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기본 카드에서 GTS 450 7종 쿨러 온도 비교
지포스 GTS 450의 쿨링 솔루션 성능은 잘만에서 제공된 VF2500을 제외한 나머지 7종은 그래픽카드와 함께 제공되어 7종만 각자의 PCB에 맞추어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레퍼런스 PCB에서 낮은 동작 RPM으로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 일부 그래픽카드들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며, 각 제조사별 7종의 그래픽카드 원래 PCB에 각자의 쿨링 솔루션을 장착한 성능을 비교한 이후 동작 RPM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 추가로 테스트를 진행했으니 참고 바란다.
테스트는 코어 880/ 쉐이더 1760/ 메모리 3900 (975)MHz와 컬러풀 레퍼런스 PCB와 동일한 코어 전압 1.1000V (단, 기가바이트 윈드포스 2X는 1.0870V 고정으로 조절불가)를 적용하여 진행했다.
그래픽카드 쿨링 솔루션 8종 기본 PCB 장착시 팬 RPM 비교 
제품 |
팬 RPM (자체 PCB)
|
레퍼런스
|
아이들 : 1170-1200 로드: 1950-1980
|
ASUS DirectCU
|
아이들 : 1680-1710 로드 : 2370-2400
|
Colorful
|
아이들: 2010-2040 로드 : 2040-2070
|
이엠텍 쿨맥스 3500
|
아이들: 1440-1470 로드 : 1590-1620
|
이엠텍 쿨맥스 4000
|
아이들 : 1620-1650 로드 : 1650-1680
|
기가바이트 WindForce 2X
|
아이들 : 1530-1560 로드 : 1830-1860
|
MSI Cyclone
|
아이들 : 1170-1200 로드 : 2460-2490
|
잘만 VF2500
|
-
|
그래픽카드 쿨링 솔루션 8종 중 잘만 VF2500은 잘만에서 렉스텍 OEM 버전 쿨러를 그대로 샘플로 제공했기 때문에 그래픽카드는 포함되지 않아 렉스텍 기본 PCB의 쿨링 팬의 동작 RPM을 확인하지 못했으며, 나머지 7종은 GPU-Z 0.4.6 버전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정리했다.
지포스 GTS 450 중 특색있는 쿨러를 위주로 8종을 선택했고 정리한 결과에서 확인되었듯이 모두 서로 다른 동작 RPM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각 제조사마다 자사의 그래픽카드 동작클럭 등 전반적인 부분을 고려해 설정되는 즉, 커스터마이징되어 있는 부분이다. 아이들과 풀로드 모두 2000RPM 내외로 고정되는 컬러풀 쿨러, ASUS DirectCU와 MSI 싸이클론 (Cyclone)은 풀로드시 2400RPM 또는 이상의 동작 RPM을 갖는 것으로 확인된다. 각 카드에 장착된 쿨링 솔루션들은 적절한 온도와 성능을 고려해 너무 높지 않은 적절한 수준의 RPM이 적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체 PCB 이용한 지포스 GTS 450 GPU 온도 비교 
지포스 GTS 450 쿨링 솔루션 중 자체 PCB가 제공되지 않은 잘만 VF2500을 제외한 나머지 7종의 GPU 온도를 먼저 비교했다. 케이스 자체에 장착된 상황에서 GPU 온도는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비교하고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데 가장 높은 성능을 보인 것은 MSI 싸이클론과 컬러풀의 기본 제공 쿨러였으며, ASUS DirectCU, 쿨맥스 3500, 쿨맥스 4000, 기가바이트 윈드포스 2X (WindForce 2X), 지포스 GTS 450 레퍼런스 쿨러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결과는 7종 쿨링 솔루션이 각 제조사에 맞게 최적화된 설정에 따른 것이다.
레퍼런스는 알루미늄 방열판과 80mm 쿨링 팬이 적용되어 다른 쿨링 솔루션이 히트파이프와 크기가 큰 쿨링 팬 또는 듀얼 80mm 팬 조합 등과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가장 낮은 성능을 보였다. 쿨맥스 4000은 동작 RPM이 쿨맥스 3500보다 약간 높게 설정되나 사용된 PCB와 코어가 같더라도 코어 간의 온도 편차 등이 발생될 수 있는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쿨맥스 3500/ 4000은 전반적으로 절적한 쿨링 성능과 소음에 중점을 두어 설정된 결과로 볼 수 있다.
기가바이트 윈드포스 2X 쿨러는 80mm 듀얼팬을 모두 동작하는 성능을 위한 듀얼팬 모드 (기본 설정)로 테스트되었으나 10분간 번갈아가며, 지능적으로 쿨러의 먼지를 청소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소음을 고려해 팬의 동작 RPM이 높지 않아 온도는 레퍼런스보다 3도 정도 낮은 결과를 보여준다. 기가바이트 쿨러는 쿨링 성능 자체보다는 추가된 기능과 절적한 쿨링 성능과 소음에 중점을 두어 다른 제품과 약간은 다른 관점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ASUS, 컬러풀, MSI는 쿨링 팬의 크기 뿐만 아니라 동작 RPM이 높아 GPU 온도에서 다른 쿨러들보다 유리한 것으로 확인된다.
자체 PCB 이용한 지포스 GTS 450 메모리 온도 비교
메모리는 전원부와 함께 그래픽카드 쿨링 솔루션의 구조와 그래픽카드 구조 및 부품 배치 등에 따른 영향을 받는다.
가장 낮은 메모리 온도는 컬러풀 기본 쿨러가 차지했는데 90mm 크기 팬과 높은 동작 RPM, 이로 발생되는 풍량, 그리고 주변부 간접 쿨링이 잘되는 특유의 구조로 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MSI 싸이클론은 95mm 팬과 이로 발생되는 풍량, 구조에 따라 간접 쿨링 효과가 높아 컬러풀 다음으로 낮은 메모리 온도를 기록한다.
기가바이트의 경우 가장 높은데 이는 GPU 코어와 직접 접촉하는 알루미늄 방열판이 메모리를 가려 듀얼 80mm 팬으로 간접 쿨링되는 범위를 벗어난 결과로 볼 수 있다. 레퍼런스와 쿨맥스 3500/ 4000은 엇비슷한 결과를 보였는데 쿨맥스 3500/ 4000은 BFF (Base-Fan-Fin) 구조로 일반 방식보다 주변부 간접 쿨링 효율이 높으나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된 듀얼 80mm 쿨링팬으로 인한 결과로 보여진다. ASUS DirectCU 쿨러는 80mm 크기의 쿨링팬만 제공하고 전원부와 메모리 사이의 히트싱크에 공기의 흐름을 막는 부분과 GPU 방열판이 위치하여 GPU 온도와 달리 간접 쿨링 능력이 떨어져 메모리 온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온도를 기록한다.
자체 PCB 이용한 지포스 GTS 450 전원부 온도 비교 
전원부는 메모리와 같이 쿨링 팬과 풍량, 간접 쿨링 구조, 부품 구조 등과 연관되며, ASUS와 쿨맥스 4000, 기가바이트 윈드포스 2X 제품은 전원부 방열을 위한 모스펫 방열판이 기본으로 장착된다.
전원부 온도는 컬러풀이 메모리에 이어 가장 효율적인 구조와 높은 동작 RPM으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MSI 싸이클론이 뒤를 이었다. 메모리 방열판이 장착된 3종은 오히려 이들보다 높은 온도를 기록했는데 쿨맥스 3500/ 4000은 레퍼런스보다 높았으나 메모리 방열판이 장착된 쿨맥스 4000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쿨맥스 시리즈는 BFF 특유의 구조로 다른 쿨링 방식들보다 주변부 간접 쿨링이 유리하나 팬의 동작 RPM이 낮아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보여준다. ASUS DirectCU는 메모리 방열판을 제공하나 80mm 쿨링 팬의 동작하나와 주변부 쿨링을 위한 방열핀 구조가 불리해 방열판을 장착하고도 높은 온도를 기록했다.
자체 PCB 이용한 지포스 GTS 450 케이스 내부온도 비교 
기본 PCB에 장착된 쿨링 솔루션별 쿨링 성능은 동작 RPM이 높고 메모리나 전원부는 간접 쿨링 효율과 듀얼 팬구조가 전반적으로 유리했는데 케이스 내부온도는 측면 250mm와 전면, 후면, 상단 후면 120mm를 모두 동작한 결과 레퍼런스가 약간 높은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비슷한 2-3도 내외의 온도차이를 기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