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연말연시를 맞아 '랜섬웨어 주의보'를 발령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23일 보도자료를 통해 연말연시를 앞두고 각종 사회적 이슈를 활용해 악성코드가 첨부된 메일을 발송하여 랜섬웨어 감염을 유도하는 해킹 등 사이버위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국민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랜섬웨어(Ransomware)는 몸값(Ransom)과 소프트웨어(Software)의 합성어로 시스템을 잠그거나 데이터를 암호화해 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 이를 인질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코드다.
과기정통부는 주요 랜섬웨어 피해 사례로 카드·연하장 등으로 위장하여 메일에 포함된 출처 불명의 URL 클릭을 유도하는 행위, '연말정산 변경 사항 안내' 같은 공공기관을 사칭하여 첨부파일 실행을 유도하는 행위, 행사업체를 사칭해 '송년회, 신년회 모임 추천장소 안내' 내용으로 첨부파일을 보내는 행위, 그리고 저작권 위반 안내 메일을 사칭해 악성코드 첨부 메일을 보내는 행위 등을 꼽았다.
또한 서버에서는 쉬운 패스워드를 사용하거나 접근제어 정책 없이 외부에서 원격포트로 접속하게 두거나, 내부망에 접근하기 위해 구축한 VPN 장비의 취약한 계정 관리 및 보안 업데이트 미적용, 보안 지원이 종료되거나 보안 업데이트가 적용되지 않은 운영체제 및 소프트웨어 사용 등 보안 설정이 미흡하여 랜섬웨어 감명 및 주요 자료가 유출되는 사례를 들었다.
기업 및 개인이 사용하는 PC 역시 공문, 이력서, 견적서 등으로 위장한 악성메일의 첨부파일 실행, P2P 프로그램을 통해 다운로드 받은 최신 영화나 게임, 프로그램 등으로 위장된 파일, 취약한 버전의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해 악성코드가 은닉된 웹사이트 방문 사례를 언급했다.
그 밖에 근래에 이용자가 늘면서 보안 취약점이 강조되는 NAS 장치도 보안 설정이 미흡해 초기 공장 출하 설정된 기본 관리자 패스워드를 그대로 쓰고 보안 업데이트를 적용하지 않으면 랜섬웨어 감염 및 자료유출 위협을 받을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랜섬웨어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주요 대응방안으로 ▲ 최신버전 SW 사용 및 보안 업데이트 적용 ▲ 출처가 불명확한 이메일과 URL 링크 클릭 주의 ▲ 파일 공유 사이트 등에서 파일 다운로드 주의 ▲ 중요한 자료는 정기적으로 백업 등을 권장했다.
아울러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함께 랜섬웨어 감염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상 징후 24시간 모니터링 및 침해사고 발생 시 신속한 복구 및 예방을 위한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KISA 인터넷보호나라&KrCERT 홈페이지(www.boho.or.kr), 한국인터넷진흥원 해킹·스탬 개인정보 침해신고(☏ 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