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알고써야 효과나는 차세대 HDD기술 Advanced Format 완벽 가이드

2010-03-19 18:00
이수원 수석기자 swlee@bodnara.co.kr

4. Align으로 성능 회복, 비스타 이상은 무관



윈도우 XP를 비롯해 512B 섹터 구조를 따르는 기존 환경에서 성능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512B 에뮬레이션을 할 때 운영체제가 LBA 63이 아니라 실제로는 4K 섹터 구조와 똑같은 LBA 64 주소부터 파티션을 만들 수 있도록 해주면 된다. 첫 단추만 제대로 끼우면 그 다음부터는 어긋날 일이 없다. WD에서는 이 과정을 가리켜 'Align(정렬하다)'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Align 이후는 섹터 어드레스가 정확히 에물레이션되어 성능하락이 없다

 

윈도우 XP에서 성능 회복 키포인트는 Align 유틸리티

어드밴스드 포맷 기술이 적용된 HDD의 Align 과정은 WD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WD Align 시스템 유틸리티를 사용해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WD Align 시스템 유틸리티를 설치 후 실행하면 위와 같이 실행을 알리는 화면이 뜬다. 아무 키나 눌러서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면 사용자의 시스템에 설치된 드라이브를 스캔해 Align이 필요한 어드밴스드 포맷 기술이 적용된 HDD를 찾는다.

 

프로그램의 스캔 결과 필자의 테스트 PC에 연결된 총 3가지 HDD가 잡혔다. 이 가운데 윈도우 XP 운영체제가 설치된 WD 벨로시랩터 300GB(WD3000GLFS)는 어드밴스드 포맷이 적용되지 않은 걸로, 씨게이트 바라쿠다 7200.12 1TB HDD는 WD의 제품이 아닌 걸로 나온다.

어드밴스드 포맷을 사용하는 WD10EARS 모델의 파티션만 잡히고 Align을 적용할 것인지 묻는 메시지가 뜬다. Align을 적용하려면 Y를 누르면 되고 취소하고 운영체제 화면으로 돌아가려면 N을 누른다.

 

Y를 선택하면 어드밴스드 포맷 기술이 들어간 HDD의 파티션을 정렬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진행 시간은 최대 20분까지 걸리는 것으로 나오는데 필자의 경우 저장된 데이터가 없어서인지 1~2분 사이로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또한 512B 에뮬레이션에서 필요한 주소만 다시 정렬해주기 때문에 저장했둔 데이터도 그대로 있었다.

 

Align 이후는 윈도우 XP도 성능 하락 없어

WD Align 시스템 유틸리티를 사용하기 전에는 윈도우 XP에서 어드밴스드 포맷 기술을 사용한 HDD 쓰기 성능이 굉장히 낮았지만, 유틸리티 사용 후 쓰기 성능은 정상적으로 돌아왔다. 특히 성능이 크게 낮았던 512K, 4K 테스트 결과도 제 자리를 찾았다.

 

512B 에뮬레이션에서 멀티 파티션을 만들었을 때도 각각의 파티션이 물리적인 4K 섹터 영역과 정확히 일치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게 Align 시스템 유틸리티의 역할이다. (멀티 파티션 물리섹터와 LBA 주소, 파일시스템 클러스터가 실제로 위와 같은 이미지처럼 동작하는 것은 아니지만 유틸리티가 하는 역할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것이다)

 

윈도우 XP에서 2개의 파티션을 만들었을 때도 WD Align 시스템 유틸리티를 사용해야 양쪽 모두 제 성능을 낼 수 있다. 두 번째 파티션의 성능이 약간 떨어지는 것은 파티션이 적용되는 트랙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비스타/윈도우7 등 어드밴스드 포맷 지원 OS는 Align 필요 없어

WD에서는 윈도우 비스타나 윈도우 7은 4K 섹터 구조를 지원하기 때문에 Align 시스템 유틸리티가 필요없지만, 클론 유틸리티를 쓰거나 1개 이상의 파티션을 만들었을 때는 Align 시스템 유틸리티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필자가 테스트한 윈도우 7 프로페셔널 32비트 버전은 WD Align 시스템 유틸리티를 실행하면 이미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는 정렬이 되어 있다는 메시지가 뜨고 운영체제로 돌아간다. 윈도우 7이 4K 섹터 영역을 운영체제 레벨에서 지원하기 때문에 별도의 유틸리티를 쓰지 않아도 싱글 파티션과 멀티 파티션 모두 자동으로 정렬된다.

 

윈도우 7에서는 WD Align 시스템 유틸리티가 없어도 WD10EARS를 2개의 파티션으로 나눴을 때 정상적인 성능을 보여준다. 싱글 파티션도 성능은 그대로다. (다만 필자가 클론 유틸리티를 사용했을 때의 성능 변화에 대해서는 측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WD의 Align 유틸리티 사용 조건이 다르다고 단정짓긴 어렵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허접프로그래머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3-19 18:37/ 신고
어드벤스드 포멧이라... 확실히 공간의 활용이라는 면에서는 좋은 것 같긴 합니다만, 그래도 호환성 문제는 아직은 걸리는군요.
김희열 / 10-03-19 19:48/ 신고
점퍼가 생각보다 더 복잡한 상황을 만들어내는군요..

XP & 윈7 이런식으로 멀티부팅을 사용하는 경우가 당분간은 많을거라고 볼 때도 그렇고..

특히 XP에서만 사용한다고 생각하고 점퍼사용 단일파티션으로 설정한 하드를 차후에 비스타나 윈7에서 사용하게 될 경우, 이 경우에는 참 곤란한 상황이 펼쳐지겠네요..

점퍼사용하던 그대로 사용하면 심각한 성능저하를 만나게 되고, 그렇다고 점퍼를 제거하기엔 기사 5페이지의 "점퍼를 사용하면 주소 정렬이 달라지기 때문에 기존의 파티션이나 저장된 데이터가 사라져 새로 파티션을 잡아야 하므로 이미 사용 중인 HDD에 7-8번 점퍼를 꼽거나 빼는 일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 내용에 걸리니..
데이타를 백업할 수단이 없으면 성능이나 데이타 중 하나를 포기해야 되는 상황을 만나게 되는군요. ㅠ_ㅠ

점퍼의 역할을 생각하면 사용하던 점퍼를 제거해도 데이타를 그대로 살릴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나올(있을?) 법도 한데.. 불확실하구요.

이래저래 보면 시간이 지나면 선택의 여지가 없어질테지만, 아직은 어드밴스드 포맷이 아닌 하드가 시장에 훨씬 많으니까.. 지금 산다면 역시 피해가는게 제일 간단하고 좋은 방법이겠습니다.
푸른 바다 / 10-03-19 20:11/ 신고
좋은 기사 잘 읽었읍니다. 신형 운영체계로 가거나 하드디스크 하나당 하나의 파티션으로 가야 겠읍니다.
사나운 새벽 / 10-03-19 20:26/ 신고
2달전쯤 웬디 이벤트에 당첨되어서 저 10EARS하드를 경품으로 받았습니다.
640AAKS를 사용중 하드 부족으로 같은걸 하나 더 질러주고 몇일만에 경품이 오더군요. 당첨됐다는 안내는 웬디 홈피에서도 찾을 수 없고..
기쁘면서도 속이 쓰린..

어드밴스드 포멧을 위해 Align프로그램을 사용하라는 안내는 있지만 어디에서도 프로그램 사용법은 찾을 수 없고 제대로 사용중인지 계속 불안하더군요.

장착 후 XP의 한개의 파티션 안내를 보고 그냥 통으로 사용중인데 점퍼를 사용해야 어드벤스드 포멧이 되는건가 계속 고민했었습니다.
지금 점퍼 넣으면 데이타를 날리는것이군요. 오늘 이 기사보고 처음 알았습니다.

이곳저곳 어드벤스드 포멧을 검색해 봤는데도 초창기라 그런지 정보도 찾을 수가 없고 충분히 성능저하나 데이타 유실로 이어질 수 있겠다 싶습니다. 정말로 안내가 너무 미흡합니다.

데이타 저장용으로서는 시대를 앞서는 제품임에는 확실한데 경쟁사를 뛰어넘기에는 서비스가 부족하다는 생각뿐.
김희열 / 10-03-19 21:30/ 신고
처음부터 점퍼를 사용하지 않은건 정말 잘하신 일 같습니다.
기사를 보니 Align 유틸리티를 사용하면 데이타를 유지하면서 성능회복이 가능하다니까요..
오히려 점퍼를 사용했다면 차후에 곤란한 상황이 닥칠 가능성이 커
생각해보면 점퍼설정은 처음부터 아예 없다고 보는게 속 편할 것 같습니다.
Someday / 10-03-19 20:43/ 신고
HDD마저 이렇게 되면 7으로의 전환을 생각하지 않을수 없네요...
대박인생 bigfog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3-19 22:12/ 신고
어드밴스드 포멧에 대해서 참 말도 많고 탈도 많았는데, 개인적으로 이 기사 한방으로 이제 이해가 가네요.
공급사에서 좀 더 자세한 설명을 했더라면 하는 그런 아쉬움이 더 크게 다가 옵니다.
자세한 기사 잘 보았습니다. ^^
나라말쌈에.. vobavob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3-19 22:20/ 신고
성능 외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는건가요..?
7에서 사용 중이라 별 걱정은 없지만..
공부하자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3-20 0:41/ 신고
다른 회사도 이제 따라가겠죠.
WD 가 HDD 업계에서는 가장 적극적이네요.
방민지 tbvjvsladl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3-20 8:47/ 신고
어드밴스 포맷이 참 좋긴하죠
터미널 uncompres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3-20 9:34/ 신고
기사 잘 봤습니다. ^^

다른 곳은 잘 몰라도 (사실 다른 사이트는 거의 안가서 모른다고 봐도 됩니다.) 보드나라 기사만큼은 읽는사람을 염두해 두고 기사를 작성하는 느낌을 받습니다. 장/단점을 모두 알려주니까요 ^_^
nift nift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3-20 9:51/ 신고
잘 보고 갑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홍순철 / 10-03-20 12:30/ 신고
WD 가 주도하는 것 같기는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advanced format 은 국제적인 합의입니다. 2011년 2월부터는 IDEMA 소속의 모든 hdd 제조사가 advanced format 을 채택하기로 합의되어 있습니다. 그만큼 구형의 512B sector 포맷은 hdd 가 고용량화되면 될수록 용량이나 성능에서 손해가 증가하기에 변경의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 모두가 동의하고 있다는 뜻이죠.

30년 동안 지속되었던 제도가 바뀌다보니 호환성 문제는 필연적입니다. 오히려 WD 가 일찍 총대를 맺기 때문에 제한적으로 발생하는 여러 혼란들이, advanced format 이 의무적으로 채택되는 내년에 필연적으로 발생할 대규모의 혼란에 대비할 단초가 될 수 있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무작정 4K sector 포맷을 채택할 수 없는 embedded OS 같은 계열에서는 실전 호환성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는 귀중한 retail product 인 셈이죠.
챠군 / 10-03-20 22:00/ 신고
SSD도 이제 하드디스크 업체에게도
무시못할 분야가 되었군요
하나 장만해야할텐데 -_ㅜ
끓여만든배 / 10-03-21 4:19/ 신고
머지 않아 다른 HDD제조사들도 어드벤스드 포멧을 적용하는만큼 WD의 총대 메기는 오히려 시장의 혼란을 막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네요. 다만 WD에서 적극적인 마케팅을 통해서 주의사항 등을 많이 알려야 할 필요가 있을 것 같네요.
진통제 robfight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3-21 9:25/ 신고
과연.. ..
다만. 멀티를 추구하는 사람에겐 어떻게 될려고..
유용준 redcurs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3-21 11:12/ 신고
현재로선 득보다 실이 많다는
너네집 문제? 강너머 불구경? 너나잘하셈? 이 떠오른다는..
꼭 피해서 샀다가 2~3년 후에나 선택하고 싶은맘..
오승태 rockc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3-21 19:08/ 신고
굳이 사기에는 좀 그렇군요.. 불편하기도 하구요.. xp 사라지면 사는게 좋을 것 같아요. ㅡㅡ;;
처리 / 10-03-22 9:08/ 신고
SSD는 어떤가요? 지금출시되는 SSD와 2011출시되는 SSD는 다른가요?
SSD는 조금 다르게 접근해야할까요? xD 하드디스크가 빨라진다는것은 좋은일이죠! 기사 잘보고 갑니다
유리카 king840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3-22 18:02/ 신고
순차가 위로 올라갔군요. 그리고 묶어보기도 생겨서 좋네요.
내모선장 / 10-03-22 19:14/ 신고
저도 얼마전에 1.5TB 이 모델을 구입해서 쓰고 있는지라 신경 안 쓸 수가 없는 기사네요. 다행히 지금 윈 7 사용중이라 별 일은 없지만 이거 모르고 XP에서 썼다간 난리났을듯. 안그래도 칩에 문제 있는 듯 한 상황인데...
내하드 / 10-03-22 21:03/ 신고
xp3에선 인식합니다. 제품설명은 읽지 않으십니까? 아직도 sp2를 쓰는 분들은 마이크로소프트 홈피에서 업데이트 하세요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3-25 10:30/ 신고
저희가 테스트한 시스템이 윈도우 XP SP3 32bit 버전이었습니다만...
우다리 / 10-03-25 2:34/ 신고
xp등의 구os에서 얼라인픽스를 한쪽과 안한쪽끼리 용량과 속도차이를 비교한 내용이 궁금했는데 그것만 없군요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3-25 10:18/ 신고
4페이지에 있는 테스트 자료가 윈도우 XP에서 Align 툴을 실행한 것과 안한 것을 비교한 내용입니다. 그리고 Align 툴은 LBA 주소만 매칭해주는 역할이라 하드의 용량 변화는 없습니다.
멀티부팅 / 10-03-25 20:17/ 신고
그렇다면.. xp와 7 멀티부팅 유저는.. 어찌해야 하나요?
글 내용으로 미루어 보면.. xp에서 Align 툴로 LBA 주소를 재정렬 해버리면..
7에서 쓸때 점퍼를 꽂은것과 같은 효과가 나오겠지요?
7 자체에서 어드밴스드 포맷을 지원하는데 xp에서 Align 툴로 정렬을 해버리면 2칸이 밀려나는 효과가 나오니까요;;
그렇다고 Align 툴로 정렬을 해주지 않으면 xp에선 제성능이 안나오고...;;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3-26 12:36/ 신고
멀티 부팅 파티션은 저도 테스트하지 않았지만 WD 설명대로라면 윈도우 상에서 먼저 파티션을 나누고 Align 툴을 실행한다음 OS를 설치하는 쪽이 좋습니다. Align 툴을 실행하지 않아도 윈도우 7 설치는 문제가 없지만 윈도우 XP 설치는 느려질테니까요. 7-8번 점퍼는 싱글 파티션 윈도우 XP 설치시에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김경숙 / 10-03-26 12:04/ 신고
감사합니다. 많은 걸 배웠네요. ^^
멀티부팅 / 10-03-27 6:01/ 신고
폭풍전야님 제가 질문을 잘못드렸군요;; ^^;; ㅎㅎ;;
os 설치용이 아니라.. 데이타 저장용으로 쓸때의 경우를 말씀드린건데..
아직까지는 7로 완전히 넘어가신 분들보단 멀티부팅으로 xp와 혼용하시는 분들이 많을텐데..
데이타 저장용으로 사용시 xp와 7 양쪽에서 다 제성능을 발휘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3-28 7:49/ 신고
데이터 저장용으로 쓰실 거라면 먼저 윈도우 XP상에서 파티션을 나누고 Align 툴을 실행한 다음에 쓰시면 될겁니다. 점퍼와 달리 Align 툴은 소프트웨어적인 거라서 XP에서 실행했다고 윈도우 7에서 성능이 떨어지거나 하진 않을 겁니다.
오돌 / 10-03-28 16:15/ 신고
XP SP3에서 장착하고 파티션, 포맷한 다음 Align 유틸리티를 실행하니 웬걸 Align이 필요없다고 나오더군요. 그냥 쓰는 중입니다만 괜찮은 것인지..
해결방법 / 10-03-31 2:05/ 신고
가이드를 보구 질문을 드리는데요, 궁금한게

1번 질문
XP에서 순수하게 데이터 보관용으로 쓸꺼고 파티션을 나누지 않고 통으로 그대로 쓸 생각인데요. 일단 웬디 얼라인 프로그램깔고 하드 달고 인식 시켜서 파티션을 잡으면 무조건 나눠야 하는건가요?? 통으로 쓰고 싶은데 꼭 파티션을 나눠야 한다면 생각좀 해봐야 할것 같아서요.

2번 질문
XP에서 처음에 얼라인으로 인식을 시켜서 하드를 잡았다고 치면요
나중에라고 포맷을 해야 하는 상황이 오잖아요?? 그러면 얼라인 프로그램이 깔린하드를 포맷해야 하는건데 그렇게 하면 포맷후에다시 얼라인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겁니까?? 하니면 XP에서라도 한번이라도 얼라인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하드를 인식하였다면 그 후에는 얼라인 프로그램이 설치된 하드를 포맷해도 상관이 없는겁니까??

얼라인 프로그램을 추가로 실행해야하는 경우는 어드밴스드 하드를 추가를 하였다거나 제거를 하고 추후에 다시 설치할 경우에만 실행하는것으로 현재 이해를 하고 있거든요.

3번 질문
2번에 관해서 이어지는 건데요, XP에서 단 한번이라도 얼라인으로 인식을 시키면 그 후에는 포맷을 하든 무엇을 하든 하드 인식에는 상관이 없고, XP를 밀고 7로 넘어가도 상관이 없을 것 같은데요.
만약에 제일 처음에 하드를 달고 주 하드에 7을 깔면 얼라인 프로그램을 깔고 실행해도 이미 정렬이 되어있다고하면서 굳이 실행할 필요가 없다고 뜨잖아요?(가이드에서 그렇게 나와있기에요) 그러면 7에서 XP로 멀티부팅이 아닌 아예 내려오는 경우에는어떻게 되는건가요??? 비록 얼라인을 통해서 하드를 인식한것은 아니지만, 7에서 하드를 분명히 썼을텐데 말이지요, 혹시나 XP로 내려온다면 XP에서 역시나 얼라인을 돌려줘야 하는겁니까??

질문이 상당히 긴데 꼭 답변좀 부탁드리겠습니다.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1 14:41/ 신고
1번 질문에 대한 답변은 XP에서 파티션을 통으로 계속 쓰신다면 Align이나 점퍼를 쓰나 같습니다. 다만 나중에 파티션을 다시 나눈다면 점퍼가 아닌 Align 툴을 쓰시야 되구요. 데이터가 있는 상황이 아니라 완전 다 지우고 새로 잡는 방법이라면 점퍼를 쓰다 나중에 점퍼를 빼고 Align 툴을 사용해도 되겠지요.

2번 질문은 WD 홈페이지에서는 한번 Align을 실행하면 다시 포맷하거나 파일 추가/삭제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하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Align 툴 실행 조건은 '파티션을 만들었을 때'로 보시면 됩니다.

3번 질문은 저도 테스트하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OS의 4K 지원이 HDD에 정보를 남기는 것이 아니라면 윈도우 7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했다고 하더라도 윈도우 XP로 내리게 되면 쓰기 속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까 추측됩니다.

끝으로 저희가 테스트했던 윈도우 XP SP3 버전은 Align을 지원하지 않았는데 몇몇 회원분들이 답변을 달아주신 것을 보면 XP SP3에서도 Align 툴 없이도 어드밴스드 포맷을 지원한다고 합니다. 이 부분은 저희가 샘플을 반납해서 확인하지 못하지만 Align 툴 없이도 정상적인 쓰기 속도가 나온다면 그대로 사용하셔도 될 듯 합니다.
폭풍전야님께 / 10-03-31 16:28/ 신고
딱 한가지만 질문드릴께요.
윈XP 가 설치된 컴에 연결하여 Align 실행하여 정렬한 후, 탈착하여 윈7 이 설치된 컴에 연결하였을 경우, 성능하락이 발생하는지요?
이것 한 가지만 실험해주세요~~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1 14:44/ 신고
저희가 샘플을 반납해서 추가 테스트를 해드리지 못하겠네요. 죄송합니다 ^^;
다만 점퍼 셋팅이 아니라 SW적인 Align 툴이라면 윈도우 7에서도 성능 하락이 생기진 않을 것 같다는 예상은 해봅니다만...
멀티부팅 / 10-03-31 17:51/ 신고
폭풍전야님 ^^;; 한가지만 더 여쭙겠습니다;;
Align 툴이 소프트웨어적인 거라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xp에서 데이터용으로 사용시..
본체에서 분리했다가 다시 장착시키면
Align 툴을 또 실행시켜야 할까요?
매번 뗏다 붙였다 할때마다 매번 Align 툴을 실행시켜야 한다면..
상당히 번거로울듯 한데..;;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1 14:46/ 신고
앞에서 답변 드렸지만 Align 툴 실행 조건은 파티션을 만들었을 때 512B 에뮬레이션 주소를 정렬하는 거라 설치/제거 과정에 파티션 변경을 하지 않았다면 문제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외장하드 / 10-04-01 1:43/ 신고
외장하드 사용시 단일파티션이면 그냥 점퍼만 꽂으면 되는거란 말씀이죠?
운영체제는 비스타와 7을 쓰고 있고요.
그럼 점퍼 없이 그냥 써도 되려나요?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1 14:51/ 신고
WD에서는 점퍼 설치는 단일 파티션에서 윈도우 XP를 설치할 때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외장하드 인터페이스가 여러가지가 있어 정확히 답변드리기 어렵지만(eSATA의 경우는 컨트롤러에 따라 내장을 외장처럼 쓰는 경우도 있어서요) USB 외장 하드의 경우에는 WD 홈페이지에서 외장하드에 들어갈 제품을 SATA 인터페이스로 먼저 연결해 Align 툴을 실행한 다음에 외장 케이스에 다시 장착하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Align 툴이 USB로 연결된 HDD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하더군요.

관련 내용은 본 기사 7페이지에서 설명드렸고, 기타 외장기기 호환성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WD 유통사 쪽으로 문의를 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궁금증 / 10-04-01 19:51/ 신고
폭풍전야님. 위에 글을 잘 보았는데여.. 이해가 잘않되서여..
지금 제가 XP SP2를 사용중이고 HDD가 2개 있는데여.
1번.HDD : 320GB를 2개로 나누어서 C-DRIVE에는 WINDOWS XP SP2설치, D-DRIVE에는 데이타
2번. HDD : 640GB인데 통으로 데이타로 사용중인데여..
이번에 2TB HDD를 구입할려고 하는데여. 하나를 통(파티션분할없이)으로 사용할려고 하는데여. 지금은 XP사용하지만 추후에 WINDOWS 7로 넘어가면 2TB HDD에 자료는 날아가는지여..? 따로 점퍼 설정은 해줘야 하는지...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2 12:11/ 신고
자료 안날라갑니다. 윈도우 XP에서 쓰기 속도가 느린 경우에 Align 툴만 실행해주시면 되구요.

단, 윈도우 XP에서 점퍼를 사용하셨다면 윈도우 7으로 넘어가면 쓰기 속도가 떨어지게 되구요. 이 때 점퍼를 그냥 빼면 윈도우 7에서 디스크 파티션이 없는 것으로 나옵니다. 데이터용으로 윈도우 7까지 계속 사용하실 거라면 점퍼 대신 Align 툴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드2개산사람 / 10-04-01 22:36/ 신고
금일 WD15EARS를 두개 받았습니다. 테스트용 컴퓨터는 데스크탑은 XP sp2 노트북은 XP sp3 입니다..
노트북에는 express Card slot이 있어서 esata card를 통하여 터렛 C-210과 연결 하였습니다. 우선 같은 용량의 WD15EADS가 있어서 크리스탈디지털마크로 Test를 하였는데 write 부분에서 seq 100MB/s, 512k 60MB/s, 4k 1MB/s, 4k QD32 1.1MB/s 이렇게 나왔습니다.
그리고 15EARS를 연결, 점퍼 설정 및 Align을 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연결하고 파티션을 한후 돌렸는데 결과는 read seq 101MB/s, 512k 21MB/s, 4k 0.5MB/s, 4k QD32 1.6MB/s 이렇게 나왔고 Write는 seq 97MB/s, 512k 9.5MB/s, 4k 0.1MB/s, 4k QD32 0.1MB/s 이렇게 나왔습니다.
하드2개산사람 / 10-04-01 22:48/ 신고
그리고 우선 점퍼를 연결하고 하드 인식을 하고 다시 파티션을 나누고 테스트를 시작하였습니다..그리고 크리스탈디지털마크를 돌린결과는 이랬습니다.
read seq 101.9MB/s, 512k 38.2MB/s, 4k 0.5MB/s, 4k QD32 1.5MB/s 이렇게 나왔고 Write는 seq 100MB/s, 512k 60.9MB/s, 4k 1.1MB/s, 4k QD32 0.76MB/s 이렇게 나왔습니다. 그리고 Align을 위해 점퍼를 빼고 데스크탑안에 있는 여분의 SATA 케이블에 연결 후 인식을 시킨 다음 다시 파티션을 삭제 후 다시 파티션을 만들고 Align후에 크리스탈디지털마크를 돌렸습니다.. 파티션이 없을경우에는 웬디의 Align 프로그램이 실행되는가 싶더니만 Align이 되지 않고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꺼졌습니다. Align후 첫번째 결과는 read seq 103MB/s, 512k 39.3MB/s, 4k 0.5MB/s, 4k QD32 0.5MB/s 이렇게 나왔고 Write는 seq 99.8MB/s, 512k 64.4MB/s, 4k 1.1MB/s, 4k QD32 1MB/s이었고 두번째는 read seq 103MB/s, 512k 39.5MB/s, 4k 0.5MB/s, 4k QD32 0.5MB/s 이렇게 나왔고 Write는 seq 99.5MB/s, 512k 65.2MB/s, 4k 1.1MB/s, 4k QD32 1.1MB/s이었습니다.
하드2개산사람 / 10-04-01 22:51/ 신고
데스크탑에서 하드를 제거후에 노트북과 연결되어 있는 터렛 C-210에 연결을 한 후 다시 크리스탈디지털마크를 돌려보았는데 결과는 거의 비슷하였습니다.
물론 파티션은 하드 통파티션(하나)으로 했었습니다. 그리고 xp sp2에서 파티션을 만들어서 xp sp3에 사용을 한다고 해서 결과가 말해주듯 속도가 떨어지거나 그럴거 같지는 않습니다.
하드2개산사람 / 10-04-01 23:00/ 신고
그리고 설정은 5, 1000MB 이렇게 설정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웃긴거는 저가 외장 스토리지를 사용하고 있는 고로 혹시나 하는 생각에 아치바코리아나 유프라자 두군데 다 문의를 해보았습니다. 두군데다 xp에서 외장형으로 사용하실 경우 속도저하나 아무런 이상이 없다고 답변을 해주었다는 것입니다. 재차 물어봤으나 이상없다는 대답이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Test를 해본결과 수치상 나온결과를 본다면 속도저하는 따르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그리고 나머지 하드 하나는 점퍼를 하던 Align을 하던 Read는 비슷하게 나오는데 Write의 경우 수치가 seq 54MB/s, 512k 45MB/s, 4k 0.8MB/s, 4k QD32 0.8MB/s 이렇게 나오는군요... 제성능을 발휘를 하지 못하는 고로 교환을 해야 할거 같습니다.. 하나는 뽑기 실패이네요...
아무튼 저와 같이 외장형으로 사용을 해야하는데 설정이랄지 궁금한점이 있어 구매에 주저하시는 분들을 위해 글로나마 작성을 하여 올립니다. 몇개정도 화면 캡처를 해놓았는데 글을 올리지 못해 이렇게 기사 말미에 댓들을 답니다..
하드2개산사람 / 10-04-01 23:06/ 신고
그리고 지금은 동영상 옮기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노트북에서 e-sata card를 통해 애니메이션 수백편을 옮기고 있는데 452GB정도 됩니다.모두 복사하는데 얼마나 걸리는지 나중에 적도록 하겠습니다.
하드2개산사람 / 10-04-02 7:48/ 신고
터렛 C-210에 15EARS을 물려 파일복사를 하고 있는데 452GB 복사하고 있는 도중 250GB 정도에서 갑자기 연결이 끊어졌습니다. 그리고 크리스탈디지털인포를 이용 하드디스크를 검색을 하여 보니 주의 표시가 뜨는군요.. 아무래도 이건 저와 맞지 않는것 같습니다.. 교환에 들어야가 하겠습니다.
쓰레기WD / 10-04-03 20:50/ 신고
그린 겁나 느리다는건 들었는데.. 산다음 걍 파티션나누고 기록해봤는데 다른분 hd툴에 찍던 속도의 10배인듯해서;;; 파티션다시하고 유틸을 돌리니 2일째 38%군요;; 머 이런게 다있나해서 .. 환불이 되는지 모르겠지만.. 항의점 해야 겠네요;;
gunom / 10-04-03 23:33/ 신고
'Cloning Utility 1 partition or > 1 partition' 이 사항을 잘못 해석하신거 아닌가요?
위 내용은 클론 유틸을 쓰는 1파티션 또는 1파티션 이상.. 즉, 모든 상황에서 클론 유틸을 쓸때를 의미하는 것 같은데요? 다시 말해서 파티션이 몇개든간에 클론 유틸을 쓰려면 어드벤스 포멧을 하라는 뜻입니다.Clean Install일 경우는 1 partition일 경우는 7-8 쇼트로 해결 되지만 클론 및 1partition인 경우는 7-8쇼트는 안되고 무조건 어드벤스 포멧 하라는 뜻이죠 ^^; 수정 부탁드립니다.
SP3 / 10-04-04 3:22/ 신고
XP SP3 쓰는 사람입니다만, 오늘 하드를 받았는데요, 일단 얼라인 프로그램부터 설치하고, 하드 달고 부팅하고 윈도우에서 얼라인 프로그램 실행하니까 분명이 하드를 인식하는데요, 비스타에 7에서 뜨는 메시지가 뜨는군요. 이미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는 정렬이 되어 있다는 메시지가 떠서, 그냥 엔터치고 OS로 넘어왔습니다.

디스크 관리에서 그냥 포맷하고 잘 쓰고 있네요. SP3에서는 지원하는 건가보네요.
야이야이야 / 10-04-09 18:19/ 신고
잘보고 갑니다
블BULE / 10-04-10 14:05/ 신고
Advanced Format 기술을 사용 해서 용량을 증진할 수도 있지만, 1-2 PAGE 에 나오는 개념도에서 만약 Sync/DAM 과 ECC 필드와 섹터 갭과 그 외의 용도가 비슷한 보조 기술들을 플래터와 트랙과 섹터의 사이에 두지 않고, 하층에 두게 되면 굳이 Advanced Format 기술을 활용 하지 않아도 용량을 충분 하게 증진 시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니콜라스케이지 sujecheo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19 3:28/ 신고
어드벤스포맷은 좋은데 점퍼는 소비자 입장에서 거부감이 듭니다 좀더 완성도를 높여서 나왔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웬디하드가 신기술적용을 일찍 보여줄려고 성급한 면이 없지 않았나 싶습니다.
mudok / 10-04-22 6:25/ 신고
어드밴스 포맷 하드가 레거시 하드에 비해 사용자가 갖는 이점은 뭐가 있나요? 용량 말고 속도나 안정성 같은 이점이 있는지요?
u235 / 10-04-25 22:42/ 신고
위 설명 대로라면 XP에서의 해결방법은 간단 하군요.
점퍼를 빼고 사전에 파티션과 포맷 작업을 Win7 (PE포함) 에서 완료하고 XP를 설치하면 LBA 주소 어긋남이 안생겨 아무런 문제가 안생긴단 말인데 사싱확인 바랍니다.

사실 여부가
진통제 robfight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27 5:06/ 신고
젤 중요한건 안정성이 아닐까요? -_-;
사용의 편의성도 중요하지만..
박경호 / 10-04-27 10:59/ 신고
용량과 여러 문제가 있겠지만 역시 안정성 문제가 화두가 될듯 합니다. 그리고 점퍼쪽은 조금 아쉽네요. 기술적으로 그냥은 구현하기 어려웠을려나요?
밧슈 / 10-04-30 15:04/ 신고
WD Aling 이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하드인식되어서 xp sp3에서 바로 포맷하여 쓰고 있는데 포맷할때 그냥 섹터를 기본값으로 하여 포맷했거든요 근데 보니까 512B 섹터라고 나오네요 제가 알기로는 최소4k로 라고 알고있는데 xp에서는 이렇게 나오고 실제로 데이터 저장은 4k 로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하드테스트해보니 평균 80M 나옵니다. 이게 보통수치인지 그리고 이대로 사용하다 WIN7으로 넘어가도 아무 문제 없는건지 궁금합니다.
로베르 / 10-05-23 11:30/ 신고
-On Mobile Mode -
진짜 속도가 장난 아니게 빨라졌네요.. 근데 저의경우 이미 윈도우에 여러 파일이 깔려있고 파티션이 3개로 나누어져 있어서 9시간 걸렸다는...ㅡㅡ;
ㅜㅜ 1.5TB 파티션 3개 ~~~ 1part 시스템 파트 20GB 1시간, 2part 17GB 50분, 3part 200GB 7시간.... 장난아니더군요.. 근데 한 보람이 있음
저녁에 자기전에 실행하고 자면 일어나면 끝남..ㅋㅋㅋㅋ
신선 / 10-05-24 0:40/ 신고
잘 보았습니다. 기술발전의 속도가 참 빠르네요...
컴을 사도 3~4년만 지나도 구형이 되버리니...
지나가다 / 10-05-29 19:08/ 신고
align툴 일체 사용없이, 비스타(윈7)에서 포멧후, 그대로 XP에서 사용해도 전혀 이상 없는 것인지요...?
하이하바 / 10-07-07 19:33/ 신고
3.윈도우 XP에서 발생하는 어드밴스드 포맷 문제 파트에서 언급된 할당 단위 크기란 섹터크기가 아닌 섹터가 모여서 실제 디스크의 최소 저장공간단위가 되는 클러스트 크기 아닌가요? 섹터와 클러스트를 구분 못 하는 건 아니겠죠?
deps / 10-08-10 23:31/ 신고
뭔소린지 잘이해가안되지만 그냥 윈도우7쓰면 된다는거죠?ㅋㅋ;;
블랙 / 10-10-09 13:12/ 신고
위에 몇몇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비스타나 세븐에서 포맷을 하고 xp에서 사용시 WD Align유틸 적용해야되는지 안해도 상관없는지에 대해서 직접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제 경우에는 세븐에서 파티션 잡고 포맷후에 벤치 테스트후
xp에 연결하여 벤치 테스트 해봤습니다. 결과는 4k쓰기 정상적으로 나온다는겁니다. Align유틸 적용하지 않아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하네요.
참고하세요.
휘바휘바 / 10-10-13 1:07/ 신고
현제 저는 xp사용하고있는데요 xp를 쓰다가 윈7로 바꾼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블랙 / 10-10-15 23:52/ 신고
휘바휘바// 본문에도 나오지만 점퍼 설정만 아니라면 그냥 사용하시면 됩니다.
블랙 / 10-10-15 23:53/ 신고
물론 xp에서 Align유틸 정렬은 이미 끝날을 경우에 입니다.
혹시 싶어서 댓글 추가합니다.
감사 / 11-02-27 19:49/ 신고
감사합니다. 덕분에 잘 이해하고 갑니다.
낙장불입 / 14-04-26 5:24/ 신고
한개 시스템에 DOS, XP, Win7, 리눅스 다양하게 사용하는 저같은 사람은
AF하드 절대 못쓰겠습니다.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3/19] 놓치면 진짜 후회! 11번가 x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 그랜드 십일절 LIVE11 진행  
[03/19] 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수출 기념 ‘기간 한정 추가 고객 혜택’ 마련  
[03/19] 대원씨티에스, ASRock B850 칩셋 메인보드 구매인증 이벤트  
[03/19] 대원씨티에스, ASRock 라데온 RX6600-RX7600 구매인증 이벤트  
[03/19] 폴라리스오피스, 엔비디아 ‘커넥트’ 공식 파트너 선정  
[03/19] 우마공 회원만을 위한 혜택! Razer 마인크래프트 게이밍 기어 단독 이벤트 진행  
[03/19] 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롯데렌터카 G car와 제휴 이벤트 진행  
[03/19] 레이저, 인체공학 디자인 휴대용 게이밍 키보드 및 마우스 출시  
[03/19] 삼성전자, 갤럭시 S25 엣지에 내구성 강화된 '코닝 고릴라 글래스 세라믹2' 탑재  
[03/19] 디앤디, 게인워드 RTX 50시리즈 구매 고객 대상 한정 게임 번들 및 네이버페이 증정 이벤트 진행  
[03/19] 클래식 파밍 MMORPG ‘아드’ 5월 22일 정식 출시  
[03/19] 컴투스 소환형 RPG '크로니클', 국내 론칭 1,000일 기념 대규모 이벤트 실시  
[03/19] 쿠팡플레이, 6월부터 광고형 무료 시청 서비스 제공  
[03/19] 넥슨, 메이플스토리 AI 기반 코디 검색 서비스 ‘AI 스타일 파인더(AI Style Finder)’ 정식 론칭  
[03/19]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eFootball™, 모바일 버전 출시 8주년 기념 이벤트 실시  
[03/19] 캐나다 밴쿠버행 티켓 2장의 주인은.. 2025 LCK MSI 대표 선발전 세부 정보 공개  
[03/19] 넷플릭스, 광고형·베이식 요금제 가격 인상 발표  
[03/19] [G.LIVE 방송] NVIDIA x ASUS x 퍼플랩, GeForce RTX 50 시리즈 탑재한 게이밍 데스크탑  
[03/19] 인텔 13세대와 14세대 코어 CPU PC 안정성 개선용 신규 마이크로코드 배포  
[03/19]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60, 정식 출시 전까지 리뷰 드라이버 배포 없다?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