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Pure Video로 더 강해진다! OnAir USB HDTV GT

2006-05-03 01:00
이수원 수석기자 swlee@bodnara.co.kr

6. 기본 디코더 외에 Pure Video 디코더로 파워업!



대부분의 TV 수신 카드들은 전용 디코딩 코덱을 사용한다. TV 프로그램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코덱이기 때문에 특정 코덱에 최적화하여 내놓기 때문이다. OnAir USB HDTV GT 역시 InterVideo사의 디코더 코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위 제품인 OnAir HDTV Creator의 경우 nVIDIA의 PureVideo 디코더를 사용한다. nVIDIA의 PureVideo는 성능이 뛰어나고 기능도 좋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HDTV 수신 카드에 이 코덱을 집어넣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경쟁사 제품과의 가격 차이가 벌어지기 때문이다.

 

TV 시청시 따로 코덱 정보를 표시해주지는 못하지만 환경 설정 메뉴에서 오디오 항목의 고급 설정에서 코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OnAir USB HDTV GT에는 기본 디코더로 InterVideo 코덱이 사용된다

 

nVIDIA Pure Video 디코더를 설치하게 되면 프로그램에서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Pure Video 디코더를 적용한다. 다만 트레이 아이콘으로 Pure Video가 뜨기는 하지만 디코더 정보는 보여지지 않으며, 버전 정보와 환경 설정의 오디오 고급 설정에서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OnAir USB HDTV GT를 설치하고 CPU 점유율 및 TV 프로그램 사용 테스트를 실시한 시스템 사양은 아래와 같다

CPU

Intel Pentium4 630 (3.0GHz)

Mainboard

nForce4 SLI x16 Intel Edition

RAM

Corsair DDR2 667 1GB (512MB x 2EA)

HDD

Seagate SATA 120GB 7200 RPM

ODD

ASUS 16X DVD±RW  DL

 

OS

Windows XP SP2

DirectX

DirectX 9.0c

Chipset Patch

nForce4 Intel v8.22

VGA Driver

nVIDIA : Forceware 84.56 Beta

Memory Setting

CL5-5-5-14 / 듀얼채널 메모리 구성

 

CPU 점유율 테스트

OnAir USB HDTV GT는 하드웨어 디코딩 방식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디코딩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HDTV 수신에 있어서 PC 자원을 많이 필요로 한다. 그래픽 카드가 DxVA 가속을 지원하는 경우 CPU 점유율을 줄일 수 있다. DxVA 가속 기능은 ATI는 Radeon 7200 이상, nVIDIA는 GeForce4 MX 440 이상(GeForce 4 Ti는 지원 안함) 제품부터 적용되며 DxVA를 지원하는 PC는 Pentium3 800MHz정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DxVA를 지원하지 않으면 최소 Pentium4 1.6GHz 이상을 권장하고 있다.

 

물론 DxVA를 지원하지 않더라도 듀얼 코어 CPU나 하이퍼 스레딩을 지원하면 CPU 점유율을 낮출 수 있다. 듀얼 코어에 DxVA 가속 기능까지 사용하면 HDTV를 보면서 다른 작업을 해도 괜찮을 정도로 점유율이 낮다.

 

최신 버전인 Pure Video 디코더 1.02.196을 설치한 테스트 결과는 DxVA와 HT를 모두 적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기본 디코더인 InterVideo 디코더 사용 때보다 CPU 점유율이 늘어났다. InterVideo에 비해 기능이나 늘어났기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보이지만... 과연 화질 향상이 있을까?

 



위의 이미지는 nVIDIA Pure Video 샘플 동영상 중 Spatial-Temporal De-Interacing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다. 원본 영상에서 글자 부분에 계단 현상이 생기는데 Pure Video를 사용하면 이 부분을 없애준다. 하지만 OnAir USB HDTV GT에서는 InterVideo 코덱으로도 똑같은 디인터레이스 처리를 하고 있어 Pure Video와 화질 부분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nVIDIA의 Pure Video 샘플 영상 중에는 Bad Edit Correction과 Inverse Telecine 기능을 테스트하는 영상도 들어있으나 이들은 OnAir TV 프로그램에서는 재생되지 않았다)

 

사실 USB HDTV GT에 Pure Video 디코더를 사용함으로써 얻는 이득은 CPU 점유율이나 화질 향상보다는 기능의 추가에 있다. Pure Video 디코더를 통해서만 5.1채널 사운드 디코딩 출력과 Trick Play 기능을 쓸 수 있기 때문이다. Trick Play는 녹화된 파일이나 타임 쉬프트를 사용할 때 2~3배속 고속 탐색을 할 수 있는 기능으로 Pure Video 디코더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고속 탐색이 아닌 건너뛰기로 동작하게 된다.

하지만 Pure Video 디코더는 상용 코덱으로 InterVideo나 CyberLink의 디코더보다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온에어솔루션에서도 상위 제품인 HDTV Creator에는 Pure Video 디코더를 넣었으나 가격 문제로 GT 버전에는 쓰지 않고 있다.

 

온에어솔루션에서는 USB HDTV GT 유저들을 위해 HDTV Creator와 마찬가지로 돌비 디지털 서라운드 사운드 출력과 5.1채널 디코딩 출력, 그리고 Trick Play 기능을 쓸 수 있는 Pure Video 디코더가 들어간 디코더 업그레이드 KIT을 판매하고 있다.

업그레이드 KIT라고 해도 Pure Video 디코더가 기본으로 들어가는 HDTV Creator용 CD를 판매하는 것으로, 온에어솔루션에서 nVIDIA에게 OEM용으로 구입한 디코더를 제공하는 것이라 nVIDIA의 홈페이지에서 별도로 Pure Video 디코더를 구입하는 것보다는 저렴하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pky9472 (ID) / 06-05-03 1:05/ 신고
헉스...자기전에 잠시 들렸더니 새로 올라오다니...새벽1시까지 잠들 안자시고 뭐하시는거에요?
milkblue (ID)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3 2:20/ 신고
마지막 말이 확실히 인상적이네요.
DMB 보다는 USB HDTV 가 노트북이나 PC 에 어울린다는 말인듯... ㅋ 제멋대로 해석 ㅋㅋ
jin2006 (ID) / 06-05-03 2:22/ 신고
어쨌든 초~ 관심 중입니다.
able38 (ID) / 06-05-03 3:41/ 신고
제 방에도 TV는 없는 관계로 관심은 굴뚝같지만

지방에는 아직 HD방송이 안나오는 데가 많아서리..orz..-_-;;
fourbitz (ID) / 06-05-03 7:21/ 신고
티비카드는 아주 필요악이죠... 드라이버 몇번씩 설치해보신분들이라면 아실거에요,,^^

이제품은 참 신기하게 생겼네요.실제크기가 어느정도일지..
pg1313 (ID) pg131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3 8:57/ 신고
온에어 다시 일어서는 것 인가요?
요즘 TV수신카드 시장이 워낙 포화상태라..
HDTV수신가능지역인지 서포트하는 서비스도 같이 지원되었으면..
bluemun (ID) bluem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3 9:29/ 신고
온에어가 예전 TV카드 시장에서 유명했죠.
HDTV USB 수신기는 몇 년만에 나오는 제품이라 기대됩니다.
kjw8211 (ID) / 06-05-03 11:08/ 신고
하나 사고 싶다..
valkyrie (ID)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3 13:19/ 신고
으음... 온에어의 간만에 보는 새 제품이군요...
gt75 (ID) gt7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3 14:01/ 신고
퓨어비디오는 nVidia 에서 무료로 공개하는게 옳다는 생각입니다.
하드웨어 팔때 광고했던 기능들을 사용하는데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는것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
kndol (ID) kndol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3 15:31/ 신고
이전 온에어를 만들던 사람과 셈틀은 망하고 그 중에 HDTV 부문만 다른 사람이 인수하는 형식으로 해서 새로 만든 회사가 온에어 솔루션입니다.
saratoga (ID) / 06-05-03 15:51/ 신고
서울사는데도 주위건물에 막혀 난시청지역이라 패스 ^^(근데 티비시청료는 다받아가 ㅜ)
kuki63 (ID) / 06-05-03 16:53/ 신고
멋진 제품이네요. 요번에 컴퓨터 업하면 하나 장만하고 싶은데..ㅠㅠ
spinball (ID) / 06-05-03 19:09/ 신고
현재 사용중인 멋진 제품입니다.
노오버 옵테론 165로 점유율 17%를 안넘기는것도
괜찮고...
다만 채널 편집이 쪼끔 난감합니다. ㅡ,.ㅡ;;
그것만 고치면 훨씬 나아지겠네요
babopj (ID) / 06-05-03 19:53/ 신고
음... 제품은 이쁘게 생겼네요. ^^
tenthbear (ID) / 06-05-03 21:47/ 신고
외관도 좋고 성능도 좋고... 인터페이스랑 가격만...-3-
김씨 / 06-05-03 21:51/ 신고
올초에 USB HDTV 수신장치로 바꿨는데 지방도 이젠 문제없이 수신되더군요. 전북 전주임..
jung21 (ID) / 06-05-03 23:12/ 신고
좋은 제품입니다 이제하나 구입할 시기인데 ㅠㅠ
arestoc (ID) / 06-05-04 0:11/ 신고
좋지만 가격이...
circlet (ID) / 06-05-04 0:11/ 신고
근데 크기가 좀 큰건 아닌가요?
korstds (ID) korstd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4 1:10/ 신고
이제는 컴퓨터를 컴퓨터로만 사용하는게 아니라 티비로도 사용하기 때문에 이런 제품이 필수부품중의 하나가 되는거 같네요/.
wee4986 (ID) / 06-05-04 10:13/ 신고
카드형 제품에 대한 구입을 고려중이였는데....

이 제품 땡기네요~
jjiare02 (ID) jjiare0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4 14:03/ 신고
필요한 사람만 쓰면되죠.. 이미 이 제품은 반응이 좋은걸고 알고 있습니다.
hojin93 (ID) / 06-05-04 15:48/ 신고
TV on/off 기능이 따로 없어 아쉽네요.
월드컵같은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새벽경기가 많을텐데 on/off기능이 있으면 따로 컴퓨터를 일일이 켜지 않아도 될텐데....
그래도 컴퓨터화면으로 HD방송을 볼수있다는 메리트가 있어 좋네요.^^
yonkers (ID) / 06-05-04 17:09/ 신고
써보신 분들의 평이 좋아서 HD방송의 유혹이 자꾸 들곤 합니다. 한번 사용하고 싶어지네요.
epician (ID) epici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4 18:03/ 신고
월드컵을 대비하야 디비코 PCI 타입으로 하나 장만할 생각입니다.ㅎㅎ
y189si / 06-05-04 18:07/ 신고
좋군요. 저 업그레이드 킷을 사야 5.1채널을 지원하는군요. 음...
diskfull (ID) / 06-05-04 18:33/ 신고
일단 온에서 제품이나 프로그램이나 제품 안정성은 믿을만 할것 같군요. 과거 명성이 있으니
minnesotan (ID) / 06-05-04 19:04/ 신고
월드컵을 맞이하여 뽐뿌받는 중..
김씨 / 06-05-04 19:57/ 신고
김씨 / 06-05-04 19:57/ 신고
ceoh (ID) / 06-05-04 22:29/ 신고
TV카드... 매우 끌리네요^^
naturalm (ID) / 06-05-04 23:35/ 신고
온에어 좋습니다.
doohan500 (ID) / 06-05-05 1:14/ 신고
티비카드끌립니다
공구놓쳐서... 안타깝네요
어디서 공구안하나?
자취하는 사람에겐 딱~ 인듯합니다
wineagle (ID) / 06-05-05 10:09/ 신고
여러모로 괜찮은 제품이네요.
hyeonsig (ID) / 06-05-05 15:01/ 신고
놋북용이라기 보다는 대탑용으로 딱 좋겠내요. ^^
metdol (ID) metdol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5 16:57/ 신고
5세대 VBS튜너를 채택한 부분이 눈에 띄네요 확실히 수신율에있어 좋은 성능을 보여줄 제품 같습니다.
또한 유료이긴 하지만 퓨처비디오도 지원하고 있는점과 HDTV의 단점인 채널변경의 문제점을 미리 확인후 변경 할 수 있는기능이 좋와 보이네요
인터페이스는 지금까지 나온 타회사제품들보다는 직관적이어서 너무 편해 보이는군요
오랜만에 출시되는 제품인만큼 많은부분에서 세세하게 신경쓴 흔적이 보이는 제품이 아닌가 싶네요
jenadu (ID) / 06-05-05 18:02/ 신고
HDTV가 외장형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저렴하네요^^
ronaya (ID) ronay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5 19:12/ 신고
요즘 HDTV가 참 끌리는뎅.. 월드컵 시작전에 하나 구입해야하는데... ^^;
myloveu00 (ID) myloveu0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6 7:52/ 신고
예전의 명성을 이어갈수 있을런지 궁금하네요.^^
joel83 (ID) joel8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6 9:42/ 신고
같은 칩셋을 쓰고도 현저한 화질의 차이는 분명 사샘의 기술력이라고 해야하겠죠. 이번 HD는 꼭 성공하길 빕니다
behindboy (ID) / 06-05-06 10:00/ 신고
수신카드 물색 중인데 내장은 그랬는데..
scentwind (ID) / 06-05-06 14:07/ 신고
pure디코드자체는 공개해도 되지만 음성부분의 코덱이 유료라 어쩔수 없다고 하던데요.. 아무튼 USB의 간편함으로 HD를 본다라... 좋군요
moonwolf (ID) moonwolf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6 18:53/ 신고
HDTV 외장형의 가격도 점점 떨어져 PCI슬롯에 꼽아야 내장형이 시스템과 트러블을 갖게 되는 사용자들에겐 좋은 대안이 되어주는군요.
digiri19 (ID) / 06-05-07 6:05/ 신고
정말 좋은 제품 같군요.
kimjihyunkr (ID) / 06-05-07 12:39/ 신고
저도 월드컵 특수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jenjinman (ID) jenjinm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7 13:19/ 신고
외장형이지만 크기도 작고 HDTV까지 괜찮은 제품이네요.
ryangedu (ID) / 06-05-07 17:55/ 신고
노트북 사용자들에게 특히 좋겠네요.
kado (ID) kad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7 18:24/ 신고
수신율만 좋다면은 DMB보다 훨낳지요
월드컵인데 이걸 가지면 좋겟군
ljhhjw (ID) ljhhjw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7 19:29/ 신고
수신카드 시장이 그리 큰 시장은 아니지 않나요?
퓨어비디오 값이 싸면 좋은데...
junsclub (ID) / 06-05-07 19:49/ 신고
한번 써보고 싶네요
eva3ho (ID) / 06-05-07 21:42/ 신고
정말 끌리는 제품이네요~
blasty (ID) blast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7 22:14/ 신고
다양한 소스의 수신이 가능하군요^^
balkkarack (ID) / 06-05-08 0:31/ 신고
tv 수신카드가 의외로 비싸더군요 ^^;
요놈 하나만 있으면 tv 보러 거실로 갈 필요가 없겠네요 ㅎㅎ
zwood (ID) zwoo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8 9:52/ 신고
HDTV 카드 역시 끌리는 제품이네요.
cman96 (ID) / 06-05-08 10:04/ 신고
노트북에 최적의 제품이 아닌가 합니다. 끌리는군요
yuhwa (ID) yuhw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8 17:13/ 신고
월드컵때 사용하면 좋겠다.
makesound (ID) / 06-05-08 22:23/ 신고
아~~~~슬슬 하나 달아 볼까 생각도 드는 제품이긴 한데~~~~집에 HDTV가 정확히 되는지 아직 알수 없어서리...ㅡ.ㅡ;
neo38317 (ID) / 06-05-08 22:55/ 신고
이거 공구 또 않하나요 지금 살려고 생각중이긴한데.. 파워온오프기능있는 내장형도 나왔으면 좋겠는데.
indy815 (ID) / 06-05-08 23:41/ 신고
그럼 음성부만 제외하고 공개하면 될텐데 그냥 핑계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어쨌든 퓨어 비디오 코덱을 싼 값에 넣으면 이득일 수도 있지만, 아무래도 그 코덱은 엔비댜만 지원해서 넣을 이유가 좀 약하죠. 두루 쓰일 수 있다면 넣어서 가격 올라도 별로 걱정 안 해도 되는데 역시 가격이 약간 상승하는 것보다는 전체를 다 지원 못한다는 것이 요인이라는 게 제 생각입니다.
ssarang (ID) / 06-05-09 9:19/ 신고
USB 외장형 HDTV로 텔레비젼 보고싶다..보고싶다 ^^;
비디오코덱넣고 높은가격보다야
빼고 가격낮추는게 더 좋은것 같구요
파워온기능추가되면 더 좋겠고, USB가 보드 칩셋 특성을 탄다는 말이 다른 사이트에 보이는군요. (값싼 칩셋탓이란 말도 있고 ^^)
모냥새는 정말 깔끔하네요.
기능면에서도 사용하기에 무난한 제품같습니다.
앞으로, 사람셈틀때처럼 내공을 보여줄지 기대해봅니다.
asica (ID) / 06-05-09 9:42/ 신고
이 리뷰는 기본적인 문제가 있군요.
필자의 테스트 사양이 안나와 있는데 퓨어비디오 기술은 지포스 6600이상그래픽 카드를 써야만 제성능이 나오는데 그래픽 카드에 대한 언급이 없네요.
타 리뷰를 보면 퓨어비디오 디코더 이용시 시스템 점유율이 20%정도 낮은걸로 나오더군요.
그리고 화질은 사실 사이버링크디코더를 쓴 시그마제품 인터비디오 디코더 그리고 자체 고덱을쓴 디비코를 비교해봐도 hdtv의 화질은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almashy (ID) / 06-05-09 11:19/ 신고
HDTV카드는 성능은 다 거기서 거기
사용편리성이 중요한데
퓨어비디오야 온에어 측에서 싼값에 공급하고 있고
그리고 어둠의 경로로도 이용할 방법이야 많잖아
퓨어비디오의 존재 의미가 CPU 점유율 이런건
별 차이 안나고
오로지 5.1 채널을 아날로그 5.1 카드로도
들을 수 있는데 있으니
대부분 5.1 채널 구현을 안하는 현실에선
필요한 사람만 구해서 설치하는게 옳을듯
hellogang (ID) / 06-05-09 12:30/ 신고
편하게 설치 후 바로 사용하고 싶은 사용자들을 위해서 가격이 조금 오르더라도 기본적인 기능들은
들어가는것도 좋지 않을까요?
arsene (ID) / 06-05-09 16:27/ 신고
확실히 좋은 제품이긴 합니다만 예전 아날로그 시절의 온에어만큼의 포스는 보여주지 못하는 듯 하네요.
TV 카드는 하드웨어 자체보다는 소프트웨어와 사후지원이 구매를 좌우하는 만큼 그런 면에서 더 많은 발전이 있었으면 합니다.
mysteria812 (ID) / 06-05-09 17:24/ 신고
좋아보이는데요~
ktk7 (ID) ktk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9 19:00/ 신고
이런거 있음 좋겠군요...
마음에 들긴 하지만서도
섬듯 손이 안간가는...
경제적 여유가...
yoonys98 (ID) / 06-05-09 22:44/ 신고
TV수신카드가 필요하긴한데
잔고가 없어서...
97095195 (ID) / 06-05-10 8:37/ 신고
예전에 USB형식 제품을 사용해 본적이 있는데,상당히 높은 가격과 높은 CPU 점유율로 고생했던적이 있다.
이번에는 그런 모든 부분이 훨씬 좋은 기능을 가진 제품이였으면 한다.
dondy (ID) / 06-05-10 12:25/ 신고
TV수신카드가 필요한데.....
neoneo (ID) / 06-05-10 16:43/ 신고
외장형이라 슬롯 하나 안먹어서 좋을듯하네요.
colus03 (ID) / 06-05-10 17:09/ 신고
전원을 USB에서 받아쓰는 것이 맘에 드네요
저 외장형에다 전원아답터까지 합치면 배보다 배꼽이 더 큰상황이 ㅠㅠ
kbs072 (ID) kbs07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10 21:29/ 신고
괜찮네요..
masasi (ID) masasi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10 21:48/ 신고
기존 제품들보다 저렴해진 가격과
작아진 사이즈, 추가전원이 없어진게 좋네요.
반면에 하드웨어 인코딩과 독특한 구성이 사라지고
다른 제품들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성능상으로는 차이가 별로 없을 것 같습니다.
ytsfft (ID) ytsfft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10 23:07/ 신고
월드컵이 코앞..관심200%!!!
rayn (ID) / 06-05-11 0:18/ 신고
월드컵 gogo
godanhan (ID) / 06-05-11 13:50/ 신고
월드컵을 앞두고 hdtv가 봇물을 이루는군요.. ㅎㅎ
온에어의 명성이야 예전부터 유명한것이니 gt도 믿음이 가는군요..
emaeull (ID) emaeull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13 22:57/ 신고
좋은 제품이네요...월드컵을 위하여..
alphonse (ID) alphons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14 22:35/ 신고
안정성도 중요하고 그에 못지 않게 가격도 어느정도 매력적이어야 하죠
sky0734 (ID) sky0734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14 23:22/ 신고
괜찮아 보이네요...
pksps (ID) / 06-05-20 20:23/ 신고
상당히 맘에 드는제품이네요 디자인도 깔끔하고 기능도 좋고..ㅎㅎ
scoot (ID) scoot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21 21:50/ 신고
맘에드는 제품인데..
그런데, 모니터와 이 장치만 있어도 시청이 가능한가요?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5/03] 앱코, 진동과 가상 7.1 채널을 탑재한 게이밍 헤드셋 ‘N999’ 출시  
[05/03] MSI, 컴퓨텍스 2025서 AI 노트북 핸드헬드 신제품 공개  
[05/03] HP, ‘Victus Gaming Laptop 15-fb3113AX’ 출시.. 고성능 가성비 겸비한 게이밍 노트북  
[05/03] 이엠텍아이엔씨가 공식 유통하는 PALIT과 SAPPHIRE, COMPUTEX 2025 참가  
[05/03] 퀄컴, 멀티미디어 경험 강화된 스냅드래곤 7 Gen4 발표  
[05/03] 넥슨, ‘마비노기 영웅전’ 오케스트라 공연 6월 21일 개최  
[05/03] '프리미엄한 당신을 위한 최고의 선택' 삼성스토어, '데이코 위크' 진행  
[05/03] 넷마블 북미 자회사 카밤, <마블 올스타 배틀> PC 버전 전 세계 정식 출시  
[05/03] '월드 오브 워쉽' x 벽람항로 일곱 번째 콜라보레이션  
[05/03] GTA 온라인, FIB 파일 피날레에서 보상 두 배 제공  
[05/03] 넥슨, 메이플스토리M M4U 아일랜드 2차 이벤트 실시  
[05/03] 운빨존많겜, 출시 1주년, 역대급 업데이트와 이벤트 쏟아진다!  
[05/03] 서린컴퓨터, 시스템 빌드 전문 유튜버와 협업한 'PC SNAP 에디션' 출시  
[05/03] 펀키스, 31g 초경량 마그네슘 합금 8K 게이밍 마우스 WLMouse Beast Miao 시리즈 출시  
[05/03] Razer, 생산성과 게이밍 동시에 잡은 3종 키보드 마우스 출시  
[05/03] 디아블로 IV, 2025 세계 접근성 인식의 날 기념해 누구나 손쉽게 성역을 탐험하도록 돕는 기능 소개하는 영상 공개  
[05/03] 마우저, 첨단 비전 AI 기술을 지원하는 르네사스의 RZ/V2N 마이크로프로세서 공급  
[05/03] MSI, AI 게이밍 모니터 분야 선도  
[05/03] 삼성전자, AI 기능 탑재한 'AI 통버블 세탁기' 출시  
[05/03] 라이엇 게임즈, 발로란트 출시 5주년 기념 ‘자선 // V25 세트‘ 출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