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DX11에 보다 최적화된 지포스 GT 640
엔비디아 (NVIDIA)는 28nm 공정을 기반으로 한 케플러 (Kepler) 아키텍처로 넘어오면서 페르미 (Fermi)와는 다른 전략을 통해 페르미가 가진 약점을 개선했다.
페르미 아키텍처는 게이밍과 GPGPU 모두를 고려해 양쪽 모두 일정 수준 이상으로 성능을 끌어올렸으나 이로 인해 경쟁사보다 높은 전력 문제가 제기되었다. 케플러 아키텍처는 구조 재편을 통해 GPGPU 연산의 축소 대신 일반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게이밍 성능과 전력 효율을 크게 개선하는 방향을 선택했다.
엔비디아의 전략은 28nm 공정과 맞물려 전력 문제를 개선함과 동시에 게이밍 성능 향상 역시 함께 이루어졌으며, 하이엔드 및 플래그십 듀얼 GPU 라인업을 경쟁사보다 빠르게 시장에 투입할 수 있게 되었다.
지포스 GTX 680과 지포스 GTX 670을 이어 오늘 살펴본 보급형 지포스 GT 640은 이의 연장선상에서 이제 본격적인 28nm 케플러 기반 GPU의 데스크탑 확장이 시작됨을 알렸다.
[GK107 기반 지포스 GT 640, 케플러 아키텍처 특징 대부분 지원]
지포스 GT 640은 데스크탑 케플러 제품군 중 보급형 시장을 타겟으로 한 새로운 GK107 GPU를 적용했다. 하이엔드와 달리 모바일 GPU처럼 GPU 부스트 (GPU Boost) 기술은 제외되었으나 게임 프레임과 효율 개선을 위한 Adaptive VSync, 그래픽 후처리 AA 기법인 FXAA와 하드웨어 MSAA를 조합한 TXAA, 3대의 디스플레이 및 3D 비전 (3D Vision), 엔비디아 서라운드 (Surround), DirectX 11.1과 차세대 인터페이스인 PCI-Express 3.0 등의 주요 기술은 유지된다.
지포스 GT 640은 하이엔드 지포스 GTX 680의 1/4에 해당하는 SMX 구조를 갖고 있어 보급형에 적합한 성능을 제공한다. DirectX 9/ 10 환경에서는 불리한 모습을 보였으며, DirectX 11 및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게임 등에서 더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페르미 아키텍처와 유사한 부분이며, 기존 게임보다는 앞으로 등장할 DirectX 11 및 테셀레이션 지원 게임에서 강점을 제공한다.
발열과 전력 소모 문제는 페르미에서 매번 지적되는 부분이었으나 28nm 공정과 케플러 아키텍처를 적용하면서 다른 케플러 GPU와 마찬가지로 지포스 GT 640은 우수한 전력 효율을 제공해 기존 페르미 제품군보다 와트당 성능비가 개선되었다.
[DX11 환경에 유리한 지포스 GT 640]
지포스 GT 640은 성능과 전력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케플러 아키텍처 기반이지만, 하이엔드 제품군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TSMC의 28nm 공정 수율은 이들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수율 안정화는 여전히 중요해 보인다.
또한 최근 환율의 영향으로 지포스 GT 640 ($99)의 국내 초기 등장 가격은 보급형 라인업의 위치를 고려해도 다소 높은 12만원 초반에서 13만원 후반 사이의 가격을 형성했다.
가격대 성능비가 중요하게 작용되는 이 시장에서의 현재 지포스 GT 640의 가격은 제공하는 성능과 비교해 불리한 입장이며, 약간의 비용을 추가하면 상위 라인업 제품의 구입도 가능한 만큼 성능과 라인업에 맞는 가격 조정과 안정화가 필요해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