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의 의견 보기 |
|
|
able38 (ID) / 06-03-30 0:47/
신고
|
|
기존 사용자들을 위한 제품이라고 보는 것 보다는
새로이 PCI-E 로 갈아타거나 새로이 시스템을 만들
사용자를 위한 제품이라고 보는게 조금은 더 현실적일것 같네요..
저도 4년째 AGP를 고수하고 있지만 누군가 다른 사람의
시스템을 만들어줘야 한다면 주저없이 선택할 수는
있을것 같네요..^^;
|
|
|
|
|
milkblue (ID)
/ 06-03-30 1:16/
신고
|
|
쿨러를 채용한 모델도 나오더군요. ^^
확실히 6600GT를 대체하는 모델이네요.
ATI의 X1600 모델은 점점 설 자리가;;; 빨리 R560/R570 모델들이 나와야 할듯.. R560은 X1700 정도로 나오겠죠;; ㅎ
|
|
|
|
|
korstds (ID)
/ 06-03-30 1:26/
신고
|
|
7600 제품을 사용한다면 GT보다는 오히려 이 제품이 더 나아보이는거 같더군요.. GT는 가격이 너무 비싼감이 있네요/.
|
|
|
|
|
naturalm (ID) / 06-03-30 2:18/
신고
|
|
가격이 제일 문제군요.
6600gt가 10만 밑으로 가면 좋겠는데....
|
|
|
|
|
postdada (ID)
/ 06-03-30 2:19/
신고
|
|
한국시장에서,
내장그래픽과 AGP와 PCI-E 셋중에서 어떤 것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을까요?
그냥 이 기사보다가 뜬금없이 궁금해지네요.
|
|
|
|
|
joel83 (ID)
/ 06-03-30 9:31/
신고
|
|
폭풍전야님 말마따나 통풍만 적당히 되는 구조라면
주저없이 선택할 제품이군요.
요새 7300LE도 그렇고 시장 자체를 뒤집어 엎어버리려는
Nvidia의 의지가 돋보이는거 같습니다.
그나저나 크파보드에 지포스 듀얼로 구성하면 어떻죠?;
인증을 안해줬으니 당연히 SLI는 안될테고
그에 상응하는 무언가를 할수는 있나요?;
(너무 쌩뚱맞나 ㅡ.ㅡ;)
|
|
|
|
|
metdol (ID)
/ 06-03-30 17:13/
신고
|
|
레퍼런스 제품보다는 앞으로 나올 변종제품들이 기대가 되네요...
|
|
|
|
|
northwindv (ID)
/ 06-03-30 18:00/
신고
|
|
7300GS 좋은 제품은 확실한것 같네요..X1600XT는 안되도 PRO와는 비슷하지 않을까요..다음 업글에 X1600으로 생각했는데 호환성도 문제있고..그럼 7600GT나 GS가 좋은 선택이 될듯 하네요..
|
|
|
|
|
kal9 (ID) / 06-03-31 0:51/
신고
|
|
GS가 출현했군요^^
기대됩니다.
x1600.....미워할테얏...ㅜ_ㅜ
1600 256bit제품에 대한 루머(?)를 본것 같은데
사실 이라면 7600제품군과 경쟁하게 될것 같네요^^
|
|
|
|
|
chdsin (ID)
/ 06-03-31 1:06/
신고
|
|
오타수정이..마지막 6편에.."7600GT가 6800GS 대체하고 7600GS는 6600GT를 대체"로 수정이.^^;
|
|
|
|
|
hyeonsig (ID) / 06-03-31 6:04/
신고
|
|
세계적 공통사항인 내장이 제일 많이 사용되겠지요.
요즘 내장은 왠만한 케임을 쉽게 돌리니....
|
|
|
|
|
kjw8211 (ID) / 06-03-31 14:18/
신고
|
|
와우 좋다
저럴거면 팬은 왜 없앴데??
7600GT 지르고 싶오
|
|
|
|
|
xenoer (ID) / 06-03-31 15:40/
신고
|
|
7600GS 변종에 올인~!!
|
|
|
|
|
jasper (ID) / 06-03-31 20:46/
신고
|
|
뭔가 큰 착오가 있는 듯...
7800GT(400MHz)53W -> 7600 GT 로 오는 과정에서
7600 GT는 이미 저발열 저전력모델로 7600 GT의
소비전력은 40W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이번 7600 GT -> 7600 GS 로 오면서 40W -> 32W로
더욱 발열과 소비전력이 줄어들었구요.
참고로
7800GTX(600/1800) - 108W
7900GTX(690/1760) - 131W
X1800 - 103W, X1900XTX - 124W
FX5700 - 25W, ATi9550 - 17W 정도입니다.
|
|
|
|
|
jasper (ID) / 06-03-31 20:52/
신고
|
|
7800GT(400MHz)가 소비전력이 53W인데
7600GT가 67W라면 앞뒤가 안 맞겠죠.
다시 자세한 검토 바랍니다.
|
|
|
|
|
ocix (ID) / 06-04-01 0:11/
신고
|
|
7600GS 그정도 성능에 무소음이라는 강점이 더해져서 상당히 메리트 있어보입니다
|
|
|
|
|
pg1313 (ID)
/ 06-04-01 2:40/
신고
|
|
빨리 변종이 나오길..
그러나, 난 아직 AGP라..
6600GT로 1-2년은 더 버텨야 할듯..후
|
|
|
|
|
jin2006 (ID) / 06-04-01 8:53/
신고
|
|
7600 시리즈가 대세인가...
|
|
|
|
|
wineagle (ID) / 06-04-01 10:40/
신고
|
|
무소음이 맘에 드는군요. 제컴에도 그래픽카드 쿨러소리가 제일커서 무소음이면 일단 70점 먹구들어가네요.
|
|
|
|
|
shc572 (ID)
/ 06-04-01 14:06/
신고
|
|
전 아직 MX440입니다..ㅋ
|
|
|
|
|
sindong92 (ID) / 06-04-01 14:26/
신고
|
|
무소음이라는 점이 제일 맘에 드네요. 성능도 괜찮은것 같고...
|
|
|
|
|
akuma78 (ID) / 06-04-02 12:38/
신고
|
|
6600은 이제 과거가 되겠군요.. 참 오래 대세였는데.
|
|
|
|
|
valkyrie (ID)
/ 06-04-02 13:01/
신고
|
|
6600 시리즈가 이제 물러날 때가 된 듯 하군요.
다만 히트씽크만으로 발열을 완전히 막을 수 없다는 것은 조금 의외....
|
|
|
|
|
kss8569 (ID)
/ 06-04-02 16:34/
신고
|
|
온도가 좀있군요.
|
|
|
|
|
zooc80 (ID) / 06-04-02 17:16/
신고
|
|
가격이 정말 괜찮아 보이네요~! 시장이 7600GT로
넘어가기전에 인기를 끌 수 있는 제품이네요~!
|
|
|
|
|
diskfull (ID) / 06-04-02 18:59/
신고
|
|
방열판 내부의 히트파이프가 있었군요.
그래도 열이 좀 날텐데.
|
|
|
|
|
ronaya (ID)
/ 06-04-02 20:46/
신고
|
|
열이 많이 난다고 하던데요... 흠... 구입할려다가 말았는뎅.
|
|
|
|
|
moonwolf (ID)
/ 06-04-02 22:31/
신고
|
|
방열판의 저 글자 디자인이 실제 방열판의 미치는 효과는 없겠지만, 확실히 눈은 즐겁군요.^^;;
|
|
|
|
|
silent7a (ID) / 06-04-03 0:44/
신고
|
|
케이스 내부 통풍이 제대로 안되면 온도가 아이들 56~8도 최대 88~90까지 나옵니다.
케이스 옆판을 제거하고 나온 온도입니다.
케이스 앞쪽에 흡기팬을 안달고 사용했다가 저소음으로 한번 달아보니 방열판에 바람이 살짝 닿는데도 아이들 46~8도 최대 62~66도 나옵니다.
90도 나와도 게임중 다운 되지는 않았습니다.
|
|
|
|
|
폭풍전야 (ID)
/ 06-04-04 11:14/
신고
|
|
리뷰어입니다.
리뷰에 명시된 GeForce 7600 GT의 소비전력은 nVIDIA Guide의 스펙에 나온 최대 소비 전력(Peak Power Consumption)을 기준으로 한 것입니다. 7600 GS의 32W 역시 최대 소비 전력 기준이기 때문에 평균 소비 전력은 이보다 낮을 것입니다.
jasper님이 명시하신 것이 최대 소비전력인지 실측정으로 나온 소비전력인지 모르겠지만, nVIDIA에서 배포하는 Reviewer's Guide에 명시된 각 그래픽 카드의 최대 소비 전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GeForce 7900 GTX - 120W
GeForce 7900 GT - 82W
GeForce 7800 GTX 512MB - 120W
GeForce 7800 GTX - 100W
GeForce 7800 GT - 85W
GeForce 7600 GT - 67W
GeForce 7600 GS - 32W
좋은 하루 되세요.
|
|
|
|
|
Kudo / 06-04-06 1:16/
신고
|
|
7600GS 의 진가는 역시 6600처럼 변종에서 드러납니다.
최근 중국에서는 코어 575MHz/메모리 1600MHz 256MB의, 7600GT 변종을 뛰어넘는 엄청난 7600GS 변종이 출시되었는데, 이놈의 가격은 단지 1299 위안입니다.
물론, 중국에서 7600GE로 명명되었던 500/1400 128M 버전이 1099위안이었었기 때문에 국내 출시가 가능할 경우 가격면에서 약간 걱정이 되긴 하지만, 기본성능이 7600GT 변종(575/1500) 보다도 앞서는 만큼 그 메리트는 적어도 성능상에서는 충분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
|
|
|
|
shc572 (ID)
/ 06-04-09 1:40/
신고
|
|
가격이 너무 착하네요..^^;
|
|
|
|
|
minkever / 06-04-15 11:12/
신고
|
|
|
|
|
|
|
minkever / 06-04-15 11:12/
신고
|
|
|
|
|
|
|
minkever / 06-04-15 11:12/
신고
|
|
|
|
|
|
|
minkever (ID) / 06-04-15 12:54/
신고
|
|
음.. 의견하나 쓰려는데 갑자기 탁탁탁 클릭되더니 화면 멈춰있다가 의견이 세개나 올라갔네요. 지우고 싶은데 능력이 없군요 -0-; 죄송합니다;; 본의아니게;; 아무튼 7600GS 레퍼런스 제품은 아직까지는 큰 메리트가 없다고 봅니다. 변종들이 쏟아지고 있으니 아직 참고 기다려야 할 때라고 본다는 것이죠.
|
|
|
|
|
ryangedu (ID) / 06-04-15 21:44/
신고
|
|
방열판이 멋진데요^^
|
|
|
|
|
pksps (ID) / 06-04-15 22:01/
신고
|
|
무소음 방열판이 멋진 제품이네요 무소음 시스템을 구성하시려는분들이 오버할리는 없을것같고..ㅎㅎ
|
|
|
|
|
kado (ID)
/ 06-04-16 0:19/
신고
|
|
오 좋은데요
|
|
|
|
|
blasty (ID)
/ 06-04-16 10:04/
신고
|
|
저를 비롯한 대부분의 분들이 변종을 기다리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무소음 원하시는 분들에겐 이 카드도 매력이 있을거구요
|
|
|
|
|
pksps (ID) / 06-04-16 22:20/
신고
|
|
GS제품은 아무래도 변종이 대세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ㅎㅎ
|
|
|
|
|
kuki63 (ID) / 06-04-17 11:16/
신고
|
|
방열판만 있는데 멋지군요. 그래픽카드가 저정도로 전기먹는줄 몰랐는데 새로운 정보 알고 가네요. 무섭다..전기세 ^^*
|
|
|
|
|
ljhhjw (ID)
/ 06-04-20 22:55/
신고
|
|
무소음 원하시는 분은 좋다고 생각되나
씨퓨나 파워가 무소음 아니면 별 의미는 없을듯 합니다
그것보단 초저소음의 성능 좋은 쿨러가..
|
|
|
|
|
jenadu (ID) / 06-04-22 22:06/
신고
|
|
최대 소비 전력이 상당히 낮군요^^
|
|
|
|
|
jenjinman (ID)
/ 06-04-23 22:25/
신고
|
|
7600GT와 7600GS의 최대 전압차가 많이 나는군요. 가격대 성능비에서 GS제품의 경쟁력도 뛰어난것 같네요.
|
|
|
|
|
gimjeong (ID) / 06-04-24 23:59/
신고
|
|
500/1400 모델이 13만원대라서
가격하락 없이는 일부 무소음유저에게만 어필할듯
|
|
|
|
|
sky0734 (ID)
/ 06-04-29 0:52/
신고
|
|
무소음이라 좋네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