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Google)이 인공지능(AI) 기반 챗봇 ChatGPT와 경쟁하기 위한 바드(Bard)를 공개했다.
구글 및 알파벳 CEO 순다 피차이(Sundar Pichai)는 6일(현지시간) 공식 블로그를 통해 구글이 2년 전 선보였던 대화형 애플리케이션 언어 모델 람다(LaMDA) 기반의 실험적인 대화형 AI 서비스 바드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그는 바드가 전세계의 지식을 대규모 언어 모델의 성능, 지능 및 창의성과 결합하기 위해 웹에서 정보를 가져와 신선하면서 높은 품질의 응답을 제공하며, 창의성을 분출할 수 있는 출구이자 새로운 호기심을 위한 발판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NASA의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을 통한 새로운 발견을 9세 어린이에게 설명하거나 현재 최고의 축구 선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자신의 축구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것이다.
바드는 람다의 경량 모델 버전으로 훨씬 적은 컴퓨팅 성능을 통해 더 많은 이용자로부터 더 많은 피드백을 받을 수 있으며, 구글은 외부 피드백을 자체 내부 테스팅과 결합하여 바드의 응답이 실제 정보의 품질, 안전 및 근거에 대한 높은 기준을 충족하도록 할 예정이다.
순다 피차이는 구글이 AI를 이용하여 수십억 명을 위해 검색 기능을 개선해온 오랜 역사를 가지고 람다, PaLM, Imagen, MusicLM 등의 최신 AI 기술들이 언어 및 이미지에서 비디오 및 오디오에 이르기까지 정보를 활용하는 완전히 새로운 방법을 만들고 있다면서, 검색 기능을 시작으로 이러한 최신 AI 발전을 제품에 도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구글 바드는 현재 신뢰할 수 있는 테스터들에게 공개된 상태이며 일반 이용자에게는 앞으로 몇 주 안에 더 광범위하게 제공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