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누구나 구축하는 클라이언트/서버 인트라넷 제 1부

2006-04-20 02:00
장홍식 대표기자 potatotre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otatotree@bodnara.co.kr

5. 대표적인 팀네트워크 그룹웨어들



 

다양한 팀네트워크 그룹웨어들

인트라넷 그룹웨어라는 것은 아직 명확하게 정의내려진것은 없다고 보는것이 정확하지 않을까 싶다. 즉, 이것은 인트라넷 프로그램이고, 이것은 아니다. 라고 보는것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또한, 어느선까지 통합을 하느냐에 따라 개념이 천차만별로 달라지기 때문에 구분또한 몇가지로 끝나지 않는다. 여기서는 클라이언트/서버를 포괄하는 대표적인 몇가지 인트라넷 소프트웨어 패키지들만 살펴보도록 하겠다.

 

1. Microsoft Windows SBS 2003 Standard / Premium Edition

Microsoft사가 개발한 대표적인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축용 서버/인트라넷 패키지이다. 정확하게는 하나의 프로그램이라기 보다, MS사가 그동안 개발해온 여러 프로그램들을 중-소기업용의 내부네트워크 구축과 인트라넷 구축에 알맞도록 프로그램을 패키지화 한 것이다.

Windows Server 2003 SBS Premium은 6장의 CD로 구성되어 있다. (사진에 1장이 누락되었다.)

Small Business Server는 최대 75명이 사용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서버 인트라넷 패키지로서 (컴퓨터 기준) Windows Server 2003, Exchange Server 2003, SharePoint Service 2.0 으로 구성되어있으며, Premium 패키지는 여기서 SQL Server 2000 SP3a과 Internet Security Acceleration Server 2000, FrontPage 2003이 추가되어 있다.

Enterprise Edition급에 비해 많은 기능이 제거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 대규모 인트라넷 구성엔 부적합하다. 또한 여러 네트워크 (본사 네트워크, 지점 네트워크)등을 하나로 묶을수도 없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하나의 네트워크만 사용한다면 적합한 솔루션이며, 대부분의 패키지가 모두 연동되어 세팅이 완료되어있기 때문에 설치만으로도 기본적인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Windows Server 2003이나 Exchange Server 2003, Shapepoint 2.0의 기능을 모두 파악하지 않더라도 기본적인 사용과 관리에 문제가 없다는 점이 장점이다. 또한 Microsoft의 다른 Server Package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기능의 확장이 용이하다는 점도 이 제품의 강점이다.

가장 중요한 장점은 Microsoft Windows의 계열버전으로, Microsoft Windows 시리즈의 모든 데스크탑 OS와 완벽한 호환을 갖추고 있으며, 연동이 잘 구축되어있다는 점이다. 이 장점은 타사의 그룹웨어나 클라이언트/서버에서 절대로 갖추고있지 못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2. Novell GroupWise / Netware / Suse Enterprise Edition

네트워크의 강자 Novell사에서 제작한 네트워크용 OS Netware는 네트워크 OS의 선구자로 꼽힌다. Microsoft Windows Server가 등장하기 전까지 대부분의 네트워크 서버를 장악했다. 현재 윈도의 데스크탑 버전은 Apple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면, 윈도 서버 계열은 Netware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완벽한 네트워크 OS로 각광받았으나, Microsoft Windows의 선전으로 현재는 Netware와 함께  Suse Linux로 유명한 Suse를 전격 인수하여, 리눅스 진영에도 뛰어들었다.

Novell사에서 2004년 무료배포한 Evaluation Pack. Suse Linux Desktop, Suse Enterprise Edition, Novell Groupwise 등 노벨사의 모든 OS, 그룹웨어 등이 수록되어있다. DVD 3장

 

Novell Groupwise는 Netware, Suse Linux, Redhat Linux상에서 작동하는 그룹웨어이다. 서구권에서는 MS Windows, IBM Notes (Lotus Notes)와 함께 3대 그룹웨어로 꼽힌다.

 

3. Redhat Enterprise Edition

Redhat사에서 개발한 Redhat Linux의 Enterprise Edition. Redhat Linux기반이며, 풍부한 기능과 사후지원으로 잘 알려져있다. 그룹웨어의 기능은 MS나 타사의 제품보다 떨어진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보통 IBM Notes나 Novell Groupwise등을 얹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able38 (ID) / 06-04-20 2:26/ 신고
흠.. 이른 시간에 포스팅이네요~

2부 내용이 기대됩니다..^^
ian5364 (ID) ian5364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20 11:37/ 신고
컴퓨터가 나오기 바로전까지 타자기도 사무실등에서 한몪했죠...ㅋㅋ
drum2nd / 06-04-20 13:43/ 신고
음... 지금 윈도우즈 2003 스탠다드에(스몰비지니스에디션아니고) 쉐어포인트 서비스 2.0으로 간단하게
협업사이트 하나 만들어서 쓰고 있습니다.

내용을 보니 꽤 관심은 가는데 운영체제 구입이나 새로 또 구축을 하자니 흐...

잘만 만들면 꽤 좋은거 같다고 생각되네요
jin2006 (ID) / 06-04-20 14:25/ 신고
재미있게 읽었네요. 관심분야는 아니었지만..
metdol (ID) metdol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20 15:04/ 신고
한때 잠시 2003서버를 설치해 이것저것 만져봤던 기억이 나는군요..2부 기대해 보겠습니다..^^
lswrome (ID) lswrom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20 15:12/ 신고
흐미 아무나 따라할수 있을것 같진 않은데요..^^ㅋ
LEAF / 06-04-20 16:12/ 신고
첫페이지 윈도우 XP 프로페셔널그림에서 프로페셔널의 스펠링이 틀렸다!?
pksps (ID) / 06-04-20 17:16/ 신고
2부가 기대되네요 서버는 한번도 만져본적이없는데..ㅎㅎ
kado (ID) kad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20 17:30/ 신고
시리즈 쭉 한번보고 시험한번 해봐야겟군요
프린트 해서 봐야겠네요
pg1313 (ID) pg131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20 17:49/ 신고
회사에 테스트용으로 설치는 했지만,
기본용도와는 전혀 다른 OS테스트 PC...
ㅠ_ㅠ
makesound (ID) / 06-04-20 18:28/ 신고
서버 만들기~~난 재미있던데????^>^
notebe / 06-04-20 19:00/ 신고
2부 기대됩니다~ 좋은글 감사~
hyeonsig (ID) / 06-04-20 20:22/ 신고
쉽게 쓰셔서 읽기가 편하군요.

설정의 어려움등으로 메일같은 것은 다음등 외부 서비스 업체를 이용하는 것도 편할듯 하다는 생각이...
zooc80 (ID) / 06-04-20 22:46/ 신고
회사내에서 관심이 있다면 시도해볼수도 있겠네요
eye2eyes (ID) / 06-04-21 0:18/ 신고
참 쉽게 쓰셨네요 ^^ 저희도 리눅스환경과 윈도우환경 두가지를 혼용중입니다. 전산실 직원용은 전부 2003을 쓰고있죠. 서버는 2003과 리눅스 분담. 재미있는 기사 잘 읽었습니다.
korstds (ID) korstd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21 1:07/ 신고
아직까지 이런정도까지 구축할 필요가 없는지라..
kss8569 (ID) kss856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21 1:52/ 신고
기대기대 됩니다.
kjw8211 (ID) / 06-04-21 10:43/ 신고
ㅎㅎ 앞으로 재미나겠네요.
postdada (ID) postdad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21 15:55/ 신고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쉽고 친절하게 써 주셔서 이해하기 편하네요.
2부가 기대됩니다.
balkkarack (ID) / 06-04-21 18:04/ 신고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2부도 부탁드립니다.
모차마 / 06-04-22 17:42/ 신고
윈도우 XP 프로페셔널그림에서 프로페셔널의 스펠링이 틀렸다!?
---
틀린 것이 아니라 프랑스어네요.
!!!
moonwolf (ID) moonwolf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23 12:26/ 신고
실제로 몸을 때우신 걸 글로 쓰셔서 그런지 와닿는게 많군요. 다음편도 기대합니다.^^
akuma78 (ID) / 06-04-23 16:14/ 신고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wineagle (ID) / 06-04-23 19:30/ 신고
컨텐츠가 다양하네요. 좋은정보 잘봤습니다.
alphonse (ID) alphons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23 20:59/ 신고
2003서버라 음 서브컴하나 구축이 되면 해볼만 하겠네요
mygirl2 (ID) mygirl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25 20:08/ 신고
세컨컴 다시 장만해보고 싶은 마음이 드네요.
sky0734 (ID) sky0734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29 6:46/ 신고
이런 얘기는 넘 어려워요.
kohadab (ID) / 06-04-29 9:43/ 신고
마침 최근에 관심갖고 있는 부분이라 앞으로의 연재, 기대됩니다. 잘 봤습니다.
blasty (ID) blast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30 14:40/ 신고
한번 날잡아 따라해봐야 하는데...
엑스피로 구성하긴 힘들긴 하더군요
jenadu (ID) / 06-04-30 19:29/ 신고
서버는 너무 복잡한거 같네요--;
valkyrie (ID)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4-30 20:12/ 신고
서버쪽 프로그램 짜고 있답니다...ㅠ.ㅠ
arestoc (ID) / 06-05-02 18:18/ 신고
ACTIVE DIRECTORY.......
bluemun (ID) bluem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3 12:23/ 신고
좀 전문적인 컬럼이군요. 어려워요.
ryangedu (ID) / 06-05-07 17:21/ 신고
어려운 얘기들이군요..
deltahos (ID) / 06-05-14 23:46/ 신고
어렵습니다.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4/20] 넥슨, ‘마비노기 영웅전’ 오케스트라 공연 6월 21일 개최  
[04/20] '프리미엄한 당신을 위한 최고의 선택' 삼성스토어, '데이코 위크' 진행  
[04/20] 넷마블 북미 자회사 카밤, <마블 올스타 배틀> PC 버전 전 세계 정식 출시  
[04/20] '월드 오브 워쉽' x 벽람항로 일곱 번째 콜라보레이션  
[04/20] GTA 온라인, FIB 파일 피날레에서 보상 두 배 제공  
[04/20] 넥슨, 메이플스토리M M4U 아일랜드 2차 이벤트 실시  
[04/20] 운빨존많겜, 출시 1주년, 역대급 업데이트와 이벤트 쏟아진다!  
[04/20] 서린컴퓨터, 시스템 빌드 전문 유튜버와 협업한 'PC SNAP 에디션' 출시  
[04/20] 펀키스, 31g 초경량 마그네슘 합금 8K 게이밍 마우스 WLMouse Beast Miao 시리즈 출시  
[04/20] Razer, 생산성과 게이밍 동시에 잡은 3종 키보드 마우스 출시  
[04/20] 디아블로 IV, 2025 세계 접근성 인식의 날 기념해 누구나 손쉽게 성역을 탐험하도록 돕는 기능 소개하는 영상 공개  
[04/20] 마우저, 첨단 비전 AI 기술을 지원하는 르네사스의 RZ/V2N 마이크로프로세서 공급  
[04/20] MSI, AI 게이밍 모니터 분야 선도  
[04/20] 삼성전자, AI 기능 탑재한 'AI 통버블 세탁기' 출시  
[04/20] 라이엇 게임즈, 발로란트 출시 5주년 기념 ‘자선 // V25 세트‘ 출시  
[04/20]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90 FE 둠 더 다크 에이지스 에디션 공개  
[04/20] 소니 PS5 가격 세 번째 인상 카드 꺼내나?  
[04/20] 넷마블 신작 세븐나이츠 리버스, CU와 제휴 이벤트 실시  
[04/20] 소리샵, 파이널(Final)의 프리미엄 유선 이어폰 S5000 출시  
[04/20] 웨스턴디지털, 인그라시스와 AI 워크로드 대응 위해 고성능 패브릭 연결 분산형 스토리지 공동 개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