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26일 실적발표회를 열고 2023년 3분기에 K-IFRS 기준 9.07조원의 매출과 1조 7,920억원의 영업손실(영업손실률 20%), 그리고 2조 1,847억원의 순손실(순손실률 24%)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7% 하락했으며, 영업이익 및 순이익 모두 적자 전환한 것이다.
SK하이닉스는 D램(DRAM) 수익성이 2개 분기만에 흑자 전환했고 영업손실로 전분기 대비 약 1조원 가량 개선된 점을 강조했다. 고성능 메모리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 수요가 증가하면서 경영실적이 1분기 저점을 기준으로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면서, AI용 메모리인 HBM3, 고용량 DDR5 와 함께 고성능 모바일 D램 등 주력제품들의 판매가 호조를 보이며 전분기 대비 매출이 24% 증가하고 영업손실은 38%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D램과 낸드 모두 판매량이 늘어난 것은 물론 D램 평균판매가격(ASP)이 약 10% 가량 상승한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낸드의 경우 ASP가 전분기 대비 소폭 하락했다.
SK하이닉스는 올해 하반기 메모리 공급사들의 감산 효과가 가시화되는 가운데 재고가 줄어든 고객 중심으로 메모리 구매 수요가 창출되고 제품 가격이 안정세로 접어들고 있다면서 이런 흐름에 맞춰 HBM, DDR5, LPDDR5 등 고부가 주력제품에 대한 투자를 늘리기로 했다고 밝혔다. D램 10나노 4세대(1a)와 5세대(1b) 중심으로 공정을 전환하는 한편, HBM과 TSV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