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디지탈 리뷰 홈  

LTE 스마트폰 5종+1 비교, 갤럭시S2 LTE, 갤럭시S2 HD LTE, 옵티머스 LTE, 베가 LTE, 레이더 4G, 레이저

2011-12-02 19:00
이수원 수석기자 swlee@bodnara.co.kr

3. 비교 테스트 제품 및 소프트웨어 버전 소개



먼저 벤치마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LTE 스마트폰들의 성능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아무래도 주관적인 평가가 작용하는 실사용 테스트에 비해 객관적인 수치로 성능을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스마트폰의 성능 차이를 구분하기 위해 많이 쓰인다.

성능 테스트에는 LTE 스마트폰 5종과 모토로라 레이저 외에 국내 출시된 듀얼코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중에서 가장 인기있는 모델인 삼성전자 갤럭시 S II와 지난 해 안드로이드폰 레퍼런스 스펙에 해당하는 구글 넥서스 원을 추가로 포함시켰다.

테스트 제품의 자세한 소프트웨어 버전은 아래와 같다.

6종의 제품 모두 안드로이드 2.3 진저브레드를 탑재했으며, HTC 레이더 4G가 2.3.4, LG 옵티머스 LTE와 팬택 스카이 베가 LTE, 모토로라 레이저가 2.3.5, 그리고 삼성 갤럭시 S II LTE와 갤럭시 S II HD LTE는 2.3.6 버전이다. 비교 대상인 갤럭시 S II와 넥서스 원도 진저브레드 기반의 최신 버전을 사용했다.

스마트폰별 저장 공간을 보면 16GB 내장 메모리를 기본으로 하고 있어 microSD 외장 메모리 카드를 장착하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어느 정도 앱 설치 및 컨텐츠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반면 4GB eMMC 메모리가 들어간 옵티머스(SKT버전)는 기본 앱을 설치하고 남은 공간이 약 1.65GB 정도로 저장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16GB micro SD 카드를 기본 제공하고 있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조용주본인 / 11-12-02 21:09/ 신고
일단 LTE 1세대는 스냅드래곤때문에 건너뛰는 게 좋을 듯 하네요.
갤럭시 노트도 해외수입해서 쓰는 사람도 많구요.
어지간한 얼리가 아닌한 초기 상품은 베타테스터가 되기 쉽상이니 넘어가는 게 좋을 듯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옵티머스 LTE 를 공기계로 사서 동영상 머신으로 쓰고 싶네요.
공부하자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3 0:01/ 신고
갤럭시노트 수입하는건 엑시노스 선호도 주된 이유지만...
국내 갤럭시노트가 3G 무제한 요금제 가입이 안되는 이유가 더 큰 것 같아요.

그리고 이 기사를 보면 알겠지만 갤럭시S2, 갤럭시S2 LTE는 엑시노스와 스냅드래곤 차이로 볼 수 있습니다. 차이가 별로 없죠.

옵티머스LTE .. 공기기로 사서 동영상 머신으로 쓴다면 굉장히 가성비 떨어지는 PMP가 되겠네요.
조용주본인 / 11-12-03 16:17/ 신고
얼마 전에 공기계가 50만원 정도에 나온 걸 망설이다 놓쳤습니다.
좀 기다리면 더 적절한 가격에 나오지 않을까 합니다.
1280 해상도에 tp, ts 까지 되는 무인코딩 pmp 를 찾고 있거든요.
갤플70, 아이코니아로도 아직은 무리였습니다.
공부하자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3 0:10/ 신고
갤럭시탭, 갤럭시s2 등의 삼성 기종들은
기본 브라우저에 밝기 설정이 별도로 있습니다. 그 부분까지 최대로 한 건가요?
갤럭시 LTE에 포함된 브라우저에도 밝기 설정이 있는 것으로 압니다.


13페이지 내용을 보면 브라우저 밝기 설정을 하지 않은 것 같아서 글 남깁니다.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3 0:47/ 신고
최대로 한 거 맞습니다. 밝기를 최대로 해도 브라우저의 최대 밝기가 낮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푸르스름하게 보이구요. 브라우저 화면을 줌 아웃하면 탭 브라우징이 되어 창이 작게 되는데 이 때 페이지를 보시면 풀 화면일 때보다 훨씬 밝아집니다. 삼성에서 AMOLED 발열 및 전력 소모 때문에 일부러 기본 브라우저 밝기를 낮춘 것으로 생각됩니다.
공부하자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3 0:54/ 신고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절전모드도 해제된 상태인가요? ;
갤럭시 시리즈들 사용시간이 길어 보여서요.

폭풍전야님이 말씀하신대로라면 약간의 꼼수를 사용한거네요. ;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3 1:00/ 신고
절전 모드는 모두 기본값으로 했습니다. 예전에 듀얼코어 스마트폰 비교기사를 썼을 때는 갤럭시 S II 액정이 상당히 밝았는데 이번에 테스트할 때는 갤럭시 S II 액정도 어두웠고 배터리 시간도 늘어난 것으로 봐서 삼성에서 갤럭시 S II 시리즈의 웹 브라우저 기본 밝기를 바꾼 것 같더군요.
공부하자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3 2:06/ 신고
그렇군요.

그런 부분을 감안하면, 다른 기기들은 사용시간 테스트에서 불리한 조건이기도 했네요.;
공부하자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3 0:22/ 신고
기사 잘 봤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 ^
가우스 / 11-12-03 0:52/ 신고
기사 잘 봤습니다.
그런데 배터리 시간이 어떻게 저렇게 나오죠?
같은 갤럭시 HD에 와이파이인데 대기시간 50시간도 안나오는거 같은데..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3 0:57/ 신고
대기시간은 이동통신(3G/LTE) 모드를 끈 상태입니다. 원래 안하려고 한 테스트인데 베가 LTE 샘플이 이상하게 배터리 방전이 빨라서 그걸 확인해보려고 한 겁니다. 무선랜과 GPS만 켜고 화면은 끈 상태로 10시간 동안만 그대로 둔 것이라 실 대기시간과는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삼다수 / 11-12-03 2:38/ 신고
요모조모 비교해 가면서 잘 읽었습니다.
2번 항목에 옵티머스 NFC 지원되는데 '-'로 표시하셨네요...^^
앞으로 나올 핸드폰 리뷰도 꼭 여기서 봐야겠어요~^^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3 13:40/ 신고
내용 수정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메이븐 / 11-12-03 4:26/ 신고
잘 봤습니다. 정말 고생 많으셨네요 수고하셨습니다.
오버쿨럭커 / 11-12-03 8:39/ 신고
-On Mobile Mode -
가성비로는 레이더가 가장 좋은것같네요
누구처럼 업데이크 미룰 회사는 아니여서
너도모르냐 tkdc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3 12:28/ 신고
좋은 기사 잘 봤습니다.
"스마트폰 부팅 및 종료시간"에 그래프 보시면 "그래프가 길수록 좋음"을 정정 하시는게..^^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3 13:40/ 신고
그래프 수정했습니다 지적 감사합니다 ^^
너도모르냐 tkdc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3 15:53/ 신고
수정되었군요...^^
마프티 psywin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3 14:15/ 신고
당신의 선택은? 이라고 묻는다면 아무것도 선택하고 싶지 않군요.
전국화도 안된 LTE회선, 듀얼칩이 달린 전화기, 어정쩡한 과도기적 스펙...그래도 굳이 선택하려면 역시 안드로이드는 삼성제품이 최고.
공부하자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3 14:19/ 신고
3G도 스냅드래곤 아니면 모두 듀얼칩이에요. 갤투도 듀얼칩이죠.
LTE에 스냅S3만 사용되는건 엑시노스등을 사용하려면 3개의 칩을 박아야 하기에..;
ㅁㄴㅇ / 11-12-03 17:56/ 신고
제 옵 lte는 mkv 1080 h264 파일 잘돌리던데 희한하네요. 무려 flac음성까지 지원함;;
바람공자 pdjp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3 19:26/ 신고
와~ 아주 유용한 정보네요.
대체적으로 성능은 갤럭시가 낫긴 한데 역시 디스플레이에서 조금 그렇네요.
올해 보드나라에서 실시한 디스플레이 블라인드 테스트때 결과를 보고 깜짝놀랐습니다만, 삼성의 디스플레이는 저하고는 조금 안맞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실제로 갤럭시 HD LTE를 잠깐 사용해 봤는데 역시나 제생각과 비슷하더군요.
또, 스냅드래곤 조금 말들이 있는듯 하더군요. 역시 1세대는 베타테스터가 될 소지도 있겠죠.
더구나, 현재 LTE 요금제가 잘못하면 요금폭탄으로 이어지는 만큼, 아직까지는 3G쪽이 절정의 대세를 이루고 있는듯 하구요.
멋진기사 정말 잘봤습니다.
위 기사를 보니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듬뿍 들어간듯 하네요. 수고하셨습니다.^^
aste / 11-12-04 0:33/ 신고
리뷰 잘봤습니다. 그런데 한가지 오류가 있어서요..
갤스2시리즈에 브라우져 밝기 말인데요. 강제로 삼성에서 브라우져 밝기를 줄인게 아니라 디스플레이 옵션에 보면 화면절전모드라는게 있습니다. 이미지를 분석한 후 화면 밝기를 조절해 전력 소모를 줄입니다. 라고 설명이 되어 있는데 이 옵션이 켜있으면 브라우져 밝기가 강제로 줄어듭니다. 옵션을 켜고 끈 후 최대밝기로 브라우져 밝기를 비교해보시면 아실겁니다.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4 1:02/ 신고
그 부분을 고려하지 못했군요. 추가로 테스트해서 기사에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지적 감사드립니다.
공부하자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4 2:01/ 신고
제가 절전모드 문의한 폭풍전야님 답글에
기본값으로 했다는 말씀이 켜두고 했다는 말이군요.
절전모드 켜고끄는 것에 따라 화면 색상이 달라져요.
Aste / 11-12-04 0:43/ 신고
'절전모드' 옵션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옵션에 있습니다
하얀무당벌레 / 11-12-04 16:22/ 신고
이거 학교 게시판에 올려도 될까요? 출처는 당연히 보드나라로 밝히구요.
요즘 그냥 광고에 낚이는 사람들이 많아서 저희 학교 사람들 참고하라고 올려주고 싶네요.
감자나무 감자나무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5 12:29/ 신고
기사 상단의 퍼가기 기능을 활용해 퍼가시거나 기사 링크를 공유하시는 것은 가능하나, 전문을 가져가시면 안됩니다.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4 18:16/ 신고
배터리 시간 테스트에서 웹 서핑 부분이 수정됐습니다. 또한 갤럭시 S II 시리즈의 경우 해당 옵션의 사용 유무에 따른 배터리 시간 차이를 추가했습니다. (대신 디스플레이 온도 비교 테스트 항목이 빠졌습니다)
Exynos / 11-12-04 20:04/ 신고
기기는 솔직히 시퓨부터 마음에 안들지만 4G가 내년부터 제대로 상용화되고 또내년부터 쿼드코어폰도나오니 내년에 나오는2세대? 가기대되내요
배터리기술이 발전이 안되는것이 정말아쉽지만 ㅜㅜㅜㅜ
안녕하세요.// tol0108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4 21:15/ 신고
LTE 속도 엄청나군요.
빨리 지방까지 보급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협e jukheb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4 22:54/ 신고
기사 잘 봤습니다.
담에 고를때는 이런 리뷰등을 잘 봐서 더욱더 잘 골러야 할것으로 예상을 해보네요. 아직 노예계약때문에 ..ㅋㅋ;;
무엇보다도 전 내장메모리로 인해서 파일이동속도 및 부팅과정에서의 속도를 중시해서 잘 봤네요.
내장메모리와 외장메모리가 잇는 제품들간의 속도차이가 많다라는건 분명 나중에 문제가 잇거나 빠른 처리에 도움이 많이 되지 않는다고 보여지면서 요즘 트랜드는 그냥 내장메모리가 있어서 더욱더 읽기/쓰기가 빨라질듯한 기분이 드네요.
결국, 읽어드려오는 시간이 느리면 켜지는것도 느리고 쓰는시간도 느린다라는던데 ...
최신폰인데도 이런 단점은 빠르게 보완을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을 해보네요.
LTE는 휴대폰 스펙은 좋은데 결국 서울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라는 점도 조금은 아쉽네요. 뉴스에도 소비자가 지방에서는 잘 터지지도 않고 통화도 잘 안된다고들 하니 ;;
결국 전 다시 선택을 하라고 하면 디자인을 많이 중시할듯;
스펙도 중요하지만 디자인이 괜찮다고 한다면 스펙보다는 디자인을 .
그리고 그시점에서 좋은 제품들중에서 고를듯 싶네요. 디자인순위로 ...
뭐 다 거기서 거기니 ;;;
처런 ohloveajk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5 20:01/ 신고
심여를 기울인 기사라 더욱 꼼꼼하게 읽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정말 고생 많으셨고 좋은 기사 감사드립니다. 토닥토닥 ^^
나그네 / 11-12-07 21:19/ 신고
좋은글 잘 봤습니다. +_+
혹시.. 업데이트 예정이 있으시다면.. 갤럭시 넥서스도 부탁드립니다.
(^o^)b
끓여만든배 / 11-12-08 12:00/ 신고
다양한 제품을 테스트했군요. 잘 보았습니다.
공부하자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8 23:52/ 신고
레이더 사용자들은
대기시간후 99% ... 이 부분에 쓰인 꼼수를 아실겁니다.
레이더의 완충 100% 는 100 이 아니라 120 정도는 된다는 걸요..;
프리스트 rubyc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9 9:30/ 신고
스마트폰 비교 테스트도 보통 일이 아닌데 고생하셨네요.
PowerPC cherrysi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9 10:01/ 신고
LTE 서비스가 활성화 되었으면 좋겠군요
공부하세요 / 11-12-09 13:05/ 신고
옵티머스 LTE도 WiFi 5GHz 밴드 지원합니다. a/b/g/n 입니다.
무선랜 성능에서 지연률도 중요한데 그건 왜...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13 16:37/ 신고
해당 내용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기자님 / 11-12-10 15:23/ 신고
lte폰들 그냥 대기시간이 아닌 4g데이터를 켰을때 대기 전력소모량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제조사 스펙에 비해 솔직히 4g데이터 켜놓고 대기시간이 형편없는거 같아서요.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13 16:38/ 신고
본문에서도 언급했지만 미개통으로 제공된 샘플이 대부분이라 4G 데이터 사용시 대기전력 소모는 체크하지 못했습니다.
MPEG2 / 11-12-14 11:39/ 신고
위에 ts tp파일 재생 원하시는 분이 계신데 MPEG2를 스마트폰이 지원해줄지....
나그네 / 11-12-20 23:45/ 신고
노트랑 갤럭시 넥서스도 추가 해줬으면 좋겠네요~~~~~~~
대단해요 / 11-12-28 22:20/ 신고
오늘 옵티머스 LTE 부팅 속도 테스트 해 봤는데 41~2초 걸리는것 같은데요...1분이 넘지는 않은 것 같아요 확인 부탁드려요
바람나라 / 12-01-03 10:55/ 신고
1세대 LTE폰이지만,, 기존 스마트폰(갤2)대비 별 불만없고, 화면커지고 해상도 올라가서 깨끗해지고 인터넷 빨라져서 큰 불만없이 사용하고 있는데,, 사용해보지도 않고 1세대 LTE폰이니 베타테스터가 되기 싫으면 사용하지 말라는 분은,, 대체 무슨,,,,
삼성알바 / 12-01-08 14:27/ 신고
삼성 광고인가..아님 알바가 쓴건가..옵티머스LTE 사용중인데 다른건 귀찮아서 재볼 수 없고, 방금 부팅해봤더니 부팅시간 48초밖에 안 걸리는데...무슨 1분이 넘어가..삼성쪽은 최저값 써 놓고 타사폰은 최대값 써 놓은거 같은데..
김선탁 / 12-02-25 21:38/ 신고
개인적으로 배터리 테스트는 기기 특성때문에 실사용과 벤치가 상당히 동떨어진다고 보는데요. 일단 밝기부터 기기마다 셋팅값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조도 계측장비가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이후에 스마트폰으로 주로 이용하는 같은 웹페이지와 동영상 반복재생등으로 측정해야 공정한 측정이 되겠죠. 아몰레드가 배터리 오래간다더니 실제로 써보니 그건 아니더군요.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12/02] MSI, 다수의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12/02] PC 이용자를 위한 더 편하고 쾌적한 조명, 벤큐 스크린바 헤일로2 출시 간담회  
[12/02] 토탈 이미징 솔루션 기업으로 이어진 40년, 캐논코리아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  
[12/02] 유니씨앤씨, 5월 16일 오전 11시, 가정의 달 특집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 LIVE 진행  
[12/02] MSI, 컴퓨텍스 2025에서 획기적인 PC, 메인보드 라인업 공개  
[12/02] MSI, COMPUTEX 2025에서 다수의 수상 영예  
[12/02]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GRADIUS’ 40주년 기념 ‘GRADIUS ORIGINS’ 음원 공개  
[12/02] PC업계가 게이밍 마케팅 꿀을 그만 빨고 새로운 메시지를 내놓아야 하는 이유  
[12/02] 탁상 위 프리미엄 냉방 혁신, 디앤디 ‘라이브박스 탁상용 서큘레이터’ 출시  
[12/02] 뉴트리불렛, ‘울트라 플러스(Ultra Plus+)’ 출시  
[12/02] 뷰소닉, 무선 미러링 캐스트 ‘뷰쉐어(WPD-900)’ 출시  
[12/02] 넥슨, ‘마비노기’ 21주년 판타지 파티 ‘NEW RISE’ 6월 21일 개최  
[12/02] 넥슨, ‘마비노기 영웅전’ 성장 구간 개선 업데이트 실시  
[12/02] 사운드캣, ‘플레이엑스포 2025’ 참가, 게임 전용 음향기기 및 하이엔드 인이어 선보일 예정  
[12/02] 웹젠 ‘샷온라인’, 펫 시스템 및 광장 업데이트  
[12/02] 컴투스 ‘낚시의 신’, 하림 더미식 ‘오징어라면’과 이색 컬래버레이션 진행!  
[12/02] 에이수스, NVIDIA GB10 탑재한 개인용 슈퍼컴퓨터 ‘AI MiniPC GX10’ 출시  
[12/02] 제이씨현, 기가바이트 B760M AORUS ELITE GEN5 메인보드 출시!  
[12/02] 본격적인 순위 경쟁의 시작! 2025 OWCS 코리아 스테이지 2, 2주 차!  
[12/02] 넥슨,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와 아르포텐 컬래버레이션 실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