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천차만별인 지포스 GTS 450 쿨러 8종 벤치마크

2010-10-15 18:00
권경욱 前 기자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ress@bodnara.co.kr

5. 기본 카드에서 GTS 450 7종 쿨러 온도 비교



지포스 GTS 450의 쿨링 솔루션 성능은 잘만에서 제공된 VF2500을 제외한 나머지 7종은 그래픽카드와 함께 제공되어 7종만 각자의 PCB에 맞추어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레퍼런스 PCB에서 낮은 동작 RPM으로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 일부 그래픽카드들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며, 각 제조사별 7종의 그래픽카드 원래 PCB에 각자의 쿨링 솔루션을 장착한 성능을 비교한 이후 동작 RPM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 추가로 테스트를 진행했으니 참고 바란다.

테스트는 코어 880/ 쉐이더 1760/ 메모리 3900 (975)MHz와 컬러풀 레퍼런스 PCB와 동일한 코어 전압 1.1000V (단, 기가바이트 윈드포스 2X는 1.0870V 고정으로 조절불가)를 적용하여 진행했다.

 


그래픽카드 쿨링 솔루션 8종 기본 PCB 장착시 팬 RPM 비교

제품

팬 RPM (자체 PCB)

레퍼런스

아이들 : 1170-1200
로드: 1950-1980

ASUS DirectCU

아이들 : 1680-1710
로드 : 2370-2400

Colorful

아이들: 2010-2040
로드 : 2040-2070

이엠텍 쿨맥스 3500

아이들: 1440-1470
로드 : 1590-1620

이엠텍 쿨맥스 4000

아이들 : 1620-1650
로드 : 1650-1680

기가바이트
WindForce 2X

아이들 : 1530-1560
로드 : 1830-1860

MSI Cyclone

아이들 : 1170-1200
로드 : 2460-2490

잘만 VF2500

-

그래픽카드 쿨링 솔루션 8종 중 잘만 VF2500은 잘만에서 렉스텍 OEM 버전 쿨러를 그대로 샘플로 제공했기 때문에 그래픽카드는 포함되지 않아 렉스텍 기본 PCB의 쿨링 팬의 동작 RPM을 확인하지 못했으며, 나머지 7종은 GPU-Z 0.4.6 버전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정리했다.

지포스 GTS 450 중 특색있는 쿨러를 위주로 8종을 선택했고 정리한 결과에서 확인되었듯이 모두 서로 다른 동작 RPM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각 제조사마다 자사의 그래픽카드 동작클럭 등 전반적인 부분을 고려해 설정되는 즉, 커스터마이징되어 있는 부분이다. 아이들과 풀로드 모두 2000RPM 내외로 고정되는 컬러풀 쿨러, ASUS DirectCU와 MSI 싸이클론 (Cyclone)은 풀로드시 2400RPM 또는 이상의 동작 RPM을 갖는 것으로 확인된다. 각 카드에 장착된 쿨링 솔루션들은 적절한 온도와 성능을 고려해 너무 높지 않은 적절한 수준의 RPM이 적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체 PCB 이용한 지포스 GTS 450 GPU 온도 비교

지포스 GTS 450 쿨링 솔루션 중 자체 PCB가 제공되지 않은 잘만 VF2500을 제외한 나머지 7종의 GPU 온도를 먼저 비교했다. 케이스 자체에 장착된 상황에서 GPU 온도는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비교하고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데 가장 높은 성능을 보인 것은 MSI 싸이클론과 컬러풀의 기본 제공 쿨러였으며, ASUS DirectCU, 쿨맥스 3500, 쿨맥스 4000, 기가바이트 윈드포스 2X (WindForce 2X), 지포스 GTS 450 레퍼런스 쿨러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결과는 7종 쿨링 솔루션이 각 제조사에 맞게 최적화된 설정에 따른 것이다.

레퍼런스는 알루미늄 방열판과 80mm 쿨링 팬이 적용되어 다른 쿨링 솔루션이 히트파이프와 크기가 큰 쿨링 팬 또는 듀얼 80mm 팬 조합 등과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가장 낮은 성능을 보였다. 쿨맥스 4000은 동작 RPM이 쿨맥스 3500보다 약간 높게 설정되나 사용된 PCB와 코어가 같더라도 코어 간의 온도 편차 등이 발생될 수 있는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쿨맥스 3500/ 4000은 전반적으로 절적한 쿨링 성능과 소음에 중점을 두어 설정된 결과로 볼 수 있다.

기가바이트 윈드포스 2X 쿨러는 80mm 듀얼팬을 모두 동작하는 성능을 위한 듀얼팬 모드 (기본 설정)로 테스트되었으나 10분간 번갈아가며, 지능적으로 쿨러의 먼지를 청소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소음을 고려해 팬의 동작 RPM이 높지 않아 온도는 레퍼런스보다 3도 정도 낮은 결과를 보여준다. 기가바이트 쿨러는 쿨링 성능 자체보다는 추가된 기능과 절적한 쿨링 성능과 소음에 중점을 두어 다른 제품과 약간은 다른 관점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ASUS, 컬러풀, MSI는 쿨링 팬의 크기 뿐만 아니라 동작 RPM이 높아 GPU 온도에서 다른 쿨러들보다 유리한 것으로 확인된다.

 


자체 PCB 이용한 지포스 GTS 450 메모리 온도 비교

메모리는 전원부와 함께 그래픽카드 쿨링 솔루션의 구조와 그래픽카드 구조 및 부품 배치 등에 따른 영향을 받는다.

가장 낮은 메모리 온도는 컬러풀 기본 쿨러가 차지했는데 90mm 크기 팬과 높은 동작 RPM, 이로 발생되는 풍량, 그리고 주변부 간접 쿨링이 잘되는 특유의 구조로 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MSI 싸이클론은 95mm 팬과 이로 발생되는 풍량, 구조에 따라 간접 쿨링 효과가 높아 컬러풀 다음으로 낮은 메모리 온도를 기록한다.

기가바이트의 경우 가장 높은데 이는 GPU 코어와 직접 접촉하는 알루미늄 방열판이 메모리를 가려 듀얼 80mm 팬으로 간접 쿨링되는 범위를 벗어난 결과로 볼 수 있다. 레퍼런스와 쿨맥스 3500/ 4000은 엇비슷한 결과를 보였는데 쿨맥스 3500/ 4000은 BFF (Base-Fan-Fin) 구조로 일반 방식보다 주변부 간접 쿨링 효율이 높으나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된 듀얼 80mm 쿨링팬으로 인한 결과로 보여진다. ASUS DirectCU 쿨러는 80mm 크기의 쿨링팬만 제공하고 전원부와 메모리 사이의 히트싱크에 공기의 흐름을 막는 부분과 GPU 방열판이 위치하여 GPU 온도와 달리 간접 쿨링 능력이 떨어져 메모리 온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온도를 기록한다.

 


자체 PCB 이용한 지포스 GTS 450 전원부 온도 비교

전원부는 메모리와 같이 쿨링 팬과 풍량, 간접 쿨링 구조, 부품 구조 등과 연관되며, ASUS와 쿨맥스 4000, 기가바이트 윈드포스 2X 제품은 전원부 방열을 위한 모스펫 방열판이 기본으로 장착된다.

전원부 온도는 컬러풀이 메모리에 이어 가장 효율적인 구조와 높은 동작 RPM으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MSI 싸이클론이 뒤를 이었다. 메모리 방열판이 장착된 3종은 오히려 이들보다 높은 온도를 기록했는데 쿨맥스 3500/ 4000은 레퍼런스보다 높았으나 메모리 방열판이 장착된 쿨맥스 4000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쿨맥스 시리즈는 BFF 특유의 구조로 다른 쿨링 방식들보다 주변부 간접 쿨링이 유리하나 팬의 동작 RPM이 낮아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보여준다. ASUS DirectCU는 메모리 방열판을 제공하나 80mm 쿨링 팬의 동작하나와 주변부 쿨링을 위한 방열핀 구조가 불리해 방열판을 장착하고도 높은 온도를 기록했다.

 


자체 PCB 이용한 지포스 GTS 450 케이스 내부온도 비교

기본 PCB에 장착된 쿨링 솔루션별 쿨링 성능은 동작 RPM이 높고 메모리나 전원부는 간접 쿨링 효율과 듀얼 팬구조가 전반적으로 유리했는데 케이스 내부온도는 측면 250mm와 전면, 후면, 상단 후면 120mm를 모두 동작한 결과 레퍼런스가 약간 높은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비슷한 2-3도 내외의 온도차이를 기록했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허접프로그래머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10-15 19:25/ 신고
개인적으로 쿨맥스 쿨러의 디자인을 좋아합니다. 성능상으로도 쿨맥스 쿨러들의 성능이 나쁘지 않은 듯 하니 저라면 쿨맥스 쿨러를 선택하겠네요...^^;
폭탄매도 actium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10-15 21:24/ 신고
컬러풀 제품에 적용된 쿨러가 생각보다 성능이 좋네요. 오호...
newstar new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10-16 13:23/ 신고
조건이 서로 틀리고 최적값이 다 틀려서 우선순위를 매기기힘들어보이네요. 근데도 기가바이트 쿨러는 대체적으로 좋지 못하네요.
sk8er_8oi / 10-10-16 19:01/ 신고
레퍼런스 보드에 전반적으로 우수한 쿨링 능력..
칼라풀이 진리네요... WOW..
로또만이살길.. vobavob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10-16 19:27/ 신고
싸이클론도 성능 좋네요 ㅎㅎ
끓여만든배 / 10-10-16 19:32/ 신고
컬러풀 제품이 의외로 성능이 좋네요.
nomasume kamiru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10-17 5:21/ 신고
기가바이트의 먼지제거 아이디어는 좋아보이는데, 쿨링 능력은 좀 아쉽네요.
팝맨 / 10-10-17 10:30/ 신고
쿨러가 가지각색이라 각자 선호하는 취향에 맞게 골라쓸 수가 있겠군요.
Meho ho594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10-17 10:58/ 신고
예전엔 잘만 쿨러라고 하면 무조건 성능이 최고축에 속했는데 요즘은 각 유통사에 맞춘 쿨러가 더 뛰어나 보이네요. 물론 RPM을 조금 높인것같긴 하지만...
겨울이좋아 / 10-10-18 10:13/ 신고
사이클론이 의외로 좋은 성능을 보여주네요 전원부온도도 낮고 좋은데요.
시야비야 / 10-11-23 8:47/ 신고
제로썸이 성능이 많이 좋네요 근대 역시나 VGA 쿨러는 소음이 대채적으로 다 높네요 그래서 GPU가 풀로드 시에도 자동으로는 쿨러100%돌아가게 하지않는 모양이에요 수동으로 100%주면 소음이 음 사무실도아니고 가정집에서 50넘어가면 귀에 거슬리죠 ^^
설레임 kkp6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12-17 20:07/ 신고
이엠텍 제품도 좋죠.. 칼라풀 제품은 생각보다 상당히 좋네요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10/15] 펀키스, 31g 초경량 마그네슘 합금 8K 게이밍 마우스 WLMouse Beast Miao 시리즈 출시  
[10/15] Razer, 생산성과 게이밍 동시에 잡은 3종 키보드 마우스 출시  
[10/15] 디아블로 IV, 2025 세계 접근성 인식의 날 기념해 누구나 손쉽게 성역을 탐험하도록 돕는 기능 소개하는 영상 공개  
[10/15] 마우저, 첨단 비전 AI 기술을 지원하는 르네사스의 RZ/V2N 마이크로프로세서 공급  
[10/15] MSI, AI 게이밍 모니터 분야 선도  
[10/15] 삼성전자, AI 기능 탑재한 'AI 통버블 세탁기' 출시  
[10/15] 라이엇 게임즈, 발로란트 출시 5주년 기념 ‘자선 // V25 세트‘ 출시  
[10/15]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90 FE 둠 더 다크 에이지스 에디션 공개  
[10/15] 소니 PS5 가격 세 번째 인상 카드 꺼내나?  
[10/15] 넷마블 신작 세븐나이츠 리버스, CU와 제휴 이벤트 실시  
[10/15] 소리샵, 파이널(Final)의 프리미엄 유선 이어폰 S5000 출시  
[10/15] 웨스턴디지털, 인그라시스와 AI 워크로드 대응 위해 고성능 패브릭 연결 분산형 스토리지 공동 개발  
[10/15] 로보락 S9 MaxV Ultra, GS홈쇼핑 판타지에스 특집 방송 진행  
[10/15] 플레인비트-나루씨큐리티, 디펜더 서밋 2025 개최  
[10/15] 넥슨, 메이플스토리 2025 여름 ‘어셈블’ 쇼케이스 6월 7일 개최  
[10/15] ‘고출력 파워의 새 기준’ 마이크로닉스, WIZMAX G 80PLUS 골드 ATX 3.1 시리즈 출시  
[10/15] 넥슨 ‘FC 모바일’, Apple과 함께 오프라인 이벤트 ‘Today At Apple’ 진행!  
[10/15] 스텔라 블레이드 PC 버전 출시일과 사양 공식 발표  
[10/15] 에픽게임즈 스토어, 에픽 메가 세일 2025 시작  
[10/15] 하만, 넥쏘에 채택된 오디오 바이 뱅앤올룹슨 사운드 시스템을 통해 동급 최고 수준의 프리미엄 청취 경험 선사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