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US AMD 790FX 메인보드!
지난
AMD 스파이더 플랫폼의 심장, 7시리즈 칩셋은 어떻게 달라졌나? 기사에서 ASUS를
비롯한 다양한 제조사들에서 AMD 7시리즈 칩셋들을 지원할 제품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전 AMD 580X
CrossFire 칩셋 제품들 역시 시장에는 다양한 제품들이 등장하지 못하여 사용자들이 쉽게 선택하기는 어려웠다. 이번
AMD 790FX는 ASUS, GIGABYTE, MSI 등에서 내놓을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 글을 작성하고 있는 현재
국내에서는 GIGABYTE와 MSI 두 제조사의 제품이 가격비교 사이트에 등장하여 판매 중이다.
오늘 살펴볼 ASUS의 M3A32-MVP Deluxe 제품은 아직 국내에 등장하지 않은
제품이지만, AMD 790FX 칩셋을 사용하고 있는 만큼 이 칩셋이 가진 기능들을 잘 활용하고 있다. 이 제품의 상위
버전은 WiFi-AP와 ASUS Cool Mempipe를 기본 제공하고 있는 ASUS M3A32-MVP Deluxe/WiFi-AP다.
ASUS M3A32-MVP Deluxe는 고급형 제품답게 전원부와 노스브릿지, 그리고
사우스브릿지를 연결하는 히트파이프 쿨러를 기본 제공하고 8+2Phase 전원부 구성, 4개의 그래픽 카드로
CrossFire를 구성할 수 있는 CrossFire X를 지원한다.
AM2+ 소켓 사용
[AM2+ 페넘 장착 이미지, AM2+는 기존 AM2 소켓과 큰 차이는 없다.]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AMD 790FX를 사용하고 있는 만큼 AM2+ 소켓 프로세서들을 지원하고 있지만, 새로운 아키텍처가
적용된 AM2+ 페넘 프로세서와 기존의 AM2 프로세서들 역시 지원이 가능한 하위 호환성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AM2 프로세서들을 장착해도 정상적으로 동작된다.
일부 AM2 메인보드들 역시 AM2+ 프로세서가 하위 호환성을 가지므로 장착하여 사용이 가능하지만, 현재는 일부
제조사들에서 AM2+ 지원 바이오스와 이전 칩셋으로 AM2+ 호환 메인보드를 내놓고 있어 아직까지 많은 메인보드들이
AM2+ 소켓 프로세서를 지원하고 있지는 못하다.
8+2 Phase 전원부 디자인
[8+2Phase 전원부 디자인, 8Phase는 CPU, 2Phase는 HT와 메모리]
ASUS의 M3A32-MVP Deluxe는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전원부 구성이 독특한데 바로 8+2Phase의
전원부를 가지고 있다. 즉, 10Phase 전원부 구성 중 8Phase의 전원부는 CPU를 위한 부분, 나머지
2Phase는 HT와 메모리 컨트롤러를 위한 부분이다.
PWM 컨트롤러는 STMicroelectronics의 STL6740L을 사용하며, 모스펫 드라이버 역시 STM6734을
사용한다. PWM 컨트로러와 모스펫 드라이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직 공개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전원부 구성을 보았을
때 GIGABYTE와 같은 듀얼 구성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모스펫 드라이버는 총 5개가 사용되고 Phase 당
4개의 모스펫이 적용되어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해주게 된다.
Stack Cool2 적용한 뒷면
메인보드 뒷면은 ASUS 고급형 메인보드들처럼 Stack Cool2를 적용하고 있으며, CPU 쿨러를 장착하였을 때
메인보드의 휘어짐 등을 방지해주는 금속의 지지대를 기본 제공하고 있다. Stack Cool2는 기존보다 최대 20도 가량의
온도 하락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ASUS는 밝히고 있다. 일부 메인보드 제조사들에서는 스트립과 같은 온도 하락 및
오버클럭 향상 등을 위한 기능들을 메인보드 뒷면에 제공한다.
DDR2-1066을 지원하는 메모리 슬롯
AMD 790FX는 AM2+ 메모리를 지원하는데 AM2+ 쿼드 코어 페넘의 경우 메모리 컨트로러가 앞서 언급하였듯이 하나의
128bit 채널과 두 개의 독립된 64bit 채널을 지원할 수 있다. 하지만, 메인보드 메모리 슬롯 구성은 큰 차이가
없이 총 4개의 메모리 슬롯을 통해 최대 8GB의 메모리를 지원 가능하다. 색상이 동일한 채널에 동일한 스펙과 용량의
메모리를 장착하면 듀얼 채널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듀얼 채널 구성 부분은 기존과 약간 다르므로 바이오스 부분에서 메모리
채널 설정 부분을 언급하였으니 참고하면 된다.
지원하고 있는 메모리는 DDR2 400/ 533/ 667/ 800/ 1066MHz이며, 기존 AM2 프로세서보다 DDR2
1066MHz 지원이 추가되었다. 하지만, 아직 JEDEC 규격은 DDR2 800MHz이므로 DDR2 1066MHz에 따른
성능 향상은 호환성이 개선된 후를 기대하는 편이 좋다. 킹스톤 PC2-9200 (DDR2 1150MHz) 메모리를 DDR2
1066MHz 설정한 결과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히트파이프로 전원부에서 사우스브릿지까지 일체형 쿨링
현재 고급형 메인보드들의 경우 히트파이프를 사용한 쿨링 솔루션을 적용하고 있는데 ASUS의 M3A32-MVP Deluxe도
히트파이프를 사용한 쿨링 솔루션을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 쿨링 솔루션은 전원부와 노스브릿지, 그리고 사우스브릿지를
모두 이어 쿨링을 해주고 있다. 특히, 뒤에 다룰 ASUS Cool Mempipe를 연결할 수 있는 부분이 노스브릿지
방열판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AMD의 경우 노스브릿지와 사우스브릿지의 발열이 경쟁 칩셋들보다 높지 않으므로 방열판이 크지
않으나 전원부의 쿨링을 위해 비교적 많은 방열핀들이 전원부에 밀집되어 있다.
AMD 790FX + SB600
[AMD 790FX]
[AMD SB600]
ASUS의 M3A32-MVP Deluxe는 AMD 790FX와 SB600의 두 가지
칩셋이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AMD 790FX는 앞서 언급되었듯이 AMD AM2 소켓의 Sempron,
Athlon64, Athlon64 X2, 64FX를 모두 지원하고 AM2+의 페넘 프로세서들을 지원한다. 하지만, 지난
기사에서도 언급하였듯이 AM2 메인보드에 AM2+ 프로세서를 장착하면 지원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AM2+
메인보드에 AM2 프로세서를 사용하여도 HT 3.0 등의 장점을 프로세서가 지원하지 못해 제대로 활용이 어렵다.
메모리는 DDR2-400/ 533/ 667/ 800/ 1066을 지원하며, PCIe
2.0 규격 지원 4개의 PCIe x16 슬롯 제공을 통해 듀얼 (PCIe x16 + x16 Lane) , 트리플 (PCIe
x16 + x8 + x8 Lane), 쿼드 (PCIe x8 + x8 + x8 + x8) CrossFire를 지원하는
CrossFire X 기술을 지원한다. 또, HyperTransport 3.0 (HT 3.0)을 지원하여 대역폭 확보를
통한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AMD 7시리즈 칩셋과 HD 3800 시리즈 그래픽 카드, 페넘 프로세서가 모인
Spider Platform에서는 Auto Xpress 기능이 활성화되어 이를 사용하지 않는 구성보다 7-8%의 추가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사우스브릿지는 이전의 AMD 580X CrossFire 칩셋과 조합되던 SB600이
그대로 사용되어 4포트 SATA II, NCQ (Native Command Quuing), RAID 0,1,0+1,10을
지원하고 AHCI를 지원한다. 오디오는 AC97과 HD Audio를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이더넷은 내장 MAC를 제공하지
않아 별도의 컨트롤러를 장착해줘야 한다. USB 2.0은 10포트를 제공한다.
AMD 790FX 칩셋에 궁금한 사용자들은
AMD 스파이더 플랫폼의 심장, 7시리즈 칩셋은 어떻게 달라졌나? 기사를 참고하자.
[ASUS Q-Connector로 편리한 연결]
메인보드 하단 프론트 패널 부분과 USB, IEEE1394 포트에는 전면 커넥터와 각
포트를 쉽게 연결할 수 있는 ASUS의 Q-Connector을 제공하여 편리하게 포트들을 연결할 수 있다. 전원과 리셋
등이 포함된 프론트 패널 부분은 특히 Q-Connector를 사용하면 이전보다 더 편리하게 연결이 가능하다.
SB600 사우스브릿지는 우측에 있는 4개의 검정색 SATA II 포트와 IDE 커넥터
하나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며, 바로 옆으로 붉은색의 2개의 SATA II 포트는 별도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SB600의 부족한 부분을 별도의 컨트롤러를 통해 보강하고 있는 방식이다.
백패널을 통해 제공되는 구성은 PS/2 키보드와 USB 2.0 2포트 일체, SPDIF와 Coaxial 출력 일체형,
USB 2.0 2포트, IEEE1394와 eSATA II 일체형, 랜과 USB 2.0 2포트 일체형 구성, 그리고 아날로그
사운드 6포트로 구성되고 있다.
네트웍을 위해 PCIe 기반의 기가비트 이더넷 PHY인 Marvell 88E8056 컨트롤러가 사용되어 기가비트 이더넷을
지원하며, 사운드는 HD Audio 코덱인 ADI의 AD1988B가 사용된다. 사우스브릿지 우측의 붉은색 SATA II
2포트는 Marvell의 88SE6121 컨트롤러가 담당하며, 백패널의 eSATA II 1포트는 Marvell
88SE6111 컨트롤러가 담당한다. IEEE1394 지원은 Agree의 FW3237 컨트롤러가 사용되고 백패널 1포트와
USB 2.0 커넥터 옆으로 붉은색의 커넥터 하나를 제공한다. 추가로 제공되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IEEE1394를 더
사용할 수 있다.
제공되는 구성물은 영문으로 구성된 사용자 매뉴얼, 전용 I/O 쉴드, 퀵 인스톨가이드, 퀵 스타트가이드, Optional
Fan 1개, Native CrossFire 케이블 2개, FDD/ IDE 케이블 각 1개, USB 2.0
2포트 및 IEEE1394 브라켓, SATA 데이터 케이블 'ㅡ'형과 'ㄱ'형 각 3개, SATA 전원 케이블 2포트
1개, Q-Connector 3개를 제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