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아쉬운 레이트레이싱, 잠재력 보인 SAM
방금 라데온 RX 6800 시리즈의 셰이더 기반 게임 성능은 경쟁 모델 대비 상당한 경쟁
우위에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렇다면 얼마전 세대 교체가 이뤄진 콘솔 시장까지 지원을 시작한 실시간 레이 트레이싱
성능은 어떨까?
앞서 3DMark의 레이 트레이싱 성능은 전용 코어가 더해진 지포스 RTX 30
시리즈의 우위였는데, 실제 게임은 그와 다를 수 있지 않을까?
이번에 테스트한 12종의 게임 중 실시간 레이트레이싱을 지원하는 메트로 엑소더스와 쉐도우
오브 더 툼 레이더, 와치독 리전의 성능을 측정했다. 전용 코어를 갖춘 지포스 계열이 대체로 더 높은 성능을 내주며,
예외적으로 와치독 리전에서 RX 6800의 레이트레이싱 성능이 RTX 3070 이상으로 측정되었다.
한편, 울펜슈타인 영블러드도 레이트레이싱 기능을 지원하나 라데온 RX 6800
시리즈에서는 인식이 되지 않았다. 울편슈타인 영블러드의 레이트레이싱 구현이 지포스 RTX 전용 옵션을 활용한 방식일
가능성이 점쳐지는데, 향후 업데이트로 라데온 RX 6000 시리즈에서도 레이트레이싱을 지원할지는 두고볼 일이다.
그렇다면 레이트레이싱 전용 코어를 더한 엔비디아 지포스 RTX 30 시리즈와 하이브리드
방식을 적용한 라데온 RX 6800 중 효율이 더 높은 것은 어느쪽일까?
울펜슈타인 영블러드를 제외하고, 실제로 비교 가능했던 3종 타이틀의 평균 효율을
정리했다. 레이 트레이싱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를 기준으로 레이 트레이싱을 적용했을 때의 성능 비율로, 전용 하드웨어가
적용된 지포스 RTX 30 시리즈의 효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왔다.
라데온 RX 6800 시리즈의 쉐이더 기반 게임 성능은 충분한 경쟁력을 갖췄지만 아직
레이 트레이싱 성능 경쟁력이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앞으로 레이 트레이싱 지원 타이틀이 점차 확대될 예정인만큼
차세대 제품에서는 조금 더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결단이 필요할 것이다.
VRAM 전체 엑세스 SAM, 제한적이나 잠재력 높아
PCIe 표준 규격의 Resize BAR(Base Address Register) 기능에
기반한 SAM((Smart Access Memory) 기능의 효율은 어떨까?
라데온 RX 6800 XT에 SAM 환경을 꾸몄을 때 12종 게임의 성능을 다시 한 번
측정했다. 평균적으로 약 5% 가까운 성능 향상을 보여주지만 대부분의 게임에서 아직은 오차 수준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어새신크리드 발할라는 최대 18%, 더트 5는 15%, 토탈워 사가 트로이는 12%
수준의 성능 향상을 이끌어내며, 게임 설계에 따라 확실한 성능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외적으로 라데온 RX 6800 시리즈의 레이 트레이싱을 지원하지 않는 울펜슈타인
영블러드의 경우 SAM 환경에서, Full HD 테스트시 상당한 성능 하락이 발생했다.
위 표는 SAM 활용시 5% 이상의 성능 향상을 이뤄낸 경우를 흰색 바탕에 연보라
테두리로 구분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