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게이머들이 기다리고 기다리던 파스칼 드디어 나왔다. 맥스웰 아키텍처 보다 개선된 전력소비와 더불어 16nm라는 더욱 진보한
공정기술로 출시 전 많은 기대와 관심을 한몸에 받았었다.
이러한 관심이 주목되는 가운데 NVIDIA에선 파스칼 시리즈(10x0번대) 레퍼런스라는 단어가 아닌 자사의 파운더스 에디션으로 이름을
변경하였으며 공식적으로 MRSP를 따로 설정하여 판매하고 있다.
그 중 비레퍼의 출시를 기다리던 많은 유저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있으니 바로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
1070 슈퍼 제트 스트림(이하 이엠텍 GTX1070 슈젯)의 출시라 할 수 있겠다. 보드나라에선 파운더스 에디션과 함께 이엠텍사에서 출시한 비레퍼 모델을 비교를 통해 간단한 성능과 차이점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팩토리 O.C를 통해 성능향상이 이루어진 이엠텍 GTX 1070 슈퍼 제트스트림
많은 게이머들이 파운더스에디션(레퍼런스)보다 비레퍼 모델을 기다리는 이유는 여러가지 요소가 있겠으나 게이머들이라 한다면 당연 성능이 아닐까
생각된다. 왜냐하면 각 제조사별로 노하우가 축적된 쿨링 팬 기술과 더불어 전원부 구성을 통해 파운더스 에디션 보다 빠른 GPU 클럭 속도로 향상된 성능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먼저 테스트에 참여된 1070FE는 1.506MHz(Base), 1.683MHz(Boost)의 동작속도를 갖고 있으며 팩토리 O.C가
적용된 이엠텍 GTX1070 슈젯은 약 10%가량 클럭이 오른 1.632MHz(Base) 1.835MHz(Boost)의 동작 속도로 동작한다.
Cuda Core의 경우 동일한 1920개다.
과연 실 성능은 얼마나 차이날까? GTX1070 파운더스 에디션, GTX 980Ti 레퍼런스, 이엠텍 GTX 1070 슈젯과 고사양 패키지 게임,
온라인게임, 3D MARK를 통해 살펴보겠다.
팩토리 O.C가 된 제품인 만큼 성능에 있어서 FE(파운더스 에디션 = Ref 레퍼런스)와의 차이가 얼마만큼 벌어지는지 그래픽 카드 성능
테스트를 하기위해 3D MARK를 살펴봤다.
3D MARK 테스트 결과 1070FE는 980Ti 대비 3~5% 우수한 모습을 보여줬다. 아울러 팩토리 O.C를 통해 GPU클럭이 올라간
이엠텍 1070 슈젯 모델은 980Ti와는 약10%가량 1070FE대비 약 3~5%좋은 모습을 보여줬다.
3D MARK 테스트결과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 실제 게임 성능에서도 우수한 모습을 보여주기 마련인데 팩토리 O.C를 적용한 이엠텍
GTX1070 슈젯이 과연 게임성능에서도 차이가 있을까?
팩토리 O.C 실제 게이밍 성능 차이있나?
하이엔드, 플래그쉽 라인업으로 자리잡고 있던 980ti 보다 좋은 성능을 내주는 GTX1070인 만큼 성능 테스트는 FHD(1080P)가
아닌 QHD(1440P)로 진행했으니 참고 바란다.
라이즈 오브 더 툼레이더를 테스트해본 결과 이엠텍 GTX1070 슈젯 모델의 경우 GTX980Ti레퍼런스 버전보다 평균 8FPS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NVIDIA의 1070FE와는 약 8%정도 우수한 76FPS로 5FPS가량 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어서 온라인 TPS RPG게임으로 많은 게이머들에게 인기와 각종 벤치 테스트에 있어서 빠지지 않는 디비전을 살펴보겠다.
앞선 테스트의 연장선으로 디비전에서도 팩토리 O.C가 적용된 이엠텍 GTX1070 슈젯이 세 그래픽 카드 중 평균 FPS가 가장 우수한 모습을 보여줬다.
테스트결과를 전체적으로 살펴봤을 때 GTX1070FE의 성능은 980Ti를 재치고 우위에 있었으며 이엠텍 GTX1070 슈젯의 경우 팩토리
O.C가 적용된 만큼 GTX1070FE 보다 더 좋은 GPU 점수와 쾌적한 게이밍 환경을 제공해 줄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팩토리 O.C가 적용되었다고 한다면 GPU의 쿨링도 중요하게 봐야할 요소이다. 왜냐하면 성능은 올렸지만 쿨링 성능이 안된다면
쓰로틀링이 발생하여 GPU의 성능이 오히려 하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다음 단락에선 기존 GTX970 슈퍼제트스트림과 달라진 쿨링
솔루션과 온도를 살펴보겠다.
향상된 쿨링 솔루션적용, 안정적인 온도는 덤?
기존 이엠텍 GTX970 슈젯에서 쿨링성능에 있어 좋은 평가를 받은 듀얼 블레이드FAN이 그대로 장착되어 있으며 동작 방식이 조금
변경됐다. 기존엔 좌, 우 GPU FAN이 동일한 방향으로 동작 했지만 이엠텍 GTX1070 슈젯의 경우 좌, 우가 다른방향으로 동작하여 보다 소음은 줄고 쿨링 성능은
향상되었다고 제조사는 밝히고 있다.
그렇다면 실제 FullLoad가 걸리면 몇도까지 올라갈까? 3D MARK의 FireStrike를 통해 GPU의 부하를 줬을 때의 온도를
확인 해 봤다.
먼저 이엠텍 GTX1070 슈젯의 경우 부팅 5분 후 iDle 온도를 살펴 봤더니 약 33도로 측정됐다. 그 후 3D MARK의 Fire Strike로 GPU의 부하가
98~99%까지 올라가는 상황에서 GPU-Z Log를 확인해본 결과 최대 62도 까지 올랐다.
이어서 일전 리뷰에서 살펴본 이엠텍 GTX970SE 슈젯(최대 70도) 모델과 비교하여 살펴 봤을 때에도 온도가 더 낮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이유는 아마도 더욱 미세해진 공정 변화와 맥스웰보다 증가된 전력 효율 때문에 보다 발열이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두 시스템 모두 테스트가 진행된 공간은 오픈케이스와 사무실이라는 점은 동일했으며 이러한 환경을 감안 하더라도 상당히 낮은 온도
측정됐다.
전력 효율 증가됐다던데, 얼마 만큼이나?
파스칼 아키텍처는 맥스웰 아키텍처의 개선버전으로 기존에 출시된 900번대 시리즈 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주면서 상당히 저전력을 사용한다는
사실은 대부분 알고있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실제 시스템 소비 전력에선 얼마만큼의 차이가 발생할까?
앞선 테스트 결과를 잘 살펴봤다면 GTX1070이 GTX980Ti 보다 더 좋은 성능을 내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준 GTX1070이 소비전력에서 또 한번 놀라움을 보여준다.
보통 상식적인 생각으로는 성능이 좋으면 전력을 더 소비한다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하지만 GTX1070은 예외였다. GTX980Ti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줬던 GTX1070FE와 이엠텍 GTX1070 슈젯 모델 모두 GTX980Ti 비교시에 약 100W가량 전력소모를 덜 하는 결과를 보여줬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이유는 앞서 짧게 언급했듯 NVIDIA의 1000번대 시리즈는 기존900번대 시리즈에서 제조되던 28nm공정이 아닌
최신 16nm FinFET 공정 기술과 함께 맥스웰 대비 향상된 전력 효율로 인한
차이로 판단된다.
한편 FE버전과
팩토리 O.C가 적용된 이엠텍 슈젯과의 소비전력 차이는 약 20W로 확인됐다. 비록 FE버전에 비해 전력 소비는 늘었지만 향상된 게이밍 성능등을
고려 한다면 충분히 감안할 만한 수치다.
게이머라면 만족할 성능과 소비전력을 갖춘 이엠텍 GTX1070 슈퍼 제트스트림
앞서 테스트한 결과를 살펴 봤을때 이엠텍에서 선보인 GTX1070 슈젯은 기존 플래그쉽 라인업으로 자리잡고 있던 GTX980Ti를 능가하는
하이엔드 모델임을 살펴볼 수 있었다. 동시에 상당히 향상된 GPU 성능임에도 불구하고 훨씬 적은양의 전력을 소비한다는 점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엠텍에선 그러한 GTX1070에 팩토리 O.C와 자사의 슈퍼 제트스트림에 장착하던 듀얼 블레이드 팬 그리고 LED효과 등을 적용하여 한층 더 제품에
경쟁력을 높인 모델이라 할 수 있겠다.
현재 그래픽카드 업그레이드 혹은 구입에 있어서 고민 중이라고 한다면 성능, 쿨링, 소비전력 삼박자를 모두 갖춘 이엠텍
GTX1070 슈퍼 제트스트림을 고려해보는건 어떨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