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플래그십 다운 브랜드 플래그십PC는? 주요 브랜드 플래그십PC 4종 벤치마크

2012-07-31 18:00
이상호 기자 ghostlee@bodnara.co.kr

3. HP 파빌리온 HPE H9-1190kr 피닉스



HP는 용도에 따라 일반적인 컴퓨팅/ 고성능/ 올인원(일체형)/ 터치 스마트로 각 라인업을 구별하고 있는데, 이번에 살펴볼 HP 플래그십PC는 고성능 카테고리에 위치한 파빌리온 HPE H9-1190kr 피닉스(이하 HP 피닉스) 모델이다.

이번에 살펴볼 HP 피닉스는, 다른 모델들이 3세대 코어 프로세서인 아이비브릿지 기반 코어 i7 3770을 CPU로 채택한 것과 달리 인텔의 하이엔드 플랫폼인 X79 칩셋과 샌디브릿지-E 프로세서(코어 i7 3930K)를 채택해 오버클럭이 가능하다.

 

미니타워형 케이스가 사용된 HP 피닉스는 전면 상단에 2개의 5.25" 확장 베이가 제공되며, 그 중 상단에 최신 ODD 규격인 블루레이 콤보 드라이브를 탑재하고, 측면 상단과 전면 라인을 따라 통풍구를 구성하였다. 또한 내부적으로 HDD와 그래픽 카드, PSU가 있는 부분에 통풍구를 구성해 내부 쿨링을 돞고, CPU가 위치한 하단에는 내부 상태를 볼 수 있도록 투명 아크릴 윈도우를 장착했다.

후면에는 8채널 오디오 포트와 SPDIF 포트, 4개의 USB 2.0 포트, 2개의 USB 3.0 포트, 기가비트 이더넷 포트가 제공되는 가운데 그래픽 카드에서 제공하는 듀얼 링크 DVI 포트 2개와 미니 HDMI 포트가 구성되어 있다.

 

HP 피닉스의 상단은 중앙 부위를 곡선 처리해 위에 올려놓은 물건이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했으며, USB 3.0 포트2개와 헤드셋 사용이 가능한 오디오 포트가 제공된다.

또한, 전면 5.25" 확장 베이 하단에는 멀티 리더기와 4개의 USB 2.0 포트를 슬라이드 방식의 커버로 외부 오염에서 보호하고 있으며, T-Flash라고도 불리며 스마트폰과 태블릿등에 많이 사용되는 마이크로 SD 카드는 별도의 어댑터를 사용해야 한다.

 

HP 피닉스의 내부에는 중앙에 그래픽 카드 고정과 샤시 비틀림 방지를 위한 가이드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단에 5.25" 베이 2개, 하단에 3.5" 베이 3개가 자리하고, 확장 슬롯은 2개의 PCIe x16 슬롯과 1개의 PCIe x1 슬롯이 제공된다.

12V 쿼드 레일 방식의 최대 600W 출력 PSU를 탑재하고 있으며, 총 6개의 SATA 전원 커넥터와 PCIe 8핀, PCIe 6핀 전원 커넥터가 각 1개씩, 24핀 주 전원 커넥터와 8핀 보조전원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 중 4개의 SATA 전원 커넥터는 HDD 1개와 SSD 1개, 블루레이 콤보 1개, 전면 조명 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1개가 사용되며, 여유 분의 SATA 전원 커넥터는 2개가 남게 되는데, 이중 1개는 3.5" 베이쪽에 위치하고 나머지 1개는 5.25" 베이쪽에 위치한다.

 

공랭 방식의 쿨러를 사용하는 다른 제조사들의 제품과 달리, HP 피닉스는 CPU 쿨링을 위해 일체형 수냉 쿨링 솔루션을 채택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전원부에 방열판과 추가적인 쿨링팬을 장착해 발열 대비책을 강화했다.

메모리는 DDR3 1333MHz 4GB 모듈 2개가 듀얼 채널을 구성하고 있으며, 수냉 쿨러의 쿨링팬 하단에 2개의 메모리 슬롯이 추가 제공되므로 기존 메모리와 함께 쿼드 채널 구성이 가능하다.

 

SATA 포트는 총 6개가 제공되는 데, 이 중 3개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SSD와 HDD, 블루레이 콤보를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여유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SATA 포트는 3개지만 확장 베이를 고려했을 때 사용 가능한 여분의 SATA 포트는 2개로 볼 수 있다.

 

HP 피닉스에 사용된 3.5" 베이는 별도의 가이드를 통해 총 3개가 제공되며, 그 중 2개에는 기본적으로 128GB SSD와 2TB HDD가 장착되어 있다. (구입한 샘플에는 마이크론 RealSSD C400과 히타치 데스크스타 7K3000 시리즈 2TB 모델이 사용되었다.)

3.5" 베이는 전면 패널과 수직으로 HDD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어 내부 공기 흐름으로 쿨링하도록 하고 있으며, 각 장치의 발열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간격을 다른 샘플 모델들에 비해 넓게 설계되었다.

 

부속품으로는 무선 키보드와 마우스, 이들 장치의 수신기와 DVD-R 미디어 3개, DVi to D-SUB 젠더와 미니HDMI to HDMI 젠더, 마우스 패드, 전원 코드, 제품 설치 설명서가 제공된다.

키보드에는 기본적으로 실리콘 재질의 키 스킨이 제공되며, 볼륨 조절과 미디어 플레이어 컨트롤, 절전 모드 진입등의 기능 키를 갖췄다.

 

오버클럭과 주요 부품 상태 체크 기능 지원 바이오스

H77 칩셋을 사용한 다른 시스템들과 달리 X79 칩셋을 사용한 HP는 SATA 모드에 IDE가 제외되어 AHCI와 RAID만 지원되며, 연결된 스토리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DPS Self-test가 제공된다. 또한, 부팅 중에 F2 키를 눌러 CPU와 메모리, 하드디스크의 상태를 간단히 체크할 수 있다.

또한, H77 칩셋을 사용한 다른 모델들과 달리 X79 칩셋을 사용해 인텔의 하이엔드 CPU인 샌디브릿지-E를 지원하는 HP 모델은 오버클럭을 위해 CPU 전압과 배수 조절이 가능하고, 하이퍼쓰레딩 On/ Off 및 멀티코어 사용 여부(Enable시 모든 코어, Disable 시 1코어)를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베이스클럭이나 메모리, 칩셋 관련 설정이 제공되지 않는 것과 다른 H77 칩셋 모델들과 같이 쿨링팬 RPM 조절 옵션이 제공되지 않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나, 추가적인 오버클럭 옵션이 제공되지 않는 것은 안정성을 중시해야 하는 완제품의 특성이 반영된 부분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HP 역시 별도의 복구 파티션을 보유하고 있어, 부팅시 F11을 이용해 공장 출고 상태로 시스템을 복구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윈도우 자체의 시동 복구와 시스템 복원 및 파일 백업을 지원한다.

여기에 윈도우에서 복구관리자를 통해 초기 상태의 시스템 복구 및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재 설치와 MS 시스템 복원이 가능하며, 복구 파티션 삭제나 스토리지 손상 별도의 미디어를 통해 복구할 수 있는 복구 미디어 제작, 스토리지 용량 확보를 위한 복구 파티션 제거 및 복구 보고서 보기를 지원한다.

 

통합 괸리/ 복원 유틸리티, Beat 오디오 및 매직 캔버스 제공

HP 셋업 메니저는 컴퓨터 등록 및 노턴 인터넷 시큐리티를 통한 컴포터 보호, 윈도우의 백업 관련 작업을 통합 제공하는 백업 설정, HP의 인터넷 서비스 및 상품을 안내하는 연결하기, 시스템 유지관리를 위한 HP Support Assistant와 연계된 지원받기, 윈도우 마이그레이션 툴과 연계된 파일 전송, HP 악세서리 구입을 위한 액세서리 찾아보기, 프린터 설정(설치/ 구입/ 소모품 구입/ 카트리지 재활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스템 유지 관리를 위한 HP Support Assistant는 HP 프로그램의 자동 업데이트와 윈도우 복원 지점 설정, 임시파일/ 휴지통 비우기/ 문제 진단등을 위한 유지관리 탭과, 저장장치/ 네트워크/ 그래픽/ 사운드등 PC의 주요 상태를 점검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문제해결 탭, PC에 대한 정보와 제품 사양을 확인할 수 있는 학습 탭, 자가 진단과 온라인 제품 페이지, HP 전화 지원에 대한 내용이 제공되는 지원 받기 탭으로 구성된다.

 

HP Magic Canvas

그 외에 복잡한 방정식 해법을 찾는데 사용되는 MS Mathematics, 일반 윈도우 데스크탑 화면 대신 터치 스크린 환경에 적합한 HP 매직 캔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되는데, HP 매직 캔버스는 기본적인 윈도우 데스크탑 환경보다 좌우 스크롤을 통해 훨씬 거대해진 바탕화면을 제공하며, 하단에 윈도우 작업 표시줄이 제공되므로 기본 윈도우 인터페이스와 조합해 활용이 가능하다.

 

HP 피닉스는 HP Beats 오디오 기술과 HP 관련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해주는 HP 업데이트, 멀티미디어 체험을 위한 사이버링크 파워 DVD 10과 비트 오디오 기술, 공 광미디어 제작을 위한 Power2Go/ LabelPrint, 문서 작업을 위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10 스타터 에디션, 동일 네트워크 상의 PC끼리 링크해 클립보드 공유, 파일 전송등의 작업이 가능한 HP LinkUp등이 제공된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Exynos / 12-08-01 0:16/ 신고
플래그쉽 브랜드PC중에 에이수스 타이탄도 있는대 이것도 가격은 뭐 범접도 못하지만 사양하나는 좋은대
DJ Desperado / 12-08-01 0:29/ 신고
Acer도 나름 괜찮던데 다음번엔 테스트 하면 좋겠네요. 테스트제품이 제공될지 모르겠지만요
늑대랑삼바를 / 12-08-01 2:00/ 신고
그나마 개인적으론 Dell이 브랜드 PC에선 제일 양반으로 느껴지네요.. 기사내용제품외에.. 외계인얼굴이 트레이드마크인 제품군류
donkey yookj7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8-02 9:42/ 신고
딱히 플래그쉽이라기보다.. 그냥 가격만큼하는 성능같은데요..
내부구조가 HP가 이것저것 신경쓰는것같긴하지만..
상상의 나래 / 12-08-03 6:22/ 신고
브랜드PC가 맘에 드는거 하나는 평균 폼팩터가 mATX로 옮겨왔다는겁니다.

솔직히 조립시장도 주력이 mATX로 넘어왔으면 하네요. 정말 대부분의 유저들이 많은 슬롯에서 그래픽카드 딸랑 하나 사용하는데 주력 폼팩터는 여전히 슬롯7개의 ATX... 공간낭비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개인적으론 델 오로라였던가요? 그것처럼 퍼포먼스급 PC의 주 디자인이 mATX에 하단 HDD 장착식이 대세가 되었으면 합니다. 현재 mATX로 PC를 맞추려 해도 문제가 mATX는 라이트유저용 비슷하게만 인식되는지 HDD 베이 갯수가 형편없는게 대다수라서 말이죠.
newstar new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8-03 18:41/ 신고
모든 제품들이 가격에 맞춰 조립했다는것이 느껴지네요. 대기업제품이니 가격이나 밸런스는 고려대상이 아닐것인데 플래그십 대상인지는 모르겠군요.
꾸냥 / 12-08-04 14:34/ 신고
다들 가격에 맞춘 스펙과 성능인건 확실한데, 그나마 HP가 고급형 다운 고급형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좀 봐줄만하네요.
그래봐야 조립에 비해서는 가격과 성능이 딸리는 건 어쩔 수 없으니 고급형 브랜드PC가 살아남으려면 다른 쪽으로 확실한 메리트를 제공해야 할텐데, 그것도 그 정도 스펙을 쓸 사용자라면 왠만한건 스스로 척척척 할테니 이래저래 애매해져 버리네요.
아이비 / 12-08-04 22:33/ 신고
보통 pc매거진에서는 항상 조립pc들만 보아와서 좀 단조로운 느낌이 들었는데,

정작 요즘 출시되는 완제품 pc에 대해서 내부까지 완전히 보여주고
자세한 설명을 보니
이 기사가 매우 만족스럽군요.
유익이 많이 되었습니다!!
프리스트 rubyc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8-06 10:56/ 신고
아무래도 고성능 PC를 사용할 정도의 사용자라면 직접 조립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마프티 psywin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8-07 12:05/ 신고
-On Mobile Mode -
워낙 인식이 안좋아서. 그런가...색다른 느낌입니다 ㅎㅎ 뎔국 스펙따라가는가고...델쪽이 마음에 드네요. 내부구조는 참...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7/31] MSI, 다수의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07/31] PC 이용자를 위한 더 편하고 쾌적한 조명, 벤큐 스크린바 헤일로2 출시 간담회  
[07/31] 토탈 이미징 솔루션 기업으로 이어진 40년, 캐논코리아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  
[07/31] 유니씨앤씨, 5월 16일 오전 11시, 가정의 달 특집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 LIVE 진행  
[07/31] MSI, 컴퓨텍스 2025에서 획기적인 PC, 메인보드 라인업 공개  
[07/31] MSI, COMPUTEX 2025에서 다수의 수상 영예  
[07/31]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GRADIUS’ 40주년 기념 ‘GRADIUS ORIGINS’ 음원 공개  
[07/31] PC업계가 게이밍 마케팅 꿀을 그만 빨고 새로운 메시지를 내놓아야 하는 이유  
[07/31] 탁상 위 프리미엄 냉방 혁신, 디앤디 ‘라이브박스 탁상용 서큘레이터’ 출시  
[07/31] 뉴트리불렛, ‘울트라 플러스(Ultra Plus+)’ 출시  
[07/31] 뷰소닉, 무선 미러링 캐스트 ‘뷰쉐어(WPD-900)’ 출시  
[07/31] 넥슨, ‘마비노기’ 21주년 판타지 파티 ‘NEW RISE’ 6월 21일 개최  
[07/31] 넥슨, ‘마비노기 영웅전’ 성장 구간 개선 업데이트 실시  
[07/31] 사운드캣, ‘플레이엑스포 2025’ 참가, 게임 전용 음향기기 및 하이엔드 인이어 선보일 예정  
[07/31] 웹젠 ‘샷온라인’, 펫 시스템 및 광장 업데이트  
[07/31] 컴투스 ‘낚시의 신’, 하림 더미식 ‘오징어라면’과 이색 컬래버레이션 진행!  
[07/31] 에이수스, NVIDIA GB10 탑재한 개인용 슈퍼컴퓨터 ‘AI MiniPC GX10’ 출시  
[07/31] 제이씨현, 기가바이트 B760M AORUS ELITE GEN5 메인보드 출시!  
[07/31] 본격적인 순위 경쟁의 시작! 2025 OWCS 코리아 스테이지 2, 2주 차!  
[07/31] 넥슨,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와 아르포텐 컬래버레이션 실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