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니, 함붙자! PowerDVD 5.0 Deluxe Vs WinDVD Platinum 5

2003-12-08 23:25
이우용 수석기자 guyg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guygun@bodnara.co.kr

5. WinDVD Platinum 5의 색 보정기능(?)



InterVideo의 WinDVD Platinum 5도 CyberLink의 PowerDVD와 마찬가지로 출력되는 영상의 색감을 보정하기 위한 각종 설정과 감마보정기능을 제공하는데 CyberLink사의 PowerDVD가 CLEV라는 색상 보정기능을 제profile_wdp5.gif 공했던 것에 비해 InterVIDEO의 WinDVD Platinum 5는 하드웨어 컬러 가속기능이라는 기능을 제공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 기능에 대해서는 자세한 언급이 없다..

하여간 색감부분에서는 이전 페이지에서 알아보았듯이 기본적인 출력 영상물은 WinDVD Platinum 5가 좀더 밝게 표현됨을 알았는데 각종 셋팅에 따른 그 결과물 차이는 어떠할지 다음 결과물들을 보고 비교해보기 바란다.

 

 풀 레인지 컬러 조정

PowerDVD의 Video Enhancement 기능과 마찬가지로 WinDVD Platinum 5에서도 Bright 및 Contrast 그리고 Saturation등에 대한 프리셋 셋팅으로의 색상 및 밝기 조절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는데 PowerDVD가 직접 세부설정 메뉴로 들어가서 설정하여야되었던 것에 비해 컨트롤 패널상에서 직접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color_adjustment.gif

따라서 인터페이스부분에서는 WinDVD Platinum 5가 편하게 만들어져있다고 볼 수 있는데 실제 그 설정에 대란 색감은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 아래를 보자..

imgmod_ori_i1.gif

imgmod_pal_crt_i.gif imgmod_pal_lcd_i.gif
imgmod_pal_tv_i.gif imgmod_pal_projector_i.gif

위의 이미지 결과물중 우선 Original은 이 기능을 적용하지 않은 Default상태로서 이전에 기본셋팅으로 PowerDVD와 비교할 때 사용하였던 이미지인데 PowerDVD의 같은 기능이 설정별로 해당 기능의 적용에 따른 밝기 및 색감차이를 해당 설정의 제목으로 사용했던 것에 비해 WInDVD는 사용하는 출력장치에 따라서 적당한 설정값을 정해놓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CRT 설정이 부드럽고 밝게 영상이 보여지게 설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에 비해 LCD의 경우 CRT보다는 점도 밝게 표현되게 되어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전체적으로 PowerDVD의 각 설정에 비해 밝은 느낌을 받을 수 있지만 좀 흐리다고 해야하나.. 진한 색감을 즐기는 유저들에게는 조금 모자란 듯한 느낌을 줄 것이다..

 

 하드웨어 칼러 가속기능

자..그럼 하드웨어 칼러 가속기능의 적용으로는 어떤 결과를 나타낼까?.. 다음 이미지들을 보자..(한가지 참고할점이 있는데 PowerDVD의 CLEV기능이 하드웨어 가속기능을 적용할 때에는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있는 것에 비해 WinDVD의 하드웨어 칼러 가속기능은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ori.gif

crt.gif crt_acc.gif
lcd.gif lcd_acc.gif
tv.gif tv_acc.gif
pjt.gif pjt_acc.gif

위의 이미지들이 해당 컬러 조정 셋팅에 대한 하드웨어 컬러 가속 기능의 적용유무를 비교한 이미지들인데 위의 이미지들을 보면 하드웨어 컬러 가속기능으로 각 원본 영상보다 상당히 밝아진 영상이 출력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하드웨어 컬러 가속기능은 일종의 감마 보정기능이라고 하는 것이 정확할 것인데 InterVIDEO의 한국어 페이지에서도 비디오부분의 기능중에 디스플레이 감마 보정기능을 언급하고 있으니.. 이것이 하드웨어 컬러 가속기능을 말하는 것으로 생각된다.(디스플레이 감마 보정기능이라고만 나와있지 하드웨어 컬러 가속기능이라고는 나타나있지 않다..ㅡㅡㅋ)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부기팝~ / 03-12-08 23:56/ 신고
헛.. 아래 댓글 지송..^^ 관리자님 삭제해주세요.

전 새벽에 올라오지 않은 리뷰는 처음 보네요~~
bitna (ID) / 03-12-09 2:27/ 신고
요즘 코덱,동영상,편집에 대해 공부중인데
많은 도움이 되는 글 이네요 ^^

다른 사이트에서는 볼 수 없는 신선한 소재였습니다.
거의 하드웨어 중심이 되서..
bitna (ID) / 03-12-09 2:39/ 신고
위에 제목이미지로 봐서는 분류가 칼럼같은데..
리뷰에 올라와 있네요.. ^^;
bsbday (ID) bsbda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3-12-09 16:50/ 신고
3번째 페이지에..
영화 슈팩의 한장면.. -> 영화 슈렉의 한장면으로 바꿔야 하지 않을까요..?
항상 / 03-12-09 17:56/ 신고
항상 느끼지만, 리뷰를 하시는 분들의 노력에는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결론부분은 제가 생각하던것과 좀 틀리네요.
저는 리뷰를 보면서, 지금까지 알던 윈dvd보다 파워dvd에 오히려 나은것같던데, 리뷰께서는 오히려 윈dvd의 손을 들어주셨네요.

제가보기에는 다양한 비디오효과는 실제로 별 쓸모가 없으며(누가 멀쩡한 영화를 네가티브로, 이상한 효과 줘서 보겠습니까?) 오히려 4:3 비율의 TV가 아직은 대부분인 분들에 있어서는 4:3에 꽉 차게 보여주는 기능이 더 좋은게아닌가 싶네요. CPU점유율 또한 실제로 영화 보면서 딴 작업을 하는 경우도 드물고, 있다면 그분의 시스템은 능히 그 점유율을 감당할수 있을 정도의 시스템이라고 100% 확신합니다.
여하튼 좋은 글입니다.
wowl95 (ID) / 03-12-09 20:49/ 신고
전 리뷰에 동감이 갑니다.
mp3플레이어의 다양한 모드를 좋아하는 분이라면
winDVD 이런 기능은 일종의 럭셔리 아닐까 생각이 드는군요.
cpu점유율 ^^ 당나귀 몰아가며 영화 돌리는데 10%의 차이면 벌써 느껴질꺼라 생각이 드는군요.
HP / 03-12-09 21:16/ 신고
개인적으로는 그 동안 POWERDVD에 손을 들어주었지만 5버젼부터는 WINDVD에 손을 들어주고 싶습니다.
coach / 03-12-10 14:33/ 신고
실제로 실행해보시면 알겠지만, 파워dvd가 로딩속도가 휠씬 빠르지요. 시퓨점유율도 대체적으로 파워dvd가 적은편인데..의외군요. 그리고 윈dvd5의 경우 XP에서 호환모드로 실행하지 않으면 다운되는 증상이 자주 일어난답니다.
도와줘잉 / 03-12-11 18:26/ 신고
파워디브이디 쓰다가 이글보고서 윈디브이디 써봤는데요
프로그램 잘돌아가다가 먹통이 되버리네여..
파워디브이두 잘나온것이 프로그램 오류뜨구...
어찌하나여
coach / 03-12-11 19:45/ 신고
위에서도 적었지만 호환성을 수정해주면 됩니다. 윈디비디 실행파일을 오른쪽단축메뉴에서 속성(등록정보) 호환성 모드에서 windows98/Me 용으로 설정하시면 해결될껍니다. 그리고 잘나오던 파워디비디가 안나오는것은 윈디비디와 동시에 설치했을때 두제품다 같은 라이버러리를 사용하기때문에 충돌하는것이지요. 둘중 하나를 제거하시면 해결될껍니다.
lovyz / 03-12-12 1:26/ 신고
WinDVD가 먹통되실떄는 windows 2000 호환모드로 하시고 실행을 하시면 정상적으로 작동됩니다.
궁금 / 03-12-12 2:11/ 신고
Windvd 를 설치를 했는데요. 근데 아무리 해도 소리가 나질 않습니다.
근데 리얼원에선 또 소리가 나네요.
Windvd가 설치가 돼있어야 리얼에서 dvd를 볼는 것 같은데 리얼에선 돼는데 windvd에선 안돼네요...
호환성 2000으로 했는데도 소리가 나질 안네요... 흐... 어떻게 해야 될지....
근데 / 03-12-12 12:20/ 신고
divx 영화를 파워, 윈 디비디로 볼때 자막은 전혀 나오지 않던데...원래 그런건 가요? 둘다 5.0버젼으로 체크했고 코덱팩 최신버젼만 깔린 상태였는데...
윈디비디로 자막보는 방법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리뷰 잘 보았습니다. ^^;;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12/08] MSI, 다수의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12/08] PC 이용자를 위한 더 편하고 쾌적한 조명, 벤큐 스크린바 헤일로2 출시 간담회  
[12/08] 토탈 이미징 솔루션 기업으로 이어진 40년, 캐논코리아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  
[12/08] 유니씨앤씨, 5월 16일 오전 11시, 가정의 달 특집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 LIVE 진행  
[12/08] MSI, 컴퓨텍스 2025에서 획기적인 PC, 메인보드 라인업 공개  
[12/08] MSI, COMPUTEX 2025에서 다수의 수상 영예  
[12/08]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GRADIUS’ 40주년 기념 ‘GRADIUS ORIGINS’ 음원 공개  
[12/08] PC업계가 게이밍 마케팅 꿀을 그만 빨고 새로운 메시지를 내놓아야 하는 이유  
[12/08] 탁상 위 프리미엄 냉방 혁신, 디앤디 ‘라이브박스 탁상용 서큘레이터’ 출시  
[12/08] 뉴트리불렛, ‘울트라 플러스(Ultra Plus+)’ 출시  
[12/08] 뷰소닉, 무선 미러링 캐스트 ‘뷰쉐어(WPD-900)’ 출시  
[12/08] 넥슨, ‘마비노기’ 21주년 판타지 파티 ‘NEW RISE’ 6월 21일 개최  
[12/08] 넥슨, ‘마비노기 영웅전’ 성장 구간 개선 업데이트 실시  
[12/08] 사운드캣, ‘플레이엑스포 2025’ 참가, 게임 전용 음향기기 및 하이엔드 인이어 선보일 예정  
[12/08] 웹젠 ‘샷온라인’, 펫 시스템 및 광장 업데이트  
[12/08] 컴투스 ‘낚시의 신’, 하림 더미식 ‘오징어라면’과 이색 컬래버레이션 진행!  
[12/08] 에이수스, NVIDIA GB10 탑재한 개인용 슈퍼컴퓨터 ‘AI MiniPC GX10’ 출시  
[12/08] 제이씨현, 기가바이트 B760M AORUS ELITE GEN5 메인보드 출시!  
[12/08] 본격적인 순위 경쟁의 시작! 2025 OWCS 코리아 스테이지 2, 2주 차!  
[12/08] 넥슨,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와 아르포텐 컬래버레이션 실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