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의 의견 보기 |
|
|
kwnation2020 (ID)
/ 07-06-12 0:47/
신고
|
|
기사 잘봤습니다^^
2140이 출시되면서 3600과의 비교가 어떨지 내심 궁금했었는데 이렇게 쉽게 정리되니 너무좋네요~
|
|
|
|
|
milkblue (ID)
/ 07-06-12 0:50/
신고
|
|
좋은 비교 기사 잘 봤습니다.
예상대로 성능은 역시 2140 쪽이 조금 앞서는군요. 그만큼 구성비용이 조금 더 들 것 같긴 하지만...
|
|
|
|
|
scoot (ID)
/ 07-06-12 6:52/
신고
|
|
역시 가격이 약간 비싼 2140의 우위군요..
|
|
|
|
|
gt75 (ID)
/ 07-06-12 9:19/
신고
|
|
2140은 역시 오버클럭이 정말 잘 되네요...
|
|
|
|
|
marine (ID)
/ 07-06-12 10:26/
신고
|
|
어차피 저렴한 성능을 추구한다면 AMD에게 무게가 실리지 않을까요?
|
|
|
|
|
ljck5765 (ID)
/ 07-06-12 11:23/
신고
|
|
상세한 리뷰 감사합니다.
잘 읽었고,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
|
|
|
|
hjwng (ID) / 07-06-12 13:03/
신고
|
|
비스타 32비트보다 XP가 나았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비스타에는 amd 프로세서 드라이버(,듀얼코어 옵티마이저)가 필요없어졌나요?
P35보드는 오버스럽다는 글이 나옵니다만, 여전히 여기 사용된 인텔보드들의 값은 2140같은 보급형 cpu에는 너무 비싸군요...
파일압축시간은 콘로가 빠릅니다만,
압축파일을 푸는 시간은 amd가 그보다 많은 차이로 앞서는데 여기에는 빠져있군요.
이 벤치에서처럼 저용량으로 인코딩하는 경우, x264같은 h.264인코더의 화질이 압도적입니다.
고용량h.264영상을 저용량divx로 인코딩하는 테스트는 의미가 없죠. 여기 나온 두가지 인코딩은 모두 divx인코딩일 뿐...
divx인코딩에는 콘로가, h.264인코딩에는 amd가 앞서는 결과의 벤치들이 많습니다.
PCMark05 메모리점수에서 2140이 높은 건, PCMark에서 캐쉬성능을 높게 치기 때문이겠죠.
콘로의 캐쉬성능이 amd보다 많이 좋습니다.
메인메모리(램)성능은 산드라에서도 볼 수 있듯이, 브리즈번&DDR2-760이 콘로&DDR2-800보다 많이 앞섭니다.
|
|
|
|
|
hjwng (ID) / 07-06-12 13:09/
신고
|
|
전력소비면에서는, 실제 시스템에서 풀로드가 유지되는 시간보다 코어들이 놀고 있을 시간이 무척 많은 게 일반적인 사용패턴입니다. 사용자마다 다를 수는 있지만...
쿨콰 덕에 전력소비면에서 amd가 유리해지는 거죠. 심지어 윈저6000까지 amd시스템들은 쿨콰&idle상태에서는 서로 전력소모차이가 미미합니다.
브리즈번 오버는 어째 HT클럭을 딱 1000에 맞추고 램도 400Mhz에 맞춰서 적당히 한 느낌이군요. 콘로도 역시 오버를 많이 한 건 아니겠지만...
브리즈번의 기본전압은 1.25~1.35v고, 위의 테스트사양에도 나오듯이 보드마다 기본전압이 다르게 잡히죠. 콘로도 역시 보드에 따라 다를 것이고...
오버시스템들의 메모리대역폭테스트에서는 내장그래픽을 끈 상태의 테스트가 빠졌군요.
AM2 보드는 성능/업그레이드(K10 쿼드/듀얼코어cpu) 차이 없고, 오버능력도 가격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내장그래픽이 아니더라도, 오버클럭이 적용되더라도, 가격대비메리트는 브리즈번3600이 많이 유리하죠.
가격만이라도 비슷하게 맞추려는(인텔:945+5300램) 벤치를 볼 수 없어서 아쉽군요.
|
|
|
|
|
kama136 (ID) / 07-06-12 14:12/
신고
|
|
저가형이라고는 하지만 2140의 성능이 눈에 띄네요.
|
|
|
|
|
glzhwk (ID)
/ 07-06-12 14:31/
신고
|
|
언능 싱글을 버리고 듀얼로 가고 싶게 만드는 리뷰네요. 얼마전 친구 브리번즈3600 만들어줬는데~
확실히 가격대비 최고인 것 같더군요~
|
|
|
|
|
qodish (ID) / 07-06-12 15:51/
신고
|
|
50% 오버클럭.... -_-;;
|
|
|
|
|
shoo2104 / 07-06-12 17:55/
신고
|
|
여기서 쓰인보드가 quad gt라 다소 가격적인 측면에서 다소 오버한 측면이 없지 않습니다만, 솔직히 8만원대의 tf965정도로도 충분히 동일 수준까지 오버가 가능합니다.
메인메모리성능은 amd쪽이 멤콘을 탑제했기때문에 어쩔수가 없는 것이죠. 오히려 멤콘이 없는 상태에서도 전체적인 성능에서 intel쪽이 앞서고 있는 것을 주목해야합니다.
전력소모쪽은 쿨콰쪽이 전압과 클럭이 떨어지는 정도가 훨씬 크기 때문에 어쩔수가 없는 것이고요. 대신 쿨콰작동시 약간의 미세한 버벅임은 사용자가 감당해야합니다.
|
|
|
|
|
shoo2104 (ID) / 07-06-12 19:00/
신고
|
|
그리고 마지막으로 e6300때도 그랬지만 e2140도 정품쿨러 팬때고 사용가능합니다. 전 성능이고 뭐고 무소음시스템구축에 e2140쪽에 큰 점수를 주고 싶네요..
|
|
|
|
|
skarhkdg (ID) / 07-06-12 19:03/
신고
|
|
성능상으로는 인텔이 좋다고는 하지만 전반적인 가격을 따지고보면 AMD가 좀더 좋을것 같습니다.
단점이라면 카탈 드라이버를 발로 만드는게 큰 문제죠.ㅠ
|
|
|
|
|
iamafool (ID)
/ 07-06-12 19:40/
신고
|
|
메인보드 가격차만 아니라면 2140으로 넘어가고 싶군요. 극오버도 아닌 2.4기가로 다른 차원이 되네요.
7년만에 인텔로 가야하는가
|
|
|
|
|
yyskjy (ID) / 07-06-12 19:51/
신고
|
|
음.....고민되게 하는 상황이죠.....
하지만 이미 인텔의 포로가 된지 오래라서.....^^;;;;
|
|
|
|
|
daganda (ID)
/ 07-06-12 19:51/
신고
|
|
1~2만원 차이면 인텔 쓸것 같습니다.
|
|
|
|
|
hanaro (ID)
/ 07-06-12 20:29/
신고
|
|
인텔이 약간 좋을듯도 하네요..
4300 이면 굿..
|
|
|
|
|
kor275 (ID)
/ 07-06-12 20:53/
신고
|
|
역시 인텔이 조금 앞서는 듯한 느낌이네요~
|
|
|
|
|
kss8569 (ID)
/ 07-06-12 21:10/
신고
|
|
인텔이 역시 아직까진 우세..
|
|
|
|
|
sujecheon (ID)
/ 07-06-12 21:24/
신고
|
|
인텔시피유 지원 보드도 저렴하더군요. 두 시피유 회사들이 계속되는 경쟁을 해야만 소비자들이 좋지않을까요
진짜 고민돼게 만드네요 브리즈번을 사야할지, e2140을 사야할지^^
|
|
|
|
|
rinups (ID)
/ 07-06-12 21:35/
신고
|
|
메인보드 가격까지 합친다면...
그래도 AMD가.....
인텔쪽 괜찮은 보드는 너무 비싸요 ㅠ
|
|
|
|
|
newstar (ID)
/ 07-06-12 21:49/
신고
|
|
가격을 따진다면 AMD도 성능을 생각할때도 가격대비 절대수치를 따진다면 역시나 AMD군요. 물론 인텔이 높은 성능이긴한데 그 만큼 비용이 추가로 들어가니 저렴한 시스템과는 아직... 인텔 가격인하가 있는 7월에 다시금 고려해볼 수 있는 여지는 있군요.
|
|
|
|
|
jjiare02 (ID)
/ 07-06-12 22:09/
신고
|
|
웃긴 얘기가 될진 모르지만 저는 두 제품중 어느 제품의 쿨러가 더 조용하고 발열이 적을지에 관심이 많습니다.^^
|
|
|
|
|
bngh113 (ID) / 07-06-12 22:27/
신고
|
|
보급형... 아무래도 가격은 amd지요..
인텔은 cpu 도 그렇지만.. 보드 값이 만만치가 않네요.
|
|
|
|
|
polo9062 (ID) / 07-06-12 22:32/
신고
|
|
성능은 인텔이네요.ㅎㅎ
|
|
|
|
|
ohye701 (ID)
/ 07-06-12 23:08/
신고
|
|
깡패가 된만큼 먹는 밥도..ㅡㅡ;
|
|
|
|
|
hjwng (ID) / 07-06-12 23:45/
신고
|
|
polo9062//
시스템가격 비슷하게 맞추면 amd 성능이 확실하게 앞섭니다.
shoo2104//
am2는 최저가 5만원 이하에도 오버능력 딸리지 않는 보드들이 존재합니다.
또 am2보드는 성능/업그레이드(K10 듀얼,쿼드코어) 차이 없죠.
인텔은 멤콘이 떨어져 있는 대신, 캐쉬성능은 좋은데...
위의 제 댓글에서 지적했듯이, (가격차이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성능에서 인텔이 앞선다고 할 수도 없죠.
지적한 것 말고도 superPI, PCMark, 퀘이크타임데모, powerDVD 역시 벤치마크들에서 콘로에 유리한 점수를 주어왔던 항목들입니다.
저는 싱글코어 베니스로 쿨콰 사용하고 있지만, 쿨콰 사용하기 전과 조금도 차이를 못 느낍니다.
쿨콰가 느리게 작용하는 것도 아니고, 쿨콰로 버벅댄다는 건 말이 안 됩니다.
amd사이트에서, 초당 30번 상태가 바뀔 수 있다는 글을 봤습니다.
(정품)번들쿨러에서 팬 떼고, 그 밑의 번들 히트싱크로만 사용하신다는 건가요?
무소음시스템이 아무 환경에서나 가능할 것 같진 않습니다.
주변온도, 본체쿨링상태, 바이오스 전압설정은 어떻고, 프라임 같은 거 오랜시간 돌려보셨는지... 쓰로틀은 안 걸리는지...
무엇보다, cpu쿨러보다 파워,하드같은 다른 부품의 소음이 큰 경우가 많죠. cpu쿨러 회전속도 조절만 해 줘도...
|
|
|
|
|
hjwng (ID) / 07-06-12 23:54/
신고
|
|
http://www.bodnara.co.kr/bbs/article.html?imode=view&D=7&category=156&d_category=CPU/%B8%DE%B8%F0%B8%AE&num=61944&mn=6
위의 얼마 전 보드나라 기사를 보면,
보드의 팬컨트롤(cpu쿨러 속도조절) 기능을 끈 상태에서,
'개방된 상태에서 온도 테스트를 진행하는 내내 Intel의 정품 쿨러는 귀로 듣기에도 높은 소음을 보였지만, AMD의 경우 상대적으로 더 조용했다.'
는 글을 볼 수 있습니다.
위의 테스트에는 쿨콰,eist 상태가 사용되지 않은 것이 아쉽지만...
|
|
|
|
|
이동환 / 07-06-13 1:46/
신고
|
|
같은 가격의 시스템 구성이라면 3600쪽이 압도적입니다. 시퓨가격과 메인보드에서 3~5만원 가까인 차이나니까요 그 돈이면 램을 1G 더 넣는다든지 아니면 VGA를 한단계 윗급으로 살 수도 있지요 게다가 미래를 보고
확장성을 생각한다면 인텔계열이 앞으로 펜린쪽이라면 P35,G33 계열 메인보드가 필요한데 이건 가격이 15만원대의 보드죠(뭐 시간 지나면 떨어지긴 하겠지만)
AMD쪽이야 저가형 구성 하더라도 앞으로 나올 바르셀로나 코어쪽도 AM2 소켓을 지원한다니까 크게 문제 될 바는 없죠(바이오스 업뎃 정도로 가능하게 한다던가?)
현시점에서 살 경우는 AMD쪽이 가격메리트,앞으로의 업데이트 둘다 앞섭니다.
|
|
|
|
|
이동환 / 07-06-13 1:59/
신고
|
|
확장성,업데이트-업그레이드 입니다.(밤에 쓰다 보니 정신을 어디다 두었는지 엉망이군요)
혹 P35,G33계열의 보드가 9~10만원대의 가격을 보인다면 저가형에서도 인텔쪽의 메리트가 크겠지만 지금 시스템을 마련한다면 시퓨성능이 약간 떨어지더라도 3600+AM2 조합이 업그레이드 측면에서도 낫습니다.
1~2년 후에 시퓨 업그레이드 한다고 하면 브리즈번 4800도 10만대 이하로 떨어질 확율이 높고(혹 그이상 브리5600같은 것 나올지도..) 쿼드코어 제품도 10만대 중반까지 내려 가겠지요
|
|
|
|
|
dragoune (ID) / 07-06-13 11:51/
신고
|
|
AMD는 결국 보급형으로 귀환하는 느낌이로군요
|
|
|
|
|
hjwng (ID) / 07-06-13 11:53/
신고
|
|
dragoune//
정작, 이런 하위모델들보다도,
x2 5600까지의 중상모델들에서 amd의 가격대비메리트가 훨씬 커지는데도,(인텔cpu라 해도 캐쉬용량보다는 클럭이 전체적으로 더 큰 영향...)
인지도의 차이 때문인지 amd cpu중에는 브리3600정도가 그나마 선전하고 있죠.
브리3600같은 하위모델이라도, 오버클럭되어 실사용되는 조립피씨의 비율은 적을 텐데...
|
|
|
|
|
seel013 (ID)
/ 07-06-13 15:34/
신고
|
|
가격적인 면에서 본다면 브리 3600+가 훨씬 낫다고 봅니다. 인텔은 왜 그래픽 내장에 오버도 잘되는 보드를 내놓지 않을까요? ㅡ.ㅡ;;
|
|
|
|
|
moonchild (ID)
/ 07-06-13 18:52/
신고
|
|
가격만 적정하다면 바로 지를텐데...
|
|
|
|
|
soohan (ID)
/ 07-06-13 19:11/
신고
|
|
양사 CPU는 모두 가격대 성능비가 좋은 것 같네요
|
|
|
|
|
ustcom (ID) / 07-06-14 9:25/
신고
|
|
인텔유저라 e2140쪽에 관심이 가는군요
내장그래픽을 생각하면 브리즈번도 좋고요
|
|
|
|
|
bmw375 (ID)
/ 07-06-14 14:12/
신고
|
|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INTEL 제품은 오래 써봤으니 이제 AMD 제품에도 손을 뻗어봐야겠습니다.
|
|
|
|
|
ohhobod (ID) / 07-06-14 15:11/
신고
|
|
정말 궁금한 점이 많았던 부분이었는데 매우 잘 보았습니다.
벌써 2140은 질렀네요.. ㅋㅋ
근데 저렴한 보드쪽에서는 그래픽 능력은 좌절입니다.
|
|
|
|
|
realdude33 (ID)
/ 07-06-14 19:52/
신고
|
|
비교적 저렴한 가격의 두 CPU. 멋집니다~
|
|
|
|
|
theadadv (ID) / 07-06-14 20:31/
신고
|
|
흠... 세상 많이 좋아졌군요...
|
|
|
|
|
hjwng (ID) / 07-06-15 10:13/
신고
|
|
여러번 말했지만, 내장그래픽 상관없이도 am2보드의 메리트가 훨씬 낫습니다...
|
|
|
|
|
echoecho (ID)
/ 07-06-16 2:56/
신고
|
|
CPU의 가격편차와 메인보드에서의 가격편차를 고려하면 브리3600+가 제겐 더 멋져보이는군요^^
|
|
|
|
|
catlove (ID)
/ 07-06-16 6:20/
신고
|
|
전 AMD만 사용해 봐서 기회가 된다면 인텔로 한번 바궈보고 싶네요
|
|
|
|
|
그기까지 / 07-06-16 11:03/
신고
|
|
프로그램 호환안되고 잔에러나는 AMD 시스템 지겹다 진짜, 정신건강을 위해 intel 시스템으로 달리자
|
|
|
|
|
hjwng (ID) / 07-06-16 12:26/
신고
|
|
저는 AMD만 쭉 사용하지만, 프로그램 호환에 아무런 문제없고 잔에러도 없습니다...ㅡㅡ
오리혀 인텔칩셋(965리비전)이나 콘로(올 4월)에 버그가 있었죠. 뉴스클립게시판 찾아보면 나옵니다.
|
|
|
|
|
ljhhjw (ID)
/ 07-06-16 15:03/
신고
|
|
45와트 제품이 기다려지네요
|
|
|
|
|
kyta123 (ID)
/ 07-06-16 20:59/
신고
|
|
갈수록 좋은 시피유가 나오는 주기가 빨라진것 같아요,가격도 빨리 떨어지고요!
|
|
|
|
|
kood (ID)
/ 07-06-16 21:18/
신고
|
|
기사 잘봤습니다 역시 인텔이라는 말밖에 안나옵니다
좋은 시퓨가 빨라지는군요 엄청납니다
|
|
|
|
|
eye2eyes (ID) / 07-06-17 2:02/
신고
|
|
어느정도의 성능차이에도 시장은 가격이
큰 역할을 차지하기때문에..ㅎㅎ
암튼 좋은기사 보고갑니다.
|
|
|
|
|
y20303 (ID)
/ 07-06-17 2:15/
신고
|
|
역시 인텔의 제품이 좀 더 나가는군요 가격의 차이가 괜한데서 오는것은 아니군요
|
|
|
|
|
roool (ID)
/ 07-06-17 2:35/
신고
|
|
잘읽었습니다. 브리3600에서 E2160으로 세컨 시스템 갈았습니다. 가격3만원 더들어간것 치곤 만족할 만한 성능 차이를 보여 준다고 생각합니다.
|
|
|
|
|
yakpkb (ID)
/ 07-06-17 4:40/
신고
|
|
아무래도 저가구성에는 AMD가 더 나아보입니다. 왜냐면 메인보드도 고려를 해야하기 때문에 저가엔 AMD에 무게를 실어주고 싶네요.
|
|
|
|
|
osiliss (ID) / 07-06-17 10:42/
신고
|
|
좋은글 잘봤습니다.어제3600+로 갈아탔는데 미리봤어도 좋았을글인것 같습니다 ^^*~
|
|
|
|
|
godanhan (ID) / 07-06-17 14:54/
신고
|
|
역시 저가 시장에선 1천원이라도 싼 제품이 값대 성능비로 좋을것 같네요. 굳이 브랜드와 상관없다면 말이죠.
|
|
|
|
|
rima (ID)
/ 07-06-17 22:00/
신고
|
|
성능은 인텔쪽이 조금 낫지만 가격을 무기로 엠디에 더 관심이 가는군요..
|
|
|
|
|
worse (ID)
/ 07-06-17 22:17/
신고
|
|
45와트의 절전 효과가 어떨지...
|
|
|
|
|
blasty (ID)
/ 07-06-17 22:37/
신고
|
|
저라면 AMD 제품의 손을..
|
|
|
|
|
atpgus (ID)
/ 07-06-17 23:33/
신고
|
|
오버를 위해서라면 인텔을 그냥 쓰려면 에엠디
|
|
|
|
|
jungilok (ID) / 07-06-18 9:34/
신고
|
|
둘다 오버로 유명하니..용도에 따라 구입하면 될듯
|
|
|
|
|
lagoseo (ID) / 07-06-18 10:11/
신고
|
|
성능이야 인텔이 우위인데 3600가격이 워낙이나 싸니....(57000원 ㄷㄷㄷㄷ)
개인적으로는 E2140이 좀더 맘에드네요
|
|
|
|
|
blastoff (ID)
/ 07-06-18 10:12/
신고
|
|
요즘은 보급형도 성능은 무시못하니 좋네요.
|
|
|
|
|
emaeull (ID)
/ 07-06-18 11:39/
신고
|
|
일반 유저들에게는 오버라는건 별 의미가 없지않나요.....?????
|
|
|
|
|
zion2k (ID)
/ 07-06-19 12:42/
신고
|
|
기사내용이나 리플을 봐도 역시 가격대비는 엠디쪽에 한표를 주고 싶네요 일반 사용자가 오버를 하지 않는경우가 많기에 더욱더 엠디쪽이 가격대비 성능으로는 좋은거 같군요.
|
|
|
|
|
chokong6 (ID)
/ 07-06-20 0:16/
신고
|
|
서로 장단점이 있네요 입맛에 따라 선택하면 될듯
|
|
|
|
|
piorza (ID)
/ 07-06-20 9:38/
신고
|
|
내내 중립적인 입장을 지키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라이트급이라지만 역시 코어2듀오는 코어2듀오..
|
|
|
|
|
piorza (ID)
/ 07-06-20 9:39/
신고
|
|
그리고 다시 컴퓨터를 구매하게 된다면
IDE 성능 때문이라도 인텔로 갈 것 같습니다.
분명 차이가 있더군요.ㅡ.ㅡ;
|
|
|
|
|
hjwng (ID) / 07-06-20 11:57/
신고
|
|
piorza//
IDE(p-ata)성능 차이가 난다는 자료를 보고 싶군요.
위 결과에서도 하드디스크성능(인텔칩셋 G965)은 차이가 없습니다.ㅡㅡ
게다가 사타(s-ata)도 아니고 IDE가 과연...ㅡㅡ
체감성능에서 amd가 더 빠릿빠릿하다는 경험담들은 흔히 볼 수 있죠.
e6600이하로는 극오버 빼고 인텔로 갈 이유가 없죠.
|
|
|
|
|
swangat (ID) / 07-06-20 16:23/
신고
|
|
흠 제가 그래픽 업종에 있어서 하드코어로 인코딩이다 랜더링할게 아니라면 아직까지는 보드를 통틀어 저렴한 amd에 손을 들어주고 싶네요.
|
|
|
|
|
gimjeong (ID) / 07-06-20 18:09/
신고
|
|
일반적인 용도라면 3600 으로도 충분하고, 브랜드와 약간 더 높은 성능을 원하면 2140이 좋을듯 합니다.
하지만, 메인보드까지 생각하면 3600이 좋겠죠
|
|
|
|
|
hjwng (ID) / 07-06-20 19:36/
신고
|
|
비슷한 가격인 중상위모델들의 벤치마크들을 보면,
콘로가 앞서는 건 오피스(워드,엑셀)계열과 포토샵, 일부 게임들밖에 없군요. 단순 superPI연산은 그냥 참고용이고...
사이언스마크, 압축풀기, folding@home 같은 건 amd가 압도적인 차이로 앞서고,
3d렌더링도 amd가 앞서고, 서로 유리한 게임들이 따로 있고,
인코딩도 h.264,mpeg2,wmv는 amd가, divx,xvid는 콘로가 유리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벤치마크는 콘로에 유리하게 짜여있습니다.ㅡㅡ 이 기사도 마찬가지죠.
정작 이런 하위모델들보다 클럭차이가 벌어지는 중상급 모델들에서 amd의 메리트가 커집니다...
|
|
|
|
|
rockcd (ID)
/ 07-06-23 12:38/
신고
|
|
오버 빼면.. 전체적인 구성 비용이 저렴한 amd 쓰고 싶네요.
|
|
|
|
|
rbear (ID)
/ 07-06-28 13:25/
신고
|
|
인텔을 선호하면서 저렴한 시스템을 구축하시고자 하는 분들께는 좋은 선택일 듯 합니다. 지적하신 것과같이 CPU 가격만 조금 더 참해진다면 좋을 듯 한데..
최근 2140에 8500GT로 시스템을 구성했는데 워드와 간단한 게임을 운영하는데는 무난한 듯 합니다,
|
|
|
|
|
bsting (ID) / 07-07-01 4:43/
신고
|
|
아무래도 약자인 브리즈번의 손을 들어주고픈
|
|
|
|
|
sky0734 (ID)
/ 07-07-01 8:11/
신고
|
|
유저에 맞은 CPU를 고르면 될 듯
|
|
|
|
|
jenjinman (ID)
/ 07-07-01 17:01/
신고
|
|
현재 브리즈번 사용중이네요.^^
|
|
|
|
|
bluemun (ID)
/ 07-07-01 23:27/
신고
|
|
실제 성능은 비슷비슷 하군요.
|
|
|
|
|
ajjuguri20 (ID)
/ 07-07-04 4:51/
신고
|
|
가격비 성능으로 따지면 이 제품이 단연...
|
|
|
|
|
blackchh (ID) / 07-07-04 10:14/
신고
|
|
현재 세컨컴으로 E2140을 사용중인데 오버하면 콘로2가 안부럽더라구요.
|
|
|
|
|
jeehy (ID)
/ 07-07-08 10:17/
신고
|
|
보드가격까지 생각하면...
|
|
|
|
|
yunkj (ID)
/ 07-07-08 18:43/
신고
|
|
세컨PC 조립할 때 괜찮을 것 같네요.
|
|
|
|
|
yuhwa (ID)
/ 07-07-08 19:18/
신고
|
|
가격대 성능은 브리즈번이 좋을 것 같네요.
|
|
|
|
|
cheermom (ID) / 07-07-08 21:44/
신고
|
|
아무튼 저렴한 듀얼코어...
|
|
|
|
|
rockcd (ID)
/ 07-07-13 19:32/
신고
|
|
오버를 생각하면.. 인텔은 가격이 너무 오르는 것 같아.. 부담스럽네요.
|
|
|
|
|
hjwng (ID) / 07-07-14 10:01/
신고
|
|
amd시스템은 cpu자체에서 노스브릿지 역할을 하며, 보드칩셋에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근거도 없이 amd플랫폼쪽 사우스칩셋들이 떨어진다는 소문들이 있지만, 위 결과에서도(965보드) 디스크성능이 차이가 없군요.
|
|
|
|
|
jocker94 / 07-07-16 11:09/
신고
|
|
브리즈번 3대 조립해줬는데 조용한것이 좋습니다. 인텔에 비해서 꿀릴것없는 성능에 쿨콰의 선전, 그리고 Idle시 55와트의 저전력 매력 (위의 그래프자료에 따라) 가격도 저렴하고.. 저는 브리즈번에 한표.
|
|
|
|
|
jaeyakr (ID)
/ 07-07-18 11:41/
신고
|
|
브리즈번을 선택하시는 분들이라면 일부의 오버클럭커분들 빼고는 다들 저렴하게 사용하실 분들일 것 같은데 그렇다면 A당 쪽이 좀더 유리한게 아닐까 싶네요. 그나저나 흥미진진한 기사 잘봤습니다. 참 궁금했던 내용이었는데.. ㅎ
|
|
|
|
|
shoo2104 / 07-07-24 13:47/
신고
|
|
그리고.. 정품쿨러는 아니지만 잘만 9700led 팬때고 e4300을 기본전압(1.3v)에서 2.8기가 까지 오버해서 사용한 경험 있습니다.. 프라임 당연히 돌려봤고요..
이때 다른팬들은 최저rpm(120mm 2개 900rpm) 이었고
cpu팬을 제외하고는 vga에 달린 사일런서, 케이스앞뒤팬, 파워팬(에너맥스 리버티)밖에 없었습니다.
파코즈가서 4300으로 검색하셔서 제이름 찾으시면 나옵니다. 현재는 쿨러를 다시 돌리고 기본전압에 fsb334넣어서 3기가로 쓰고 있습니다.
벤치마크 데이타에 대해서 너무 주관적인 판단을 하진 마십시요.. 인텔이 우세한 부분도 있고 AMD쪽이 우세한 부분도 있습니다. 근데 님께서는 인텔쪽이 우수한부분에 대해서는 일부라는 식으로 깍아내리시는군요.
|
|
|
|
|
shoo2104 / 07-07-24 13:48/
신고
|
|
참고로 무팬사용시 실내온도는 25~27도 사이였습니다.
항상 이 온도를 유지시킵니다.
|
|
|
|
|
KAISER / 07-07-24 22:42/
신고
|
|
인텔쪽도 보급형 오버를 저렴하게 하는게 가능합니다. 값싼 연구소보드(AsRock)와 보급형 콘로계열 CPU를 약간의 와이어트릭으로 (은박신공, 호일신공이라고 하죠) 말입니다. 결국 저가형 오버를 한다고 해도 인텔쪽이 더 저렴하게 나은 성능이 가능합니다. (현재 AMD보다 인텔의 클럭당 효율이 높다는건 아실테고....) 물론 VGA는 내장을 쓴다면 AMD쪽 보드가 눈에 많이 들어오지만 내장은 성능의 한계가 있죠. 보급형으로 가도 외장 쓰시는 분도 많고, 초라이트 유저라면 인텔쪽 내장그래픽으로도 충분하지요.
|
|
|
|
|
KAISER / 07-07-24 22:44/
신고
|
|
결국 저가형이라고 AMD가 우세하다는 말은 그다지 아니라고 보네요. 어떤 걸 써도 된다고 봅니다.
|
|
|
|
|
hjwng (ID) / 07-07-25 11:06/
신고
|
|
KAISER//
amd시스템은 값싼 보드라도 성능,업글성이 비싼 보드와 다를 바가 없다는 겁니다.
별도의 신공을 쓰는 건 그다지...
shoo2104//
사우스에 따른 디스크성능을 체감으로 분명히 느낀다면 벤치상으로는 대단한 차이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게다가 amd의 체감이 빠르다는 글들이 훨씬 많군요. 로딩속도에서 amd가 빠른 결과들도...
|
|
|
|
|
soohan (ID)
/ 07-08-01 6:57/
신고
|
|
전 AMD에 더 관심이 가네요
|
|
|
|
|
anfrhks2 (ID) / 07-08-11 21:57/
신고
|
|
오타발견~!
성능테스트 부분에서
녹화된 30분 정도 붆량의 ->분량
|
|
|
|
|
devilpigs / 07-08-19 16:29/
신고
|
|
제가 전문지식이 없긴하지만 굳이 산다면 AMD쪽을 살 것 같군요... 우선 AMD 쪽이 보드+CPU 가격이 착하고 별짓 안해도 돌아갈껀 다 돌아가잖아요... 싼보드들도 왠만한 기능은 다있고... 인텔쪽은 보드도 비싸고 오버하는데도 은박신공 같은거 써야 된다고 하더군요.. 귀찮지 않나요? 걍 맘편히 AMD에 한표~~!!!
|
|
|
|
|
김정빈 / 07-09-05 1:10/
신고
|
|
아무래도..... AMD 보다는 인텔 쪽이 에러가 훨씬 더
많습니다 ^-^ 그리고 사설이지만..... 펜티엄 D 상당히
마음에 안들더군요..... 스택 에러에.... 오버 플로
우에 ㅡㅡ;;;;; 메모리 라인 에러 났다는 메세지와
함께 종료되는 인터넷 창.....
제가 싱글 코어 써도 저런 문제는 없었다만....
나중에 돈 더 쓸 각오하고 AMD 사야겠네요^^
현재는 DDR2와 DDR3를 동시 지원하는 메인 보드가
없으니..... 그냥 나중에 쿼드 코어 사는 가격하고
메인보드 사는 가격. 메모리 사는 가격만 지르면 될
듯 ^-^ AMD 화이팅!!!! Intel은 제발 비겁한 상술
그만 쓰세요 ㅡㅡ 조사하면 다나와~ Danawa~~~
현재 전 세계적으로 조사중이라니.... 어디 한 번
어떤게 더 나올지 한 번 두고 보겠습니다. Intel군~
|
|
|
|
|
ribell (ID) / 07-09-25 12:52/
신고
|
|
i90HD는 500클럭이군요 ㅡㅡㅋ 메두사는 525클럭인데요 ㅡㅡㅋ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