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초고속 모바일 D램 'LPDDR5T' 공급에 들어갔다.
SK하이닉스는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초당 9.6Gbps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현존 최고속 모바이림 D램인 'LPDDR5T'의 16GB 패키지를 고객사에게 공급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올해 1월에 출시된 SK하이닉스 LPDDR5T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용 제품에 들어가는 D램 규격으로 전력 소모량의 최적화를 목적으로 저전압 동작 특성을 갖고 있는데, LPDDR5T는 SK하이닉스가 최초 개발한 버전으로 8세대 LPDDR6가 대중화 되기 전 7세대인 LPDDR5X의 성능을 업그레이드 한 제품이다. LPDDR5X는 초당 8.5Gbps 속도를 가졌으나 LPDDR5T는 이보다 13% 빨라진 9.6Gbps까지 속도를 높였다.
LPDDR5X와 마찬가지로 HKMG(High-K Metal Gate) 공정을 적용한 LPDDR5T 16GB 패키지는 JEDEC(국제반도체표준화기구)에서 정한 최저 전압 기준 범위인 1.01~1.02V에서 작동하며, 패키지의 데이터 처리 속도는 초당 77GB로 FHD급 영화 15편을 1초에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이다.
LPDDR5T 16GB 제품은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인 비보(Vivo)에 납품하기 시작해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X100과 X100 Pro에 탑재되어 출시된다. 이 스마트폰에는 SK하이닉스의 LPDDR5T 메모리와 함께 미디어텍(Mediatek)의 최상위 모바일 AP 제품인 '디멘시티(Dimensity) 9300'이 탑재된다. SK하이닉스는 지난 8월 LPDDR5T를 미디어텍의 모바일 AP에 적용해 진행한 성능 검증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SK하이닉스 박명수 부사장(DRAM마케팅담당)은 "AI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스마트폰은 온디바이스(On-Device) AI* 기술이 구현되는 필수 기기로 부상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모바일 시장에서 고성능, 고용량 모바일 D램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박 부사장은 "당사는 시장 수요를 잘 맞춰가는 한편, AI 메모리에서 확보한 기술 리더십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D램 시장을 지속적으로 선도해 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