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메인보드 전원부 모스펫 발열 벤치마크 시즌 2, 이번에는 인텔 Z97 메인보드 16종이다

2014-07-11 13:00
권경욱 前 기자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ress@bodnara.co.kr

7. 제조사별 PCH 방열판으로 살펴본 방열판 온도 특성



방열판은 열전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보통 알루미늄 재질이 주로 사용된다. 제조사에 따라 히트파이프를 이용해 효율적으로 발열을 제어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방열 면적이 넓을수록 방열 효과는 높아지며 그만큼 안정적으로 온도 제어가 가능하다.

주로 전원부와 사우스브릿지 (PCH)를 중심으로 장착되는 방열판은 제조사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와 디자인을 이용한다. 특히 전원부는 다양한 설계와 컴포넌트가 배치되기 때문에 일관된 발열 특성을 비교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고 중고급형보다 메인스트림에서 보다 다양한 크기와 디자인의 방열판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 사우스브릿지 (PCH)의 발열을 측정해 제조사별 방열판의 방열 효율을 비교해보기로 했다.

 

보통 보급형이나 메인스트림 일부 제품은 전원부 구성에 따라 방열판이 제외되는 경우도 있으나 사우스브릿지 (PCH)는 CPU에 주요 기능이 통합되면서 I/O 기능이 주로 남아 전원부 대비 발열 특성이 유리하지만 고온 등에 의해 저장장치 오작동이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제조사에 따라 크기나 디자인은 다르지만 대부분 방열판을 기본으로 장착한다.

이번 Z97 메인보드 16종을 보면 퍼포먼스는 대체적으로 사우스브릿지에 면적이 넓은 방열판을 적용하고 있는데 반해 메인스트림에서는 가격 경쟁 등으로 인해 방열판의 크기가 일률적으로 적용되지 않았다.

ASRock은 사우스브릿지보다 넓은 면적의 방열판, ASUS는 직사각형이 아닌 원형 방열판, 기가바이트 (GIGABYTE)와 MSI는 넓은 직사각형 방열판 제공 메인보드 각 1개와 사우스브릿지를 가릴 수 있는 정도의 작은 방열판을 제공하는 메인보드가 각 1개가 메인스트림 Z97 메인보드에 포함됐다.

 

메인스트림 Z97 메인보드 8종, 사우스브릿지 (PCH) 온도


메인보드 전원부 측정부위 및 모스펫 종류

ASRock Z97 Extreme4, 아이들 (좌)/ 풀로드 (우) 사우스브릿지

ASRock Z97 Pro3, 아이들 (좌)/ 풀로드 (우) 사우스브릿지

ASUS Z97-C, 아이들 (좌)/ 풀로드 (우) 사우스브릿지

ASUS Z97-K, 아이들 (좌)/ 풀로드 (우) 사우스브릿지

GIGABYTE GA-Z97X-UD3H, 아이들 (좌)/ 풀로드 (우) 사우스브릿지

GIGABYTE GA-Z97-HD3, 아이들 (좌)/ 풀로드 (우) 사우스브릿지

MSI Z97 U3 PLUS, 아이들 (좌)/ 풀로드 (우) 사우스브릿지

MSI Z97 PC Mate, 아이들 (좌)/ 풀로드 (우) 사우스브릿지

발열이 발생하는 부분에 장착된 방열판의 효용성은 앞서 살펴본 전원부 발열 특성을 통해 파악되었는데 주요 기능이 CPU로 옮겨가며 상대적으로 기능이 줄어든 사우스브릿지 (PCH)에서도 방열판의 크기와 이에 따른 방열 면적이 온도에 영향을 주었다.

방열판의 크기가 커 방열 면적이 넓은 방열판이 장착된 메인보드는 대부분 비슷한 수준의 온도 분포를 보인데 반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방열판을 제공하는 메인보드는 이보다 높은 온도 분포를 보였다.

 

사우스브릿지 (PCH) 대비 대비 넓은 면적을 제공한 각 제조사의 방열판 온도를 보면 풀로드 상황에서 30도 후반에서 40도 초반의 온도를 기록했다. 반면 사우스브릿지를 가리는 작은 면적의 방열판을 제공하는 메인보드에서는 50도 전후로 약 10도 정도 높은 온도를 제공하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비슷한 면적과 크기의 방열판은 온도 특성도 서로 유사해 제조사별로 뚜렷한 온도 편차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파악할 수 있다.

이번 결과에서도 확인 가능하듯 장시간 사용하는 PC의 특성을 고려하면 적절한 크기의 방열판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사우스브릿지 (PCH)는 주로 I/O 기능을 담당하는 특성상 전원부 발열에서 보였던 우려할 만큼의 온도는 기록하지 않았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newstar new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4-07-11 14:24/ 신고
한개 또는 2개가 조금 눈에 띄긴했지만 모두다 무난하네요.
ASUS는 왜 그랬는지 의문이 가네요. 보드나라와 문제가 있었나 아니면 제품에 뭔가 이슈가 있나....
겨울이좋아 / 14-07-11 14:36/ 신고
제품들 결과를 보면 크게 차이나지는 않네요.가격에 따른 스펙차이는 있을 수 밖에 없겠죠.

근데 제품을 내세우지 못 할 이유라도 있는건가....제품외적인 문제가 있는건지...
마프티 psywin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4-07-11 15:14/ 신고
일단 방열판이 있기만하면 효과는 좋은 편이네요. 없어도 엄청나게 높은편도 아니지만...워낙 작은 칩이라 그런지 패시브쿨링으로 충분하네요
공부하자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4-07-11 18:12/ 신고
모두 사용가능한 정도의 발열을 보여주겠지만
사용자에 따라 좀 더 나은 발열 억제를 하는 제품이 끌릴수도...
다들 쓸만해 보이네요.
문득 hyukdesig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4-07-11 19:22/ 신고
ASUS 요즘 제품들 타 싸이트 리뷰에서 전원부 발열이 높은 모습을 자주 보여줘서 그랬나 보네요. 이런 벤치하는게 마음에 안들었을듯 ㅎㅎ
버섯 c1101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4-07-12 0:17/ 신고
-On Mobile Mode -
정성스런 리뷰 잘봤습니다.
전원부 발열제어 같은경우 oc시스템에서 그 성능차이가 극명하게 갈리던데4790k 4.5ghz oc상태에서의 벤치도 부탁드려도 될까요?
viper2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4-07-14 14:40/ 신고
벤치마크를 통해 소개된 것처럼 보급형과 다르게 메인스트림, 퍼포먼스 이상급 Z97 메인보드는 대부분 방열판이 기본 제공되며 전원부 분산 설계가 비교적 잘된 편입니다. 때문에 오버클럭을 진행하더라도 전원부 방열판으로 어느 정도 상쇄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기본 클럭 결과보다 온도가 상승될 수도 있겠지만 방열판이 없는 상황보다는 안정적으로 동작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이번 테스트는 OC 테스트를 포함하기에는 시간이나 여건상의 어려움으로 진행되지 않았으며 차후 기회가 되면 OC 테스트를 이용한 결과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투기 f15cc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4-07-12 1:06/ 신고
잘 봤습니다~
City0311 / 14-07-12 19:50/ 신고
ASUS가.. 꼭 협조를 해야 하는 건가... 하는 의문이 드네요..ㅠㅠ
보드나라를 굉장히 좋아하기는 하지만..
협조 안했다고 이렇게 글에다가 직접 표기하는 건.. 좀....
nomasume kamiru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4-07-13 0:19/ 신고
아무래도 오버클럭을 적극적으로 하려면 전원부 방열도 중요하지요. 조금 더를 위해...
끓여만든배 / 14-07-13 14:34/ 신고
오버클럭 사용자들에게 제품 선택시에 큰 도움이 되겠네요. 그런데 asus에서 샘플 제공을 거부한게 조금 의외네요... 다른 제품과 차이가 많이 날까봐 그런건지... 궁금하네요.
지풍승 / 14-07-13 15:02/ 신고
가격도 가격인데 고급형에서는 방열판이 있는게 아무래도 안정감이 들죠. 그리 큰 온도차이가 아니라면 멋스런 방열판과 메인보드 설계가 선택의 기준이 될 수도 있겠네요.
크고 아주 번잡한 테스트하시느라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temp001 / 14-07-13 22:12/ 신고
이렇게 적어야 아무래도 공정해지셌죠. 지난번 네-버 파워 블로거 리뷰 사태만 봐도...
프리스트 rubyc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4-07-17 12:41/ 신고
샘플 제공 안해줘도 어차피 테스트할건데 괜히 회사 이미지만 스스로 망치는..
고딩나라 / 14-07-22 0:47/ 신고
구지 샘플을 제공 받지 않아도 미디어 스스로가 동일한 제품을 구매해서 테스트 할수 없다는 환경에 심심한 유감을 표현합니다.
감자나무 감자나무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4-07-23 12:30/ 신고
뭔가 오해가 있으신 듯 한데 ASUS샘플은 구매하여 진행하였습니다.
오버돌이 / 14-08-12 22:43/ 신고
표에 모스펫 종류에서 익스6도 익스4랑 같은 nexFET 아닌가요?
heaye / 18-01-09 21:58/ 신고
전원부도 ATX쪽이 아무래도 M-ATX보다 충실한 상급모델이 더 많습니다.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7/11] LG전자, 한국서비스품질지수 가전제품A/S 분야 2년 연속 1위  
[07/11] 케이스티파이, KBO x 케이스티파이 컬렉션 신규 디자인 출시  
[07/11] 텐센트 클라우드, AI·미디어 기술로 국내 웹 기반 기업 디지털 경쟁력 강화 지원  
[07/11] 스피릿 테일즈, 출시 100일 기념 이벤트 풍성  
[07/11] 서린씨앤아이, 비콰이어트 퓨어 락 프로 3 시리즈 출시  
[07/11] 소니코리아, 키타지마 유키히로 신임 대표 선임  
[07/11] 9000명에 달하는 MS 구조조정 여파, 최소 세 개 타이틀 개발 취소?  
[07/11] 지포스 RTX 5090의 새로운 중국형 모델은 RTX 5090D V2, 8월 출시?  
[07/11] 소니, PS5 Pro에 FSR4의 완전한 버전 이식 계획  
[07/11] 더핑크퐁컴퍼니, 에버랜드와 아기상어/베베핀 여름 콜라보 테마존 4일 오픈  
[07/11] 크로스오버, 11번가 7월 에브리데이 십일절 진행  
[07/11] 포르쉐 AG, 신형 911 4S 모델 3종 공개  
[07/11] 클룩, 국내 최대 뮤직 페스티벌 워터밤 월드투어 2025 외국인 티켓 판매  
[07/11] 한국엡손, 최경량 하이엔드 미니 스카라 로봇 GX1-C 시리즈 선봬  
[07/11] AMD X ASUS, ‘썸머 리뷰 챌린지’ 진행, 총 700만원 상당의 특별 사은품 증정  
[07/11] 제5회 ‘구글 포 코리아(Google for Korea)’ 행사 성료  
[07/11] 콕스, 통 실리콘 흡음 구조의 저소음 기계식 키보드 'CSK105'의 텐키리스 버전 ‘CSK88’ 출시  
[07/11] 콕스, 사무용 무선 버티컬 마우스 'CEM20' 출시  
[07/11] 아스크텍, 마이크론 PCIe Gen5 NVMe SSD, Crucial T710 국내 출시  
[07/11] 차세대 스토리지의 기준, 'MSI SPATIUM M560 1TB' SSD 출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