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의 모듈을 통합해 확장해 가는 MCM(Multi-Chip-Module) 방식의 경우 CPU분야에서 멀리는 인텔의 코어2 쿼드, 최근에는 AMD 에픽과 라이젠 스레드리퍼에 도입되었는데, 앞으로 GPU에서도 MCM 방식의 제품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내용이 공개되었다.
NVIDIA는 44회 컴퓨터 아키텍처 심포지움에서 MCM-GPU : Multi-Chip-Module GPUs for Continued Performance Scalability란 이름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해당 논문의 주요 내용은 자사의 최신 GPU 아키텍처인 볼타 세대의 플래그쉽 칩인 GV100의 크기가 포토 마스크의 한계에 가까운 815mm2까지 늘어남에 따라 수율과 제조 비용 개선이 요구되고 있으나, 프로세스 공정 미세화 효과도 기대하기 힘들어진 상황임을 지적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NVIDIA는 GPU의 다이를 키우는 대신 소형 GPU 모듈(GPM)을 단일 기판에 패키징 하는 MCM 방식을 고민하고 있으며, 이 경우 패키지의 크기는 커지지만 칩의 제조 비용 단가를 억제하는 동시에 성능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음을 전했다.
해당 논문은 4개의 GPM 기반(256SM) MCM GPU의 예시를 들면서 1GHz의 GPU 클럭, GPM간 인터커넥터 768GB/s, 총 메모리 대역폭 3TB/s를 갖추며, 단일 구성 GPU와 비교해 최대 45.5% 빠르고, 동일 SM과 DRAM 대역폭의 멀티 GPU 시스템과 비교해도 26.8% 빠른 성능 구현이 가능함을 전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NVIDIA 홈페이지에서 제공되는 논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