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서버급 안정성과 내구성 제공하는 인텔 SSD 730 시리즈 240/ 480GB

2014-03-31 19:00
권경욱 前 기자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ress@bodnara.co.kr

SSD 기술 발전으로 고용량 및 고성능 제품군이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 SATA3 (6Gbps) 한계와 성능의 상향 평준화로 이제 성능보다는 용량과 가격 안정화에 초점을 맞추어 SSD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전반적인 SSD 제조사가 주력하고 있는 부분인데 인텔도 이에 맞추어 한동안 최고의 성능 제품보다는 안정성과 다양한 폼팩터를 시도해왔다. 하지만 인텔은 그동안 미루어왔던 성능 경쟁을 위한 카드로 고성능을 구현한 인텔 SSD 730 시리즈를 출시했다.

 

인텔 컨트롤러를 다시 탑재한 730 시리즈 SSD

인텔 SSD 730 시리즈는 데스크탑에 출시한 X25 시리즈 이후 데스크탑에 적용하지 않았던 자사의 컨트롤러를 다시 탑재한 것이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다. 그동안 인텔은 자사의 컨트롤러가 아닌 마벨 (Marvell)이나 샌드포스 (SandForce) 컨트롤러를 채택해 경쟁해왔다.

730 시리즈는 데스크탑의 일반 소비자를 타겟으로 하는 SSD 라인업으로 등장했지만 서버급의 안정성과 내구성(수명)에도 집중한 SSD이면서 기존 제품군을 보완하고 성능을 향상해 일반 사용자부터 고성능을 원하는 하이엔드 및 게이머에게 적합한 SSD다.

 

서버급 안정성을 더한 인텔 SSD 730 시리즈


이번에 살펴볼 인텔 SSD 730 시리즈는 서버급의 안정성을 제공하면서 데스크탑 하이엔드 및 게이머가 요구하는 성능을 제공하는 일반 소비자용 라인업에 속하며 SATA3 6Gbps를 지원한다.

 

구분

인텔 SSD 730 시리즈 240/ 480GB

제조 공정

20nm

낸드 플래시

IMFT MLC NAND (100MHz)

컨트롤러

인텔 3세대 컨트롤러, PC29AS21CA0 (600MHz), SATA3 (6Gbps)

연속 읽기/ 쓰기 (MB/s)

550MB/s, 270MB/s (240GB)
550MB/s, 470MB/s (480GB)

4K 랜덤 읽기/ 쓰기 (IOPS)

86,000/ 56,000 (240GB)
86,000/ 74,000 (480GB)

MTBF

200만 시간

온도

0℃ to 70℃ (작동시)/ -55℃ to 95℃ (대기시)

충격, 진동

1,000G/ 0.5 msec (충격)
2.17 GRMS (5-700Hz, 동작) (진동)
3.13 GRMS (5-800Hz, 비동작) (진동)

소비전력 (Active)

5.0W/ 5.5W (Active, 5V/ 12V)
1.3W/ 1.5W (Idle, 5V/ 12V)

보증 기간

5년 제한 보증

폼팩터/ 무게/ 두께

2.5인치/ 78g/ 7mm

특징

- 인텔 3세대 SSD 컨트롤러
- 서버급 안정성과 내구성 제공 (하루 최대 쓰기 70GB, JESD218 표준)
- 4K 랜덤 읽기와 쓰기 향상으로 게이머 및 하이엔드 유저에 적합
- SATA3 6Gbps 지원
- 7mm의 슬림한 두께로 얇은 노트북 등에 적합
- 인텔 툴박스 (ToolBox)/ 인텔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소프트웨어 제공

제조사/ 유통사

인텔 (http://www.intel.com)
이트론 (http://www.e-trons.co.kr)

가격

254,000원/ 499,900원 (2014년 3월 31일자 최저가)

기존 530 시리즈가 SATA3와 PCIe M.2, mSATA 등 다양한 폼팩터를 제공하는 것과 다르게 데스크탑 및 노트북 사용자를 위해 2.5인치 크기를 제공하며 두께는 최근의 슬림형 노트북 등에 맞춰 7mm 두께로 호환성을 높였다.

 

인텔 SSD 530 시리즈 (상)/ 730 시리즈 (하)

2.5인치로 기본 크기는 기존 데스크탑용 SSD와 큰 차이는 없으며 반도체 구조가 프린팅된 인텔 로고 스티커를 부착한 530 시리즈와 다르게 하이엔드 및 고성능 유저를 타겟으로 하는 인텔 제품군에 부착되는 스컬 로고가 프린팅된 스티커를 부착해 고성능을 원하는 유저를 타겟으로 하는 제품임을 알리고 있다. 외부로 노출된 고정 나사 중 하나는 봉인 씰을 겸한 스티커가 임의 분해를 방지한다.

 

인텔 SSD 730 240GB (좌)/ 730 480GB (우)

인텔 SSD를 유통하는 이트론(구 디지털헨지)이 테스트를 위해 제공한 730 시리즈 SSD는 2종으로 240GB와 480GB로 240GB는 판매 제품과 동일하나 480GB는 리뷰용 샘플 제품으로 730 시리즈의 코드명 Jackson Ridge가 프린팅된 스티커가 부착되었다. 공통적으로 후면에 부착한 스티커는 펌웨어, 용량, 시리얼 넘버와 모델명, 인증 마크 등이 표시된다.

 

인텔 3세대 컨트롤러와 20nm MLC 낸드 플래시 탑재


인텔 SSD 730 시리즈 480GB (상)/ 240GB (하)

인텔 730 SSD는 240GB와 480GB 용량의 2종이 판매되는데 기존과 같이 금속 재질의 하단 하우징을 이용하며 쇼트 방지 처리가 적용된다.

480GB 용량은 최대 성능을 제공하면서 PCB 전면과 후면 모두에 총 16개의 인텔 (IMFT) 20nm MLC 낸드 플래시 메모리가 장착되나 240GB는 6개의 낸드 플래시 메모리가 제외된 총 9개의 낸드 플래시 메모리가 장착되어 용량에 차이가 발생한다. 사용한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29F32B08MCMF2로 100MHz 클럭을 적용해 동일한 스펙을 제공한다.

 

일반 SSD가 하루에 20GB 쓰기의 내구성을 제공하는데 반해 480GB 제품은 하루 70GB의 데이터를 5년간 쓰고 지울 수 있는 내구성(수명)을 제공한다. 이전 세대 530 시리즈의 배에 해당하는 내구성으로 그만큼 오랫동안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5년의 제한보증을 지원한다. 두 제품 모두 RAID 0 구성시에도 안정적인 성능을 내준다. 다만 일반 데스크탑 환경에서 사용빈도가 낮은 AES-256bit 암호환 기술은 제외했다.

 

IMFT 낸드 플래시 (29F32B08MCMF2)와 35v 47uF 캐패시터 2개

또한 인텔 730 SSD 240GB와 480GB 모델은 기존 인텔에 데스크탑 시장에 발표한 SSD와 다르게 서버급 안정성 향상을 위한 위한 설계가 적용됐다. 기존 SSD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35v 47uF 일본 케미콘사의 캐패시터 (KZH) 2개를 장착한 것이 그것으로 해당 캐패시터는 급작스러운 정전 등과 같은 상황이 발생했을 때 데이터 안정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한다.

 

인텔 3세대 컨트롤러 (PC29AS21CA0)와 버퍼 메모리

인텔은 X25-M 시리즈 SSD까지는 인텔이 개발한 컨트롤러를 사용해왔으나 이후 510 시리즈 SSD에서는 마벨 (Marvell) 88SS9187, 520/ 530/ 330/ 335 시리즈 SSD에는 샌드포스 (SandForce) 컨트롤러 (SF-2281 또는 530의 인텔 BF29AS41BB0로 샌드포스 커스텀 버전 예상)를 탑재했다.

인텔 730 시리즈 SSD는 인텔이 최근까지 데스크탑용 SSD에 사용한 샌드포스 계열이 아닌 자사가 개발한 3세대 컨트롤러 (PC29AS21CA0)를 탑재했다. 인텔 컨트롤러는 성능과 안정성이 뛰어난 컨트롤러로 알려져 왔고 X25-M 시리즈 이후에는 주로 서버에 사용되어 왔다. 3세대 컨트롤러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와 함께 팩토리 오버클럭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600MHz의 클럭을 적용해 일정 수준 이상의 높은 성능을 내준다. 버퍼 메모리는 480GB는 1GB, 240GB는 512MB를 제공한다.

한편 인텔이 데스크탑에 사용해온 LSI 샌드포스 컨트롤러는 고유의 압축 알고리즘 사용으로 벤치마크시 차이가 있으나 더 적은 데이터를 기록해 낸드 플래시 수명 유지, 성능과 안정성을 갖추었다. 최근 주로 사용되는 삼성전자 MDX/ MEX 컨트로러와 마벨 컨트롤러도 성능과 안정성면에서 인정받고 있다.

 

인텔 730 시리즈 240GB (좌)/ 480GB (우) 사용 가능 용량

SSD는 2의 배수를 이용해 128/ 256GB 용량을 제공하지만 인텔은 대체적으로 예비영역 (Over-Provisioning)을 제외하고 120/ 240GB 용량으로도 표기해왔는데 인텔 730 시리즈도 예비영역을 제외한 240/ 480GB 용량으로 표기된다. 윈도우 8.1 (Windows 8.1)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한 용량은 240GB가 223GB, 480GB는 446GB다.

 

인텔 SSD 730 시리즈에는 인스톨 가이드 및 워런티 문서를 담은 CD, PC 케이스 고정을 위한 볼트, SATA 데이터 케이블, 인텔 SSD 사이트를 소개하는 스티커가 제공된다.

 

인텔 SSD 730 시리즈 NCQ와 TRIM 지원

 

인텔 730 시리즈, NCQ와 TRIM 지원

인텔 530 시리즈 SSD는 SATA-IO에서 제정한 DevSleep를 지원해 이를 지원하지 않는 기존 SSD가 절전 모드에서 100mW 내외의 전력을 소비한데 반해 1/20 수준인 5mW로 소비전력을 낮추고 절전 모드 복귀 시간은 20ms 수준으로 유지해 배터리 시간을 위해 저전력을 강조한 울트라북이나 태블릿 등에도 적합했다.

730 시리즈 SSD는 하이엔드 및 고성능을 원하는 게이머를 타겟으로 하는 만큼 DevSleep 지원은 제외하고 있으며 SSD 최적화를 위한 NCQ와 트림 (TRIM)은 기본으로 제공한다.

 

인텔 SSD 730 시리즈 480GB에서 최대 성능 제공


인텔 SSD 730 시리즈는 240/ 480GB 용량을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기존 SSD가 240/ 256GB에서 최대 성능을 내주는 것처럼 480GB 용량에서 최대 성능을 내줄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이를 반영해 테스트 결과를 참고하자.

테스트에는 인텔 코어 i7 4770K와 기가바이트 (GIGABYTE) GA-Z87X-UD3H, 삼성전자 PC3-12800 (DDR3-1600MHz, CL9-9-9-24, 1T) 4GB x 2, 엔비디아 (NVIDIA)는 지포스 GTX 760 2GB 레퍼런스를 이용했다.

 

SSD는 삼성전자 840 Pro 256GB와 샌디스크 (Sandisk) Extreme II 240GB, 인텔 530 240GB, 인텔 730 240/ 480GB의 5종을 비교했다.

 

AS SSD Benchmark, 730 시리즈 480GB에서 최대 성능

]

AS SSD 벤치마크 (인텔 730 240GB/ 480GB)

AS SSD 벤치마크 (삼성 840 Pro 256GB/ 샌디스크 Extreme II 240GB)

AS SSD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인텔 3세대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730 시리즈는 SATA3 (6Gbps) 인터페이스가 낼 수 있는 순차 읽기와 쓰기 성능은 경쟁 제품보다 약간 느린 편이다. 하지만 운영체제를 사용하면서 체감할 수 있는 4K 랜덤 읽기와 쓰기 성능은 최대 성능을 내주는 480GB가 좋은 성능을 내줬고 240GB도 비교적 안정적인 성능을 내준다.

 

Anvil's Storage Utilities, 730 시리즈 480GB에서 최대 성능

Anvil's Storage Utilities도 앞서 살펴본 AS SSD 벤치마크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가 내줄 수 있는 기본 스펙은 경쟁사 제품보다 약간 부족했다. 체감 성능에 영향을 주는 4K 랜덤 읽기와 쓰기는 730 시리즈 240/ 480GB 모두 안정적인 성능을 내줬다.

 

CrystalDiskMark, 순차 읽기와 쓰기 성능 낮아

인텔 730 시리즈 240GB와 480GB, 랜덤 (좌)/ 0fill (우)

크리스탈디스크마크 (CrystalDiskMark)는 랜덤 테스트와 0fill 테스트를 통해 SSD의 기본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데 인텔이 데스크탑에 사용해온 샌드포스 계열 컨트롤러는 랜덤과 0fill 테스트에서 연속 쓰기와 512K, 4K QD32 항목의 결과가 달랐고 0fill에서 이들 항목의 성능이 우수했다.

인텔 730 시리즈 SSD는 인텔 3세대 컨트롤러를 사용해 샌드포스 컨트롤러와 다르게 랜덤과 0fill 테스트에서 오차 범위 정도로 성능 차가 적은 것으로 확인된다. 하지만 앞서 테스트한 2종의 벤치마크 테스트와 다르게 SATA3 (6Gbps) 인터페이스가 낼 수 있는 순차 읽기와 쓰기 성능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다른 두가지 테스트 프로그램에서 적정 수준을 내준 것과 비교해 수치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는 이제 출시한 730 SSD와 크리스탈디스크마크 사이의 지원이나 펌웨어 최적화 등의 문제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730 SSD는 체감 성능에 영향을 주는 4K 랜덤 읽기와 쓰기 성능은 경쟁 제품과 비교해 큰 차이는 없어 실제 사용 환경에서의 체감 성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4K는 작은 크기의 파일을 다루는 테스트로 운영체제나 게임 설치 등 많은 파일을 다루는 성능에 영향을 준다.

 

PCMark 8 - 스토리지 벤치마크

PCMark는 실제 사용 환경에 보다 가까운 테스트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며 PCMark 8 최신 버전 (v2.0.228)을 이용해 테스트를 진행 후 제품 사이의 성능을 비교했다.

 

PCMark 8의 다양한 테스트 중 저장장치 테스트를 이용해 인텔 730 시리즈와 경쟁 제품군의 SSD 성능을 비교했는데 전체 테스트 결과는 각 SSD 사이의 성능 차이를 체감하기 어려울 만큼 서로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배틀필드 3 (Battlefield 3)나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World of Warcraft),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Office)나 어도비 포토샵이나 일러스트레이터, 애프터 이펙트, 인디자인과 같은 여러 작업에서 세부 결과를 확인한 결과 역시 비교에 사용한 SSD 사이의 성능은 체감하기 어려울 만큼 차이가 없었다. 다만 인텔 730 시리즈 480GB는 현재 고성능을 제공하는 비교 제품 대비 근소하게 빠른 처리 시간을 제공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현재 대부분의 고성능 SSD가 SATA3 한계에 가까운 성능을 제공하고 상향 평준화되었기 때문으로 각 사의 주력 SSD를 사용하면 성능을 체감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편의를 위한 SSD 관리와 마이그레이션 소프트웨어 제공


인텔 SSD 관리 프로그램 Toolbox

인텔은 경쟁사보다 한발 앞서 SSD 전용 관리 프로그램인 툴박스 (Toolbox)를 제공해왔다. SSD의 수동 TRIM, 진단 스캔과 보안 및 성능 최적화를 위한 Seure Erase,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최적화를 위한 시스템 튜너, 그 외에도 SSD 및 시스템 정보를 지원한다.

 

SSD 시스템 내용을 그대로 옮길 수 있는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소프트웨어

또한 인텔은 기존에 사용하던 시스템 상태를 그대로 인텔 SSD에 옮겨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소프트웨어도 제공한다. 마이그레이션은 간단한 작업으로 사용해 편리하다.

인텔이 제공하는 SSD 관리 프로그램은 여기, 마이그레이션 툴은 여기를 누르면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SSD 마이그레이션과 관리 툴에 대한 내용은 보드나라 기사를 확인하도록 하자.

SSD를 샀다, 프로그램 설치, 패치, 설정 노가다를 또?

불편하고 복잡한 SSD 설정, SSD 관리 툴로 해결하자

 

서버급 안정성과 내구성을 제공하며 높은 성능 구현해


일반적으로 서버용 SSD는 데스크탑 만큼의 높은 성능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안정성과 내구성(수명)면에서는 큰 차이가 있으며 이에 중점을 두고 개발된다. 반면 데스크탑용 SSD는 안정성과 내구성은 일반적인 기준에 맞추는 대신 성능에 보다 초점을 맞춰 만들어진다.

인텔 SSD도 데스크탑용은 경쟁사의 SSD와 마찬가지로 적절한 내구성에 안정적인 성능은 주력해왔으며 여기에 서버에 사용하는 구성을 더해 서버급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제공하면서 데스크탑 못지 않은 높은 성능을 제공하는 SSD가 730 시리즈다.

내구성은 기존 530 SSD의 2배에 이르면서 성능은 데스크탑 고성능 SSD 제품군과 견주에 크게 떨어지지 않는 성능을 제공하는 만큼 고성능을 원하는 게이머 및 하이엔드 유저가 선택하기에 적합하다.

 

고성능 SSD 시장을 목표로 하는 인텔 SSD 730 시리즈

인텔 SSD 730 시리즈는 테스트를 통해 확인되었듯이 단일로도 기존 데스크탑 고성능 SSD에 못지 않은 성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운영체제 사용과 체감 성능에 영향이 있는 4K 성능도 안정적으로 내준다. 이를 통해 기존 530 시리즈를 상회하는 성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여러 테스트를 통해 확인되었듯이 현세대의 SSD는 SATA3 인터페이스 한계와 성능 상향 평준화로 각 제품 사이의 성능은 체감하기 어려워진 만큼 구형 SSD 교체는 성능의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기존 고성능 SSD에서 730 시리즈 SSD로의 교체에는 큰 이점이 없어 보인다.

가격 형성면에서도 인텔 730 시리즈는 1GB 당 1040-1050원 전후를 형성하고 있어 가격 경쟁력이 다소 부족하다. 이는 최근 MLC 기반 SSD가 1,000원 전후를 형성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대신 경쟁사나 기존 530 SSD 대비 향상된 내구성이나 5년의 긴 A/S 기간 제공은 경쟁사와 차별화 포인트다. 여기에 인텔의 안정적인 펌웨어 지원과 SSD 관리 및 마이그레이션 소프트웨어 제공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부분은 플러스 요인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Meho ho594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4-03-31 22:47/ 신고
-On Mobile Mode -
성능은 스펙에 비해 생각보다 괜찮게 나오네요. 다만, 가격은 그닥..... 결국 쓸모없는 오버클럭된 칩 ㅋ
마프티 psywin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4-04-01 13:41/ 신고
인텔이 저런식의 디자인을 하다니 의외네요
리크 redcurs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4-04-02 14:49/ 신고
해골인지 외계인 머리인지
저 디자인 해도 중국내 판매허가 나오나보져?
성능은 적당한데 가격이.. 먼산..
붉을달 / 14-04-09 21:55/ 신고
앞으로 외계인을 갈아 넣을꺼라고 말하는건가요?!
준여니 / 21-01-17 22:27/ 신고
성능이야 짱이고, 내구성도 대단한게 2020년부터 인텔 730 시리즈 SSD 480GB를 더티 상태로 빡세게 굴렸는데 아직도 수명은 한참 남았습니다 ㄷㄷ 대단한 놈입니다 ㄷㄷ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3/31] 넷마블 신작 <뱀피르>, ‘디렉터스 코멘터리’ 경쟁편 공개  
[03/31] AWS, 국내 AI 도입 확산세 확인  
[03/31] '천상비M',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인기 웹툰 '북검전기' 콜라보 발표!  
[03/31] 시스템베이스, 다이렉트/크로스 서지 젠더 2종 동반 출시!!  
[03/31] 소리샵, 부메스터(Burmester) 풀 패키지 프로모션 진행  
[03/31] 에스넷시스템, KT와 국내 최초 성균관대 전 캠퍼스 5G 특화망 구축  
[03/31] 넥슨, ‘블루 아카이브’ 글로벌 PC 버전 스팀 정식 출시!  
[03/31] 현대인의 여행과 출장길 동반자, 벨킨 부스트차지 시리즈  
[03/31] MSI, 지포스 그래픽카드 사고 스팀 월렛 받자  
[03/31] 포켓몬코리아, 메타몽 프로젝트 in 부산 개최 예고  
[03/31] 마이크로닉스, 실버스톤 FLP01 레트로 케이스 출시  
[03/31] LAPIN(라핀), 닌텐도 스위치 패키지판 호평 예약 접수 중  
[03/31] 넷이즈게임즈, 데스티니: 라이징 글로벌 출시 발표  
[03/31] 크래프톤, 인도 최정상 프로팀 초청 BGMI e스포츠 대회 개최  
[03/31] 에이수스, 팬리스 임베디드 컴퓨터 EBS-S510W/EBS-P310W 출시  
[03/31] Niantic, Pokemon GO 피카츄의 사계여행: 청량한 여름파티 진행  
[03/31] 영혼 키우기 x 귀환자의 마법은 특별해야 합니다, 콜라보 사전예약 실시  
[03/31] 2K, WWE 2K25 닌텐도 스위치2 버전 오는 23일 전 세계 동시 출시  
[03/31] OneUI 8서 삼성전자 멀티 폴드 스마트폰 애니메이션 유출  
[03/31] 슈퍼지구의 민주주의 전파, 헬다이버즈 2 엑스박스로 출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