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MDR-1R의 뒤를 잇는 HRA 지원 레퍼런스 헤드폰, SONY MDR-1A

2014-12-12 12:00
방수호 前 기자 scavenger@bodnara.co.kr

소니(SONY) MDR-1A는 소니의 새로운 레퍼런스 헤드폰으로 기존 제품인 MDR-1R의 후속 모델이다. 3세대 HD 드라이버를 통해 최대 100kHz 음역대까지 지원하는 HRA (High Resolution Audio) 호환 제품으로, 사람의 가청 음역대 이상의 고음질 음원의 사운드 감상용으로 최적이다.

 

 

최대 100kHz 주파수 지원하는 소니 MDR-1A

MDR-1A는 얼핏 보면 기존의 MDR-1R과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유사해 외형 차이는 크지 않은데 그 대신 부족했던 부분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변화를 주었다. 직접 귀에 닿는 이어패드 부분은 귀에 밀착 시키고 착용감을 높일 수 있도록 아래쪽 부분이 조금 더 두툼한 형태가 되었으며 재질도 바뀌었다.

 

이어패드 가운데에서는 소리가 출력 되는 드라이버 유닛을 발견할 수 있다. 직경 40mm의 3세대 HD 드라이버는 최소 3Hz에서 최대 100kHz 주파수의 음역대를 지원하는데 기존의 MDR-1R은 최대 80kHz까지 지원했기 때문에 MDR-1A는 보다 넓은 음역대의 사운드 출력이 가능하다. 이처럼 지원 주파수 범위를 넓힌 것은 근래 각광 받기 시작한 FLAC, ALAC 24비트 음원이 최소 96kHz 이상의 주파수도 일반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드라이버 유닛의 액정 폴리머 진동판은 알루미늄이 진공 증착 방식으로 코팅 처리 되었는데 그에 따라 내구성을 높이고 울림 현상을 방지하여 사운드 왜곡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다만 드라이버 유닛을 보호하는 천은 마치 방충망처럼 촘촘한 구멍이 무수히 뚫려 있으면서 매우 얇기 때문에 쉽게 손상 될 수 있어서 사용 시 주의가 요구 된다.

 

과연 음질 면에서 어떤 변화가 이뤄졌는지 알아보기 위해 기존 제품인 MDR-1R을 비교 대상으로 하여 2시간 가량 평소 즐겨 듣는 노래들을 청취해 보았다.

평소 고음이 강조 되는 인이어 이어폰을 사용하는 필자에게 두 헤드폰의 음색은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느껴졌는데 MDR-1R은 마치 거리를 더 둔 채로 듣는 듯한 느낌 때문에 볼륨을 약간 높이고 싶은 기분이 들었고, 종종 보컬과 악기 소리 등이 확실하게 분리 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느껴졌다.

MDR-1A로 교체해서 다시 들어보면 그런 부족한 부분들이 충분히 해결 되었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 음역대에 따라 좀 더 명확하게 분리 된 채 들리는 것만으로도 청취 시 상쾌한 느낌을 주었으며, 다채로운 악기들로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곡에서는 저음역대 악기들 특유의 울리는 소리도 문제 없이 구현 되었다.

한편 강렬한 고음을 선호한다면 MDR-1A는 부족하게 느껴질 수 있다. 즐겨듣는 노래들 중 가수의 고음이 최고조를 이루는 부분에서 평소보다 박력이 낮아진 기분이 들어 반복 청취해 보았는데, 그 결과 고음역대 사운드가 두드러지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MDR-1R도 비슷하였다.

따라서 화끈한 고음을 즐기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그 대신 자극적인 고음 때문에 귀에 축적 되는 피로를 덜 수 있으므로 장시간 편안하게 음악을 감상하는 것을 원한다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24비트 HRA 음원을 들어본다면 어떨까?

HRA 음원 재생을 지원하는 소니 워크맨 NWZ-A15

HRA는 24비트와 최대 352kHz 주파수 지원 등을 통해 CD (16비트 44.1kHz)보다도 원음에 가까운 고품질의 사운드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런 HRA 기반 음원 재생을 위해서는 MDR-1A 같은 헤드폰과 더불어 전용 재생장치가 필요한데 소니의 워크맨(WALKMAN) NWZ-A10 시리즈도 그 중 하나이다.

과연 HRA가 탁월한 사운드 효과를 제공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MDR-1A와 워크맨 NWZ-A15를 사용하여 HRA 음원들을 청취해 보았다.

한참 동안 집중하여 음악을 감상하였으나 안타깝게도 필자는 HRA 음원의 특색을 잡아내지는 못했다. 혹시 MP3와 비교한다면 느껴지지 않을까 싶어서 한 곡을 지정해 MP3로 다운 샘플링하여 압축 손실 된 음원을 차례대로 다시 들어보았지만 파일 정보를 보지 않는 이상 HRA 음원과 구별하지는 못했다.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은 사람의 가청주파수가 20kHz 이하로 제한 되는 것이 큰 이유인데 평소 익숙하게 듣는 음악이 아닌 이상 HRA와 압축 손실 음원 사이의 차이를 감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케이블은 교체 방식, 원한다면 고급형도 구매 가능

케이블은 헤드폰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는 교체형 구조이다. 기본 제공 되는 케이블은 두 가지인데 이 중 하나는 애플 모바일 기기에 호환 되는 컨트롤러가 장착 되어 음악 재생/정지/트랙 이동, 전화 수신 기능을 지원한다.

케이블 내부는 무산소동(Oxygen Free Copper, OFC)에 은 도금 처리가 되어 아날로그 신호 손실을 줄여주며 좌우 분리형 접지가 도입 되어 혼선(Cross Talk) 현상을 최소화 시킨다.

 

이미지 출처: 소니스토어 MDR-1A 정보 페이지

한편 소니는 MDR-1A에 호환 되는 고급형 케이블 MUC-S 시리즈도 함께 출시하였다. 기본 케이블과 마찬가지로 은 도금 처리 된 무산소동과 좌우 분리형 접지가 적용 되었고 신호 전송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굵기의 선들을 케이블 하나로 구성하는 멀티 게이지 컨덕터(Multi-gauge Conductor)와 + / - 오디오 신호 케이블을 꼬아서 전류 자속을 없애는 트위스트 페어(Twisted Pair) 기술이 적용 되었다. 세 가지 모델이지만 연결 방식만 차이 날 뿐 내부 구조는 동일하다.

고급형이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게 가격은 10만 원 내외로 책정 되었는데, MDR-1A 가격의 1/3 정도이기 때문에 상당히 부담스럽게 느껴진다. 소비자로서는 케이블 교체만으로 대단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 의구심을 품을 수밖에 없으므로 소니는 다양한 제품 체험 기회를 제공하거나 보다 현실적인 가격을 책정할 필요가 있다.

 

제품 이름 SONY MDR-1A
스피커 타입 다이나믹 40mm
임피던스 24 Ohm
음압 레벨(SPL) 105dB/MW
주파수 응답 3Hz~100kHz
감도 -42dB
케이블 길이 1.2m, 탈착형
마이크: 무지향성, -40dB, 20Hz~20kHz
무게 225g
제조사

SONY (http://www.sony.co.kr/)

가격 299,000원(소니스토어 공식 가격)
이 기사의 의견 보기
파이올링 / 14-12-12 13:26/ 신고
아.. 진짜 한번 듣고픈 제품이네요 ^^
마프티 psywin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4-12-12 19:12/ 신고
-On Mobile Mode -
가격이넘사벽급은아니네요
Meho ho594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4-12-12 21:37/ 신고
기존 제품을 쓰고 있는것도 아니고, 직접 들어볼 수 없어서 헤드폰 리뷰는 봐도 참 평가하기가 애매해요. 패션용으론... 뭐 괜찮아 보이네요.
Scavenger bmw37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4-12-13 2:57/ 신고
그래서 일부 매장에서 청음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것 같습니다. 일단 MDR-1A는 패션보다는 사운드가 우선인 제품이라고 말하고 싶군요.
nomasume kamiru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4-12-15 23:58/ 신고
리뷰와 디자인을 보니 상당히 끌리네요.
IQ70 lee6434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4-12-16 11:49/ 신고
HRA 음악 청취용으로 가성비로 봐선 가장 무난한 헤드폰같습니다.
잘 보았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프리스트 rubyc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4-12-19 11:30/ 신고
30만원 정도면 헤드폰 선택의 폭이 넓으니 잘 선택을..
꾸냥 / 14-12-21 12:02/ 신고
-On Mobile Mode -
개인적으로 헤드폰에 삼십만원 쓰고 싶지는 않네요.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12/12] 이 회사가 우리나라거였어? 00년대 세계적으로 유명했던, 한국계 HDD 3대장 [PC흥망사 13-1]  
[12/12] 넷마블 <제2의 나라>, ‘영혼의 고리’ 신규 지역 추가 등 업데이트 실시  
[12/12] 콕스, 통 실리콘 흡음 구조의 저소음 기계식 키보드 ‘CSK105’ 출시  
[12/12] <마블 라이벌즈> 시즌 2.5 상세 업데이트 공개  
[12/12] 제이씨현, UDEA 32형 IPS 100Hz QHD 모니터, ED3231HQ 모니터 출시!  
[12/12] RTX 50 시리즈 의외의 다크호스, GAINWARD 지포스 RTX 5060 고스트  
[12/12] 그리프라인, 멀티플레이 어드벤처 게임 ‘팝유컴’ 6월 2일 정식 출시!  
[12/12] 벤큐 조위, 국내 최초 FPS 전용 프리미엄 e스포츠 PC방 ‘조위존’ 오픈  
[12/12] '카오스 온라인' 정식 라이선스 게임 ‘카오스 디펜스 머지?’ 사전예약 시작  
[12/12] 스타폴게임즈, '카오스 온라인' 정식 라이선스 게임 ‘카오스 디펜스 머지?’ 사전예약 시작  
[12/12] 마우저, 몰렉스(Molex)의 광범위한 커넥터 솔루션 포트폴리오 공급  
[12/12] 발키리, 컴퓨텍스 2025 공랭 및 수랭쿨러 신제품 공개  
[12/12] 넷마블, 신작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 글로벌 정식출시  
[12/12] 삼성전자, 갤럭시 S25 엣지 국내 출시  
[12/12] RTX 50 시리즈 12VHPWR 커넥터 사용자 개조 사례 등장  
[12/12] 예스24, 첫 컬러 이북 리더기 '크레마 팔레트' 정식 출시  
[12/12] 블루투스 SIG, Bluetooth Asia 2025 중국 선전에서 개막  
[12/12] 기가바이트와 ZOTAC의 LP형 지포스 RTX 5060 실물 공개  
[12/12] 틱톡, '틱톡샵 활용한 글로벌 확장' 세미나 개최  
[12/12] 카카오게임즈 배틀그라운드 다나와배 대학최강전, 5월 24일 결승전 생중계 진행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