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게이밍벤치마크]의협이 살아 숨쉬는 블레이드&소울을 위한 VGA 선택은?

2012-07-18 11:00
이상호 기자 ghostlee@bodnara.co.kr

3. 블레이드&소울을 위한 그래픽 카드 18종



이번 블앤소를 위해 선택한 그래픽 카드는 NVIDIA계열 그래픽 카드 9종과 AMD 계열 그래픽 카드 9종의 총 18종으로, NVIDIA는 지난 3월과 5월에 각각 28nm 공정과 새로운 케플러 아키텍처 기반의 하이엔드 모델인 지포스 GTX 680과 GTX 670를 출시해, 기존 32nm 공정과 페르미 아키텍처 기반의 지포스 500 시리즈와 함께 라인업을 구성하고 있다.

반면, AMD는 2012년 1월 초 라데온 HD 7970을 시작으로 하이엔드부터 메인스트림까지 28nm 공정과 GCN 아키텍처 기반의 라데온 HD 7000 시리즈로 라인업을 구성하고, 벨류급은 32nm 공정과 VLIW4 아키텍처 기반의 라데온 HD 6000 시리즈로 구성하고 있다.

 

NVIDIA 계열 그래픽 카드 9종


※ ZOTAC 지포스 GTX680 AMP! Edition D5 2GB(우)
※ ZOTAC 지포스 GTX670 D5 2GB DUAL KING(중)
※ ZOTAC 지포스 GTX570 DPport D5 1.2GB(좌)

NVIDIA는 28nm 공정의 케플러 아키텍처를 기반으로하는 지포스 GTX 680과 지포스 GTX 670으로 하이엔드 라인업을 세대 교체한 상황으로, 조텍의 지포스 GTX 680 AMP! 에디션과 지포스 GTX 670 Dual King은 레퍼런스보다 동작 클럭을 올려 보다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

조텍 지포스 GTX 680 AMP! 에디션은 4개의 히트파이프와 2개의 쿨링팬으로 발열을 해소하고, 조텍 지포스 GTX 670 Dula King은 2개의 쿨링팬을 사용한 레퍼런스에 모델에 비해 짧은 쿨러를 장착해 케이스 호환성을 높였다.

페르미 아키텍처 기반의 하이엔드 모델인 지포스 GTX 580은 케플러 아키텍처 모델들의 출시와 함께 세대 교체가 진행되며 시장에서 거의 사라지고 있으나, 지포스 GTX 570의 경우 가격이 인하되면서 지포스 GTX 6870/ 670과 함께 하이엔드 라인업을 구성하고 있다.

조텍의 지포스 GTX 570 DPort 모델은 성능이나 디자인적으로 특별함은 없으나, 레퍼런스 모델에서 지원하지 않는 표준 DisplayPort를 제공해 디스플레이 선택의 폭을 넓혔으며, 이번 테스트에 사용된 GTX 680/ 670모델들 역시 표준 DisplayPort를 제공해 레퍼런스 모델보다 모니터 호환성을 높였다.(레퍼런스 GTX 680/ 670은 미니 DisplayPort 제공)

 


※ ZOTAC 지포스 GTX560 Ti Z-Seven D5 1GB(우)
※ ZOTAC 지포스 GTX560 G-Six D5 1GB(중)
※ ZOTAC 지포스 GTX560 SE D5 1GB(좌)

페르미 아키텍처에서 케플러 아키텍처로 세대 교체된 하이엔드 라인업과 달리, NVIDIA의 퍼포먼스급 라인업은 여전히 페르미 아키텍처 기반의 지포스 GTX 560 시리즈가 배치되어 있다.

이번 테스트에 사용된 조텍 지포스 GTX 560 Ti Z-Seven는 레퍼런스 모델보다 짧은 PCB로 케이스 호환성을 개선했고, GTX 560 G-Six 모델과 GTX 560 SE 모델은 블로워 팬 방식을 통해 그래픽 카드와 시스템 내부 발열을 해소한다.

또한, 레퍼런스 지포스 GTX 560 시리즈에는 제공되지 않는 표준 DisplayPort를 제공해 디스플레이 장치 호환성을 높이고 있다.

 


ZOTAC 지포스 GTX550 Ti D5 1GB(중)
※ ZOTAC 지포스 GT640 D3 2GB(좌)
※ ZOTAC 지포스 GT630 SYNERGY D3 2GB(우)

NVIDIA는 지포스 GTX 680/ 670으로 하이엔드급에 세대교체를 이룬 후에, 1세대 페르미 아키텍처의 메인스트림 모델인 지포스 GTS 450을 대체하고 지포스 GT 440과 GTX 550 Ti 사이 시장을 노린 GT 640을 선보였다.

또한, NVIDIA는 GT 440을 리네이밍한 지포스 GT 630 시리즈로 벨류급 지포스 600 시리즈를 구성하고 있는데, 조텍의 지포스 GT 640/ 630 모델은 각각 TDP 65W로 싱글 슬롯 쿨러를 장착해 메인보드 확장 슬롯 활용에 유리하다.

현재 NVIDIA의 주력 메인스트림급인 지포스 GTX 550 Ti를 사용한 조텍 지포스 GTX 550 Ti 또한 퍼포먼스 모델인 지포스 GTX 560 시리즈와 동일하게 표준 DisplayPort를 제공해 모니터 호환성을 높였다.

 

이번 블레이드 소울의 테스트 역시 기존 보드나라의 게이밍 벤치마크와 동일하게 ZOTAC의 NVIDIA 계열 그래픽 카드 클럭을 레퍼런스 모델의 클럭과 동일하게 조정해 시행했다. 벨류급 모델인 지포스 GT 630의 경우 보급형의 특성상 레퍼런스 모델보다 메모리 클럭이 낮게 설정되어 있으며, 오버클럭 폭이 제한적이고 실제 판매 중인 모델의 상당수가 메모리 클럭이 낮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번 테스트에서 GT 630 모델은 레퍼런스 모델과 성능에 차이를 보일 수 있으니 이점 참고하기 바란다.

 

AMD 계열 그래픽 카드 9종

AMD 계열 그래픽 카드는 레퍼런스 모델을 사용해 테스트가 진행되었으며, GCN 아키텍처 기반의 라데온 HD 7000 시리즈 6종과, HD 7000 시리즈 출시로 가격이 인하되면서 예전보다 구매 문턱이 낮아진 퍼포먼스급 라데온 HD 6800 시리즈 2종, 벨류급 모델인 라데온 HD 6670의 9종의 성능을 알아본다.

 

AMD는 최근 라데온 HD 7970과 라데온 HD 7700 시리즈의 기본 성능을 향상 시킨 모델들을 발표하였으나, 아직 시장에 관련 모델이 출시되지 않은 상황이라 이번 기사에서는 해당 부분의 테스트는 진행하지 않았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MBY / 12-07-18 13:46/ 신고
7850보다 성능도 잘나왔고 값도 훨씬 저렴한 6870도 있는데 굳이 7850과 560을 비교해서 NVIDIA가 가성비가 좋다고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요? 같은 28nm급으로 비교한것도 아니고...
마프티 psywin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7-18 14:17/ 신고
국산게임치고는 그래픽대비 사양이 괜찮은 듯 싶네요
폰생폰사 pg131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7-18 14:18/ 신고
리뷰에는 없지만 HD5670 + SSD 로도 무난하지 않나 하네요.
너무 고화질을 추구 하지 않는다면^^
전투기 f15cc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7-18 16:54/ 신고
그래픽 상당히 좋네요
Exynos / 12-07-18 19:17/ 신고
메인스트림 정도면 풀옵으로 잘할수 있겠네요
종건 whdrjs073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7-19 7:58/ 신고
560정도면 큰스트레스는 없을듯...
kimsy / 12-07-19 13:08/ 신고
-On Mobile Mode -
7850과 560비교는 정말 수정돼야 할 것 같네요
6870,6850 560은 같은 세대 제품인데 7850이 나왔다는 이유로 68시리즈를 비추천한다면 560역시 이거 사지말고 차세대를 기다리라고 해야 맞지 않나요?
좀 억지스럽게 느껴지고 정말 이 기사 보고 잘못 파악하는분 있을까봐 그럽니다.
이오니카 ghostle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7-19 14:50/ 신고
안녕하세요, 기사를 작성한 이상호 기자입니다.
6870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는 MBY님과 kimsy님 의견에 깊이 공감합니다.
이번 기사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현재 양사의 주력제품 위주로 언급하였습니다만, 6000시리즈도 충분한 선택이 될 수 있음은 본문에 충분히 언급되었다 생각합니다.
앞으로 더 좋은 기사 쓰도록 노력하겠으며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
하누리 / 12-07-20 12:52/ 신고
지금 사용중인 그래픽카드는 대상에 없군요..
하긴, 블소를 할 때 약간 버벅거리긴 하는...
끓여만든배 / 12-07-21 23:45/ 신고
지포스 GTX 560 정도면 충분히 원활하게 플레이할 수 있겠네요.
프리스트 rubyc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7-24 11:40/ 신고
풀옵션으로 하려면 그래픽 카드가 어느 정도 이상은 되어야 하니..
높게떠올라 kinine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7-26 20:30/ 신고
최적화가 넘 아쉬운게임;;;
돌아온재떨이 / 12-08-15 3:10/ 신고
좋은기사 잘 봤습니다.
최소프레임이 없어서 조금 아쉽긴 합니다 ^^;;
그런데 7850이 다이렉트9에서는 기대에 못미치는 성능이네요.
이건 놀라운 수준!의 정보입니다.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7/18] LG전자, 한국서비스품질지수 가전제품A/S 분야 2년 연속 1위  
[07/18] 케이스티파이, KBO x 케이스티파이 컬렉션 신규 디자인 출시  
[07/18] 텐센트 클라우드, AI·미디어 기술로 국내 웹 기반 기업 디지털 경쟁력 강화 지원  
[07/18] 스피릿 테일즈, 출시 100일 기념 이벤트 풍성  
[07/18] 서린씨앤아이, 비콰이어트 퓨어 락 프로 3 시리즈 출시  
[07/18] 소니코리아, 키타지마 유키히로 신임 대표 선임  
[07/18] 9000명에 달하는 MS 구조조정 여파, 최소 세 개 타이틀 개발 취소?  
[07/18] 지포스 RTX 5090의 새로운 중국형 모델은 RTX 5090D V2, 8월 출시?  
[07/18] 소니, PS5 Pro에 FSR4의 완전한 버전 이식 계획  
[07/18] 더핑크퐁컴퍼니, 에버랜드와 아기상어/베베핀 여름 콜라보 테마존 4일 오픈  
[07/18] 크로스오버, 11번가 7월 에브리데이 십일절 진행  
[07/18] 포르쉐 AG, 신형 911 4S 모델 3종 공개  
[07/18] 클룩, 국내 최대 뮤직 페스티벌 워터밤 월드투어 2025 외국인 티켓 판매  
[07/18] 한국엡손, 최경량 하이엔드 미니 스카라 로봇 GX1-C 시리즈 선봬  
[07/18] AMD X ASUS, ‘썸머 리뷰 챌린지’ 진행, 총 700만원 상당의 특별 사은품 증정  
[07/18] 제5회 ‘구글 포 코리아(Google for Korea)’ 행사 성료  
[07/18] 콕스, 통 실리콘 흡음 구조의 저소음 기계식 키보드 'CSK105'의 텐키리스 버전 ‘CSK88’ 출시  
[07/18] 콕스, 사무용 무선 버티컬 마우스 'CEM20' 출시  
[07/18] 아스크텍, 마이크론 PCIe Gen5 NVMe SSD, Crucial T710 국내 출시  
[07/18] 차세대 스토리지의 기준, 'MSI SPATIUM M560 1TB' SSD 출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