다크 에이지스 에디션 공개  
[12/23] 소니 PS5 가격 세 번째 인상 카드 꺼내나?  
[12/23] 넷마블 신작 세븐나이츠 리버스, CU와 제휴 이벤트 실시  
[12/23] 소리샵, 파이널(Final)의 프리미엄 유선 이어폰 S5000 출시  
[12/23] 웨스턴디지털, 인그라시스와 AI 워크로드 대응 위해 고성능 패브릭 연결 분산형 스토리지 공동 개발  
[12/23] 로보락 S9 MaxV Ultra, GS홈쇼핑 판타지에스 특집 방송 진행  
[12/23] 플레인비트-나루씨큐리티, 디펜더 서밋 2025 개최  
[12/23] 넥슨, 메이플스토리 2025 여름 ‘어셈블’ 쇼케이스 6월 7일 개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