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AMD 790FX, 하이엔드 시장을 노린다! ASUS M3A32-MVP Deluxe

2007-12-01 00:00
권경욱 前 기자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ress@bodnara.co.kr

3. ASUS M3A32-MVP Deluxe




 

 

 

 

 

 

ASUS AMD 790FX 메인보드!

지난 AMD 스파이더 플랫폼의 심장, 7시리즈 칩셋은 어떻게 달라졌나? 기사에서 ASUS를 비롯한 다양한 제조사들에서 AMD 7시리즈 칩셋들을 지원할 제품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전 AMD 580X CrossFire 칩셋 제품들 역시 시장에는 다양한 제품들이 등장하지 못하여 사용자들이 쉽게 선택하기는 어려웠다. 이번 AMD 790FX는 ASUS, GIGABYTE, MSI 등에서 내놓을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 글을 작성하고 있는 현재 국내에서는 GIGABYTE와 MSI 두 제조사의 제품이 가격비교 사이트에 등장하여 판매 중이다.

오늘 살펴볼 ASUS의 M3A32-MVP Deluxe 제품은 아직 국내에 등장하지 않은 제품이지만, AMD 790FX 칩셋을 사용하고 있는 만큼 이 칩셋이 가진 기능들을 잘 활용하고 있다. 이 제품의 상위 버전은 WiFi-AP와 ASUS Cool Mempipe를 기본 제공하고 있는 ASUS M3A32-MVP Deluxe/WiFi-AP다.

ASUS M3A32-MVP Deluxe는 고급형 제품답게 전원부와 노스브릿지, 그리고 사우스브릿지를 연결하는 히트파이프 쿨러를 기본 제공하고 8+2Phase 전원부 구성, 4개의 그래픽 카드로 CrossFire를 구성할 수 있는 CrossFire X를 지원한다.

 

AM2+ 소켓 사용

[AM2+ 페넘 장착 이미지, AM2+는 기존 AM2 소켓과 큰 차이는 없다.]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AMD 790FX를 사용하고 있는 만큼 AM2+ 소켓 프로세서들을 지원하고 있지만, 새로운 아키텍처가 적용된 AM2+ 페넘 프로세서와 기존의 AM2 프로세서들 역시 지원이 가능한 하위 호환성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AM2 프로세서들을 장착해도 정상적으로 동작된다.

일부 AM2 메인보드들 역시 AM2+ 프로세서가 하위 호환성을 가지므로 장착하여 사용이 가능하지만, 현재는 일부 제조사들에서 AM2+ 지원 바이오스와 이전 칩셋으로 AM2+ 호환 메인보드를 내놓고 있어 아직까지 많은 메인보드들이 AM2+ 소켓 프로세서를 지원하고 있지는 못하다.

 

8+2 Phase 전원부 디자인

[8+2Phase 전원부 디자인, 8Phase는 CPU, 2Phase는 HT와 메모리]

ASUS의 M3A32-MVP Deluxe는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전원부 구성이 독특한데 바로 8+2Phase의 전원부를 가지고 있다. 즉, 10Phase 전원부 구성 중 8Phase의 전원부는 CPU를 위한 부분, 나머지 2Phase는 HT와 메모리 컨트롤러를 위한 부분이다.

PWM 컨트롤러는 STMicroelectronics의 STL6740L을 사용하며, 모스펫 드라이버 역시 STM6734을 사용한다. PWM 컨트로러와 모스펫 드라이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직 공개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전원부 구성을 보았을 때 GIGABYTE와 같은 듀얼 구성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모스펫 드라이버는 총 5개가 사용되고 Phase 당 4개의 모스펫이 적용되어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해주게 된다.

 

Stack Cool2 적용한 뒷면

메인보드 뒷면은 ASUS 고급형 메인보드들처럼 Stack Cool2를 적용하고 있으며, CPU 쿨러를 장착하였을 때 메인보드의 휘어짐 등을 방지해주는 금속의 지지대를 기본 제공하고 있다. Stack Cool2는 기존보다 최대 20도 가량의 온도 하락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ASUS는 밝히고 있다. 일부 메인보드 제조사들에서는 스트립과 같은 온도 하락 및 오버클럭 향상 등을 위한 기능들을 메인보드 뒷면에 제공한다.

 

DDR2-1066을 지원하는 메모리 슬롯

AMD 790FX는 AM2+ 메모리를 지원하는데 AM2+ 쿼드 코어 페넘의 경우 메모리 컨트로러가 앞서 언급하였듯이 하나의 128bit 채널과 두 개의 독립된 64bit 채널을 지원할 수 있다. 하지만, 메인보드 메모리 슬롯 구성은 큰 차이가 없이 총 4개의 메모리 슬롯을 통해 최대 8GB의 메모리를 지원 가능하다. 색상이 동일한 채널에 동일한 스펙과 용량의 메모리를 장착하면 듀얼 채널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듀얼 채널 구성 부분은 기존과 약간 다르므로 바이오스 부분에서 메모리 채널 설정 부분을 언급하였으니 참고하면 된다.

지원하고 있는 메모리는 DDR2 400/ 533/ 667/ 800/ 1066MHz이며, 기존 AM2 프로세서보다 DDR2 1066MHz 지원이 추가되었다. 하지만, 아직 JEDEC 규격은 DDR2 800MHz이므로 DDR2 1066MHz에 따른 성능 향상은 호환성이 개선된 후를 기대하는 편이 좋다. 킹스톤 PC2-9200 (DDR2 1150MHz) 메모리를 DDR2 1066MHz 설정한 결과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히트파이프로 전원부에서 사우스브릿지까지 일체형 쿨링

현재 고급형 메인보드들의 경우 히트파이프를 사용한 쿨링 솔루션을 적용하고 있는데 ASUS의 M3A32-MVP Deluxe도 히트파이프를 사용한 쿨링 솔루션을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 쿨링 솔루션은 전원부와 노스브릿지, 그리고 사우스브릿지를 모두 이어 쿨링을 해주고 있다. 특히, 뒤에 다룰 ASUS Cool Mempipe를 연결할 수 있는 부분이 노스브릿지 방열판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AMD의 경우 노스브릿지와 사우스브릿지의 발열이 경쟁 칩셋들보다 높지 않으므로 방열판이 크지 않으나 전원부의 쿨링을 위해 비교적 많은 방열핀들이 전원부에 밀집되어 있다.

 

AMD 790FX + SB600

[AMD 790FX]

[AMD SB600]

ASUS의 M3A32-MVP Deluxe는 AMD 790FX와 SB600의 두 가지 칩셋이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AMD 790FX는 앞서 언급되었듯이 AMD AM2 소켓의 Sempron, Athlon64, Athlon64 X2, 64FX를 모두 지원하고 AM2+의 페넘 프로세서들을 지원한다. 하지만, 지난 기사에서도 언급하였듯이 AM2 메인보드에 AM2+ 프로세서를 장착하면 지원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AM2+ 메인보드에 AM2 프로세서를 사용하여도 HT 3.0 등의 장점을 프로세서가 지원하지 못해 제대로 활용이 어렵다.

메모리는 DDR2-400/ 533/ 667/ 800/ 1066을 지원하며, PCIe 2.0 규격 지원 4개의 PCIe x16 슬롯 제공을 통해 듀얼 (PCIe x16 + x16 Lane) , 트리플 (PCIe x16 + x8 + x8 Lane), 쿼드 (PCIe x8 + x8 + x8 + x8) CrossFire를 지원하는 CrossFire X 기술을 지원한다. 또, HyperTransport 3.0 (HT 3.0)을 지원하여 대역폭 확보를 통한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AMD 7시리즈 칩셋과 HD 3800 시리즈 그래픽 카드, 페넘 프로세서가 모인 Spider Platform에서는 Auto Xpress 기능이 활성화되어 이를 사용하지 않는 구성보다 7-8%의 추가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사우스브릿지는 이전의 AMD 580X CrossFire 칩셋과 조합되던 SB600이 그대로 사용되어 4포트 SATA II, NCQ (Native Command Quuing), RAID 0,1,0+1,10을 지원하고 AHCI를 지원한다. 오디오는 AC97과 HD Audio를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이더넷은 내장 MAC를 제공하지 않아 별도의 컨트롤러를 장착해줘야 한다. USB 2.0은 10포트를 제공한다.

AMD 790FX 칩셋에 궁금한 사용자들은 AMD 스파이더 플랫폼의 심장, 7시리즈 칩셋은 어떻게 달라졌나? 기사를 참고하자.

 

[ASUS Q-Connector로 편리한 연결]

메인보드 하단 프론트 패널 부분과 USB, IEEE1394 포트에는 전면 커넥터와 각 포트를 쉽게 연결할 수 있는 ASUS의 Q-Connector을 제공하여 편리하게 포트들을 연결할 수 있다. 전원과 리셋 등이 포함된 프론트 패널 부분은 특히 Q-Connector를 사용하면 이전보다 더 편리하게 연결이 가능하다.

SB600 사우스브릿지는 우측에 있는 4개의 검정색 SATA II 포트와 IDE 커넥터 하나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며, 바로 옆으로 붉은색의 2개의 SATA II 포트는 별도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SB600의 부족한 부분을 별도의 컨트롤러를 통해 보강하고 있는 방식이다.

 

백패널을 통해 제공되는 구성은 PS/2 키보드와 USB 2.0 2포트 일체, SPDIF와 Coaxial 출력 일체형, USB 2.0 2포트, IEEE1394와 eSATA II 일체형, 랜과 USB 2.0 2포트 일체형 구성, 그리고 아날로그 사운드 6포트로 구성되고 있다.

네트웍을 위해 PCIe 기반의 기가비트 이더넷 PHY인 Marvell 88E8056 컨트롤러가 사용되어 기가비트 이더넷을 지원하며, 사운드는 HD Audio 코덱인 ADI의 AD1988B가 사용된다. 사우스브릿지 우측의 붉은색 SATA II 2포트는 Marvell의 88SE6121 컨트롤러가 담당하며, 백패널의 eSATA II 1포트는 Marvell 88SE6111 컨트롤러가 담당한다. IEEE1394 지원은 Agree의 FW3237 컨트롤러가 사용되고 백패널 1포트와 USB 2.0 커넥터 옆으로 붉은색의 커넥터 하나를 제공한다. 추가로 제공되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IEEE1394를 더 사용할 수 있다.

 

제공되는 구성물은 영문으로 구성된 사용자 매뉴얼, 전용 I/O 쉴드, 퀵 인스톨가이드, 퀵 스타트가이드, Optional Fan 1개, Native CrossFire 케이블 2개, FDD/ IDE 케이블 각 1개, USB 2.0  2포트 및 IEEE1394 브라켓, SATA 데이터 케이블 'ㅡ'형과 'ㄱ'형 각 3개, SATA 전원 케이블 2포트 1개, Q-Connector 3개를 제공한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chaoticblue1 (ID) / 07-12-01 0:15/ 신고
플랫폼 출범 초기라 그런지 삐걱삐걱 한 것 같은 느낌인데
잘 달려줬으면 좋겠네요.
milkblue (ID)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1 0:56/ 신고
메인보드만을 보면 잘 나온 것 같습니다. CPU 도 조금 탄력받았으면 좋겠어요.
able38 (ID) / 07-12-01 1:29/ 신고
AMD의 선전을 기대합니다..
ho0426 (ID) / 07-12-01 1:49/ 신고
드디어 AMD보드에도 고급형이 나오기 시작했네요 기가바이트에 이어서 2번째인가요? 음... 근데 여전히 SB600는 아쉽네요
blasty (ID) blast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1 8:24/ 신고
사우스브릿지가 하루빨리 새로운 모델로 바뀌어서 더 뛰어난 성능의 조합이 되면 좋겟네요^^
pg1313 (ID) pg131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1 8:48/ 신고
제품은 전체적으로 성능 상승이 되었지만, 가격이나 품질은 아직도 문제가 좀 있는듯 하네요. 성능도 가격에 비해 좀 상승이 낮고
athlon88 (ID) / 07-12-01 9:05/ 신고
햐. 스펙이나 사용한 칩셋을 보니 고급보드이군요. 간만에 보는 AD1988.
SB700이 아닌 것은 약간 아쉽네요.
y20303 (ID) y2030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1 9:07/ 신고
아직은 완벽한 호환성을 기대하기에는 이른감이 있네요 페넘이 얼른출시되야..
sashin3 (ID) / 07-12-01 9:40/ 신고
다 좋은데 SB700이 아니라 아쉽네요.. 언제나 나오려나~
blackchh (ID) / 07-12-01 9:49/ 신고
SB700이 달려나와야 진정한 성능을 발휘할수있을것 같군요. 그리고 페놈이9500이 인텔의 Q6600에 비해서 성능은 떨러지면서 가격대가 비슷한게 걸림돌이 될수도 있겠군요.
x8051 (ID) x805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1 10:30/ 신고
그래도 고급스럽게 제품이 나온것 같네요. SB600이라는 점이 아쉽겠지만 현재로서 만족할수는 있지않을까 생각됩니다..
ho5945 (ID) ho594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1 11:37/ 신고
4장의 크로스파이어 구성 설명 표 아래에 잘못된 문구가 있네요..
트리플 CF구성 설명에 '쿼드 구성'이라고 되어있습니다~
사우스브릿지의 업그레이드가 되질 않아 고급형 보드에서 아쉬움을 남겨주고 있네요.. 또 따로 출시될 보드에서 SB700을 적용한다니 그걸 기다리는게 더 좋을수도 있죠~ 하지만 바이오스 문제가 또 따라오니까..
jackyang (ID) jackyang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1 11:47/ 신고
요즘 들어 AMD는 왠지 모르게 급한것 같습니다. 급한것 가지는 좋은데 문제는 왠지 미숙아를 시장을 내놓는 나는 느낌을 지울수가 없습니다. 시기도 중요하죠. 하지만 성능이 받쳐주지 않으면 시기가 중요해도 소용이 없는듯 하네요.
bmw375 (ID) bmw37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1 12:14/ 신고
어째 INTEL에 대응하기 위해 조급하게 출시하는 경향이 보이는군요. 그래도 그래픽 카드 부분에서는 AMD가 그런대로 선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니 그쪽으로 돌파구를 찾아보면 뭔가 좋은 대응책이 나오지 않을까 싶군요.
jin2006 (ID) / 07-12-01 13:47/ 신고
괜찮네요. 고급유저용으로 좋을듯...
700 이 아니라 좀 아쉽긴 하지만...일단 가격대로 좀 승부해야 할듯.
actium (ID) actium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1 15:08/ 신고
역시 급하게 나온 듯한 느낌이라 안정화가 덜 된 느낌이네요. 다만 가격적으로는 인텔에 비해서는 메리트가 있을 듯 합니다만...다만 현재의 790 계열보다는 좀 저렴한 칩셋이 나와주었으면 좋겠네요.
kama136 (ID) / 07-12-01 15:24/ 신고
메인보드칩셋 자체의 성능은 참 좋을 것 같은데... 가장 중요한 cpu 때문에 과연 어느정도의 인기를 모을 수 있으지...
joel83 (ID) joel8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1 17:09/ 신고
뽀대가 그냥 좔좔좔 흐르는군요 ㅎ;
SB700 이랑 Ti 1394 / Sil 3132 였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입니다 ^^a
kss8569 (ID) kss856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1 17:35/ 신고
빨리 리뷰가 보고싶어요..ㅎㅎㅎㅎㅎㅎㅎ
emaeull (ID) emaeull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1 18:34/ 신고
아쉬운 점이 있긴하지만은 고급형으로서 괜찮은 것 같은데요...^^
bsbday (ID) bsbda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1 20:11/ 신고
페놈이 실망스럽다보니 메인보드도 좋은 제품임에는 분명하지만 크게 끌리질 않는군요.
왠지 AM3로 갈아탈 날이 더욱 빨리 올거 같은 예감이 듭니다.
mktsoft (ID) / 07-12-01 21:08/ 신고
성능과 관계없이 쿼드 크로스파이어만을 위한 제품이라고 보여지네요. 한쪽다리가 부실하네요.
godanhan (ID) / 07-12-01 23:09/ 신고
보드만 보면 성능은 끝내 줄 것 같은데...ㅎㅎ 페놈이 이름만큼 제 값을 못하는 것 같네요.
hermes (ID) herme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1 23:09/ 신고
하이엔드급을 보면서 느끼는 점은 나와 거리가 먼 제품이다.
그래도 한번쯤은 사용해보고 싶은 제품이라는 것입니다.
뭘 위해서라기 보다는 조금더 빠른 환경에 익숙해지는 자신을 발견하는 것 ..
때문이 아닌가 싶군요.
ATI도 호환성과 안정된 드라이버를 만들었으면 합니다.
ohye701 (ID) ohye70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1 23:20/ 신고
아직은 아니다 싶지만 적어도 가능성을 보여준 제품이라 생각되는군요.
kood (ID) koo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2 10:51/ 신고
보드와 바이오스 잘만 나오면 페놈 이름값을 제대로 할텐데 그러질 못해서 좀 아쉽네요 ^^ 좀더 지켜봐야 할듯 합니다
kwnation2020 (ID) kwnation202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2 11:21/ 신고
보드 자체만은 참 괜찮은 플레폼 같네요. 관심있게 기사 잘 읽었습니다.
agent97 (ID) / 07-12-02 14:49/ 신고
일단 보드 자체는 괜찮은듯 하고요 CPU와 같이 가격경쟁력만 가지고 있으면 충분히 매리트가 있다고 보여지네요...
kyta123 (ID) kyta12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2 16:26/ 신고
보드만 본다면 좋은 선택이 되겠지만 시피유,그래픽카드,그리고 보드중에서
삼박자를 이루는 시피유 성능이 기대치 이하라는게 문제지만 가격에서 메리트가 있다면 좋을것 같습니다, ASUS Cool Mempipe 또한 특히한게 좋아보이지만,
램을 분해할때 까다롭지 않을지 모르겠군요.
xcgame (ID) xcgam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2 18:05/ 신고
보드 괜찮아보인다 가격만 좋게 나와라 바로 산다 ㅋㅋ
mookee (ID) mooke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3 1:30/ 신고
페넘과의 조합과 쿼드 크파까지... 적절한 시점은 분명하지만 중심이 되는 페넘의 성능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 많다보니 어찌될지는 모르겠네요.
bluemun (ID) bluem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3 8:49/ 신고
쿼드크로스파이어 성능 제대로 나오면 대박이겠네요.
lee6434 (ID) lee6434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3 10:20/ 신고
내년 봄이면 안정화가 이루어질까요?
3월쯤에 스파이더 시스템으로 하나 꾸며 보려는데 좋은 정보였습니다.
kimjk12 (ID) / 07-12-03 12:42/ 신고
역시나 제일 궁금한건 가격!!
stg12 (ID) stg1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3 20:58/ 신고
아수스의 하이엔드 제품군을 볼때마다 느끼지만,
퀄리티가 상당합니다.ㄷㄷ
asto2020 (ID) asto202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3 23:42/ 신고
전원부가 과도하게 튼실하데...
lolol5757 (ID) / 07-12-04 16:47/ 신고
그래도 새 플랫폼은 고급형도 출시가 되려나 보군요
헛소린지 몰라도 ROG시리즈도 나온다고 하던데;;
ssaulpo (ID) / 07-12-05 9:07/ 신고
페넘 초기상태는 머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분명 지금 출시되는 페넘들은 페넘 라인들중에서 하위라인일테고.. 앞으로 공정도 바뀌고 개량된다면 충분히
이후에 저런 좋은 보드에서 충분한 성능 뽑아줄꺼라고 생각합니다.
raremine (ID) / 07-12-06 20:47/ 신고
기판색이 노란색이 아니어서 다행이랄까;;
jcft13 (ID) jcft1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08 1:13/ 신고
SB700이 나올때까지는 AMD칩셋메인보드 구매는 보류가 좋을듯합니다
bmw4731 (ID) / 07-12-09 19:54/ 신고
AM3 보드도 나온다던데 AM2+를 안사는사람이 많더라구요
bmw4731 (ID) / 07-12-09 19:55/ 신고
근데 페놈다음의 CPU는 안나올까요? 페놈이 Q6600하고 동급으로 치면 그상위등급 나와야 될텐데
kidnap (ID) kidnap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2-13 18:25/ 신고
보드가 좋아봣자,,, 진빵에는 앙꼬가 핵심인데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12/01] 앱코, 진동과 가상 7.1 채널을 탑재한 게이밍 헤드셋 ‘N999’ 출시  
[12/01] MSI, 컴퓨텍스 2025서 AI 노트북 핸드헬드 신제품 공개  
[12/01] HP, ‘Victus Gaming Laptop 15-fb3113AX’ 출시.. 고성능 가성비 겸비한 게이밍 노트북  
[12/01] 이엠텍아이엔씨가 공식 유통하는 PALIT과 SAPPHIRE, COMPUTEX 2025 참가  
[12/01] 퀄컴, 멀티미디어 경험 강화된 스냅드래곤 7 Gen4 발표  
[12/01] 넥슨, ‘마비노기 영웅전’ 오케스트라 공연 6월 21일 개최  
[12/01] '프리미엄한 당신을 위한 최고의 선택' 삼성스토어, '데이코 위크' 진행  
[12/01] 넷마블 북미 자회사 카밤, <마블 올스타 배틀> PC 버전 전 세계 정식 출시  
[12/01] '월드 오브 워쉽' x 벽람항로 일곱 번째 콜라보레이션  
[12/01] GTA 온라인, FIB 파일 피날레에서 보상 두 배 제공  
[12/01] 넥슨, 메이플스토리M M4U 아일랜드 2차 이벤트 실시  
[12/01] 운빨존많겜, 출시 1주년, 역대급 업데이트와 이벤트 쏟아진다!  
[12/01] 서린컴퓨터, 시스템 빌드 전문 유튜버와 협업한 'PC SNAP 에디션' 출시  
[12/01] 펀키스, 31g 초경량 마그네슘 합금 8K 게이밍 마우스 WLMouse Beast Miao 시리즈 출시  
[12/01] Razer, 생산성과 게이밍 동시에 잡은 3종 키보드 마우스 출시  
[12/01] 디아블로 IV, 2025 세계 접근성 인식의 날 기념해 누구나 손쉽게 성역을 탐험하도록 돕는 기능 소개하는 영상 공개  
[12/01] 마우저, 첨단 비전 AI 기술을 지원하는 르네사스의 RZ/V2N 마이크로프로세서 공급  
[12/01] MSI, AI 게이밍 모니터 분야 선도  
[12/01] 삼성전자, AI 기능 탑재한 'AI 통버블 세탁기' 출시  
[12/01] 라이엇 게임즈, 발로란트 출시 5주년 기념 ‘자선 // V25 세트‘ 출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