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앱스토어별 결제한도와 보안, 아이들의 무분별한 결제 막는방법은 없을까?

2016-02-23 17:00
최재연 기자 yeon120@bodnara.co.kr

2016년 현재 1인 1스마트폰 시대가 도래했다. 장년의 어르신부터, 어린 아이까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컴퓨터처럼 응용프로그램, 즉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통해 많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앱은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있기도하지만, 각 통신사별, 혹은 휴대폰 제조사들로부터 제공되는 판매점, 마켓 혹은 스토어로부터 무료로 혹은 유료로 구매해 설치가 가능하다. 앱 내부, 특히 게임앱에서는 내부에서 아이템이나 게임 화폐같은 것을 추가적으로 유료결제해서 구매할 수 있다.

앱 구매에서부터, 게임내 앱 결제까지 매우 다양한곳에 현금이 사용되고 있어 최근들어 화폐의 가치를 모르고 마구 구매한다거나, 혹은 부모님 개인정보를 이용해 부모님 몰래 결제하고 있는 소식이 간간히 들려온다.

그래서 이번기사에서는, 각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별, 그리고 통신사별 결제한도와 아이들이나 혹은 타인이 내 스마트폰을 통해 무분별하게 결제하는 불상사를 막는법을 알아보려한다.

 

스마트폰 스토어 결제, 무시했다간 큰 코 다친다. 결제 한도 살펴보기

법과 스토어의 구조 변경으로 인해 최근에는 피해사례가 조금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미성년자, 혹은 미취학 아동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해 무심코 결제를 해 버리는 피해는 여전하다.

뉴스를 살펴보면 이러한 피해자들은 몇백만원부터 최대 몇천만원까지 수시로 결제가 되어 큰 피해를 보았다는 사례가 많다.

그렇다면 앱, 앱내부 유료결제의 결제 한도는 없을까? 앱스토어와 통신사요금에 합쳐서 나오게되는 소액결제의 한도를 살펴보도록 하자.

 

먼저 국내에 가장 많이 쓰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인, 안드로이드OS의 구글플레이다. 구글플레이는 미리 충전해서 사용하는 상품권을 제외하고, 현재 신용카드, 통신사 결제가 주 결제 수단인데, 이 두가지의 결제 수단의 결제한도는 조금 다르다.

 

가장 큰 피해를 보게 만든 결제 수단은 신용카드이다. 신용카드는 앱스토어 결제 한도가 따로 정해져있지 않으며, 한도 자체는 카드 한도를 따라간다.

때문에  몇백만원, 몇천만원 피해를 본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신용카드결제로 인한 피해다. 그렇다면 통신사 결제는 어떨까? 현재 국내의 대표 통신사인 SKT, KT, LGU+의 통신사 결제를 살펴보았다.

 

먼저 SKT의 통신사 결제 한도는 한달에 최소 3만원에서 최대 50만원이다. 3만,6만,12만,20만,30만,50만 순이며, 매달 한단계씩 상향 및 하향이 가능하다.

KT의 경우에도 최대 50만원 까지 가능하며 월 4만,12만,18만,30만,50만원으로 자유롭게 조정이 가능하다.

반면 LGU+는 신규고객은 월 10만원 고정이며, 5개월이 지난뒤 기존고객으로 바뀌어 등급이 일반인 경우에는 월 30만원 VIP고객인 경우는 월 50만원 까지 가능하다.

이처럼  통신사 결제는 월별 결제한계가 존재해, 카드한도를 따라가는 신용카드보다는 피해받을 수 있는 금액이 낮은편이긴하나, 무시할 만한 금액은 아니다.

 

iOS의 앱스토어는 어떤 결제와 결제한도를 가지고 있을까? 현재 국내 앱스토어에는 신용카드, 혹은 체크카드 만 결제가 가능하다, 해외의 경우에는 상품권으로 미리 충전해놓고 결제가 가능한 방식이 있지만 국내 앱스토어는 지원하지 않아 신용카드가 거의 유일한 결제수단이다.

iOS의 앱스토어 역시 신용카드 결제의 한도는 카드한도에 따라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추가로 구글플레이, 앱스토어, 이외에도 통신사들의 자체적인 애플리케이션 스토어가 존재하고 있는데, 필자가 사용하는 SKT의 T스토어의 경우에는 OK캐쉬백,문화상품권 등등 국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결제 방식과 통신사결제, 신용카드까지 포함하고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T의 올레마켓, LG U+스토어 역시 마찬가지이며, 기타 다양한 결제방식을 제외하고는 신용카드와 통신사결제의 한도는 구글플레이와 마찬가지로, 카드한도와 정해진 금액을 따라야 했다.

 

스토어 결제 잠금은 필수!

앞서 스토어들의 결제한도를 살펴보았는데, 통신사결제는 한도가 존재해 일정금액이상의 피해는 받지 않지만, 신용카드의 경우는 한도가 카드한도를 따라가기 때문에 피해 수준이 차원이 다를 수 있다.

초기 각종 스토어들은 결제의 불편함을 간소화 하기 위해 보안장치를 매우 허술하게 해놓아 많은 피해들이 일어났다. 과거 기사들을 잠깐 살펴보면, 어떤 미성년자는 부모님의 스마트폰을 이용하며 매일같이 신용카드를 결제해 수천만원의 금액이 청구되기도 했다.

그렇다면 현재 구글플레이, iOS 앱스토어 등 스토어들은 어떤 결제보안 수단을 해놓았을까?

 

구글플레이의 경우에는 초창기에는 신용카드를 등록해놓으면 그냥 결제버튼만 누르면 어떠한 물음도 없이 결제가 계속 진행되었다. 그러나 지난해 몇몇 대규모 환불사태 등을 겪으면서, 기본적으로 결제할 때 비밀번호를 묻는 방식을 채택했다.

만약 이기능이 설정되어있지 않다면 개인메뉴를 선택, 환경설정. 사용자 컨트롤 부분의 구매시 인증 부분을 선택해 설정할 수 있다.

 

iOS의 앱스토어 경우에는 설정, 일반 부분의 차단부분의 암호필요를 선택하면 즉시, 15분마다를 선택할 수 있다. 앱스토어의 경우에는 무조건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되어있긴하지만 한번 하게되면 15분 동안은 무한정 결제할 수 있기 때문에, 15분보다는 구매할 때마다 결제하도록 하는 즉시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이 설정은 미성년자뿐만아니라 성인들도 실수로 결제버튼을 눌러 즉시 결제되는 불상사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통신사 자체 스토어 또한, 이러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필자가 사용하는 SKT의 T스토어의 경우에는 개인 메뉴의 환경설정-계정설정-보안설정-잠금설정-T store 보안비밀번호 설정을 통해 구글플레이와 같이 결제시 비밀번호를 묻도록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KT, LGU+ 또한 설정방법이 동일하니 꼭 찾아서 해보길 바란다.

 

각종 스마트폰 결제 보안은 철저하게. 쭉~!

(2014년 1월 17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스마트폰 결제 피해자 인터뷰 내용中)

스마트폰 결제 피해의 사례를 찾기는 매우 쉬웠다. 그중 하나를 소개해보자면, CBS의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결제로인한 피해자와 인터뷰한 내용을 볼 수 있었다.

 내용을 간단하게 이야기해보자면, 아이가 부모의 신용카드 번호 주민번호 등을 알아내 한달동안 무려 1700만원 어치의 결제를 했다는 것이다. 또한, 카드사의 결제 문자또한 스팸처리되어 한달동안 아무런 연락도 받지 못했다는 안타까운 사건 인터뷰 내용을 볼 수 있었다.일부 돌려받기는 했지만 그럼에도 몇백만원은 돌려받기 힘들다는 이야기도 포함됐다.

이처럼 스토어 결제는 환불관련해서 스토어와 애플리케이션, 혹은 게임앱사와 모두 이야기 해야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며 전액 환불받기도 매우 어렵다고 한다.

 

(어른이건, 아이건 스마트폰 뺏기는 매우 어려운게 사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자녀가 있다면 가급적으로는 본인 스마트폰을 자녀에게 건네주지 않는 것이 첫번째이며, 그렇지 못할 상황이거나 어렵거나, 혹은 자녀가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신용카드정보를 스마트폰에 저장하지 않고 자녀가 알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통신사 소액결제를 막아놓거나, 미성년자 요금제를 사용하면 스마트폰 결제가 어렵거나 통신사측에서 막아놓기 때문에 이또한 큰 피해를 막는 방법중 하나다.

마지막으로 앞서 소개해주었던 결제시 비밀번호를 요구하도록 잠금설정을 필수로 해주는 것이 피해를 막는 가장 쉽고 간단한 방법이다.

만약 자녀가 없어서 난 안해놓아도 상관없겠지 하는사람들도 꼭 해놓아야 하는 이유가 있다. 바로 분실의 경우를 생각해야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분실한 휴대폰을 어떤 습득자가 통신사 스토어를 통해 마구 결제해 피해를 본 사건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그마한 노력으로 언제 닥쳐올지 모르는 큰 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니, 이제는 자신의 스마트폰 결제 보안을 한번쯤 꼭 신경써보길 바란다.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2/23] MSI, OLED CARE 2.0 패널 보호 기능 24시간 주기로 연장  
[02/23] 무라카미 다카시 x 케이스티파이 : 미스터 도브 (MR. DOB) 컬렉션 공식 출시  
[02/23] ASUS, 16인치 대화면 프리미엄 노트북 ‘Vivobook S 16’ 4월 14일 출시  
[02/23] 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사전등록 보상 추가 지급  
[02/23] 정원엔시스, 컴퓨존 노트북 브랜드 대전, 신상 gram 초특급 할인  
[02/23] 밸로프, ‘라스트 오리진’ OST 기반 라이브 콘서트 개최  
[02/23] 드리미, 한남동에 첫 플래그십 스토어 오픈  
[02/23]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브라우저 134 버전에서 속도 개선  
[02/23] 미디어텍, 플래그십 AI 성능 강화한 디멘시티(Dimensity) 9400+ 발표  
[02/23] 넷이즈게임즈 프래그펑크(FragPunk), 4월 29일 콘솔 버전 출시 발표  
[02/23] 작고 빠른 고속 충전기의 합리적 변신,ipTIME UP451/UP452 화이트  
[02/23] 갓깨비 키우기, 4월 18일 정식 출시 확정  
[02/23] 넥슨, 메이플스토리M 아란 및 은월 직업 리마스터 업데이트  
[02/23] 그래픽 카드,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관세 우회 가능?  
[02/23] 마이크로닉스, WIZMAX 우드리안 프로맥스 출시  
[02/23] 소니, 자율 운전 로봇 및 드론용 세계 최소형 LiDAR 센서 상품화  
[02/23] 위메이드 레전드 오브 이미르, 성장의 시즌 콘텐츠 업데이트  
[02/23] 컴투스 모바일 MMORPG 아이모, 생일파티 시작  
[02/23] VCT 퍼시픽 스테이지 1 4주 차 예고, DRX와 T1, 조 1위를 향해 쏴라  
[02/23] 붕괴: 스타레일, 지구 정화 봉사활동 왕의 쓰레기통과 함께하는 임무 실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