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코가 '2014-2019 시스코 비주얼 네트워킹 인덱스 글로벌 전망 및 서비스 도입 보고서(Cisco® Visual Networking Index Forecast and Service Adoption for 2014 to 2019, 이하 시스코 VNI 보고서)를 발표하고, 전 세계 IP 트래픽이 2014년에서 2019년 사이 3배 가량 증가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 기간 전세계 IP 트래픽 연평균성장률(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은 23%로, 3년 후인 2019년에는 전세계 IP 트래픽이 연간 2 제타바이트(Zettabyte)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1 제타바이트(ZB)는 약 1조 1000억 기가바이트(GB)에 달하는 데이터량이다.
또한 2014년 월 59.9 엑사바이트에 달했던 전세계 IP 트래픽이 오는 2019년에는 '인터넷 시대(1984년~2013년 말)'에 발생한 트래픽의 총량과 맞먹는 월 168 엑사바이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국내 IP 트래픽은 2019년에 2014년 대비 2배 가량 증가한 연간 67.8 엑사바이트에 달하며, 13%의 연평균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시스코는 IP 트래픽 증가 요인으로 ▲인터넷 사용자 증가 ▲기기와 연결의 급증 ▲ fixed 브로드밴드 속도 증가 ▲선진 비디오 서비스 증가 ▲모빌리티 성장 추세 유지 ▲만물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 IoE) 과 M2M의 성장 ▲게임 관련 네트워크 트래픽 급증 ▲온라인 뮤직, 위치기반서비스(LBS) 등 다양한 서비스 도입을 꼽았다.
특히 향후 5년간 HD/UHD 비디오 및 구형/360도 동영상(spherical/360 video) 등과 같은 진화된 비디오 서비스와 비디오 중심의 M2M 애플리케이션 발전을 비롯해 기업의 웹 기반 화상회의, 비즈니스 VOD 등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전세계 IP 비디오 트래픽이 전체 IP 트래픽의 80%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2014년 전체 IP 트래픽의 60%를 차지한 국내 IP 비디오 트래픽은 2019년 전체 IP 트래픽의 75%에 이를 전망이다.
시스코의 제품 및 솔루션 마케팅을 총괄하는 더그 웹스터(Doug Webster) 부사장은 “사회 전반에 만물인터넷을 중심으로 디지털 시대가 도래하는 시점에서 이번 VNI 보고서는 더욱 의미가 크다”라고 말하며, “시스코는 우리의 고객은 물론 업계와 시장이 함께 무한한 기회와 가능성을 열어갈 수 있도록 계속 연구하고 노력할 것”이라 밝혔다.
'2014-2019 시스코 비주얼 네트워킹 인덱스 글로벌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전세계 인터넷 사용자 수는 28억명으로 전 세계 인구(72억명)의 39%를 차지했으나, 2019년에는 전 세계 인구 76억명의 51%인 약 39억명의 인구가 인터넷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인터넷 사용자 수는 2014년 4,600만 명에서 2019년 4,800만명으로 증가하며, 2019년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94%가 인터넷에 접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세계적으로 1인당 네트워크 연결 기기 수는 2014년에는 2개였으나 2019년에는 3.2개로 증가하면서 2014년 140억 개였던 네트워크 연결 기기들은 2019년에는 240억 개에 달할 것으로 전망으로, 우리나라의 1인당 네트워크 연결 기기 수는 2014년 5.6개에서 2019년 11.9개로 2배 이상 증가함과 동시에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의 수가 2014년, 2억7천 7백 8십만 개에서 2019년, 6억 2백 8십만개로 증가할 전망이다.
평균 속도의 경우 2014년 20.3Mbps 에서 2019년 42.5Mbps로 2배 이상, IP비디오 트래픽은 전체 IP 트래픽의 67% 수준에서 80% 수준으로 증가하고, 2019년 매월 전세계 IP 트래픽의 14% 이상은 셀룰러 연결로, 53% 이상은 와이파이 연결로 생성될 전망이다.
취근 주목받고 있는 사물인터넷의 경우 향후 5년간 전세계 M2M 연결이 3배 이상 증가해 2019년에는 105억 건에 달하며, 이 중 원격 의료 분야는 2014년에서 2019년 사이 8.6 배(연평균성장률 54%) 성장해 M2M 연결 부문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기록, 스마트홈 서비스는 전세계 전체 M2M 연결의 약 절반 가량인 48%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가별로는 2019년 미국(월 45.7엑사바이트)과 중국(월 21.9엑사바이트)이 가장 많은 트래픽을 생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4년에서 2019년 사이 남아프리카와 사우디아라비아는 연평균성장률 44%로 가장 높은 IP 트래픽 증가율을 보일 것이며, 인도네시아(연평균성장률 36%)와 인도(연평균성장률 33%)가 그 뒤를 따를 전망이다.
‘2014-2019 시스코 비주얼 네트워킹 인덱스 글로벌 전망 및 서비스 도입 보고서’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와 국가별 세부 수치는 Visual Networking Index homepage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