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뉴스 홈  

시게이트, "삼성! HDD 안죽는다!!"

2005-10-06 18:13
이수원 수석기자 swlee@bodnara.co.kr

 

지난 달 초에 삼성전자가 16Gb 낸드 플래시를 발표하면서 하드 디스크의 시대가 끝나고 플래시 메모리 타입 제품군의 시대가 올 것이라고 말한 것에 대해 하드 디스크 업계의 선두 기업인 씨게이트가 직접적인 반격을 했다.

 

씨게이트의 글로벌 CE 마케팅 디렉터인 롭 페이트(Rob Pait)는 10월 6일에 한국에서 열린 씨게이트 소비자 가전(CE) 부분 제품군인 DB35가 탑재된 디지털 TV 발표 및 씨게이트의 소비자 가전 분야의 HDD 제품군에 대한 전략을 홍보하는 행사에서 상당한 시간을 할애해 이 문제에 대해 언급했다.

 

 

특히 롭 페이트는 프리젠테이션 발표 자료 가운데 Is The HDD Dead?라고 적힌 페이지를 만들어놓아, 이 이야기가 행사 진행 도중에 즉흥적으로 나온 것이 아니라 사전에 준비된 발언임을 짐작케 했다. (이 장면은 기자들에게 배포한 인쇄된 프리젠테이션 자료에는 들어있지 않았다)

 

롭 페이트는 삼성이 16Gb 낸드 플래시의 개발로 플래시 메모리 제품군을 통해 고용량 제품이 만들어지고 디스크 타입의 HDD 시장이 사라질 것이라는 발언에 대해 "자동차들이  날개를 달고 하늘을 날 수 있을 때쯤은 가능할 것"이라는 우회적인 발언을 통해 플래시 메모리로 디스크 방식의 HDD가 고용량화 되는 것을 따라가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플래시 메모리가 여러 개의 칩을 집적함으로 고용량하는 것과 반대로 디스크 타입의 HDD도 1인치 사이즈의 제품이 만들어지는 등 점점 소형화/고속화/고용량화 되는 추세에 있으며, 씨게이트의 1인치 HDD 모델인 ST1의 판매량도 계속 증가하여 한해 약 500만개 정도의 판매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롭 페이트는 소비자 가전 분야를 위한 HDD제품인 DB35가 탑재된 LG 전자의 플라즈마 TV인 PY2DR 시리즈와 HUMAX사의 디지털 TV를 소개하며 소비자 가전 분야에서 씨게이트의 HDD 제품군이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kjs5025 (ID) kjs502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10-06 18:24/ 신고
제품이 나와봐야 알것같음...
rirics (ID) / 05-10-06 18:24/ 신고
삼성 같이 하드 만들면 ...하드의 미래는 암울하지...
살짝 충격주면 뻑나가고, 읽고 쓸때 드르럭...
A/S 가 좋으면 무었하나...데이터는 날아갔는데...처음부터 좋은 제품만들어야지...3개 업체꺼 하드를 사용하고 있는데..삼성만 벌써 3개째 바꿨습니다. 사람 아주 미치게 합니다.
gracephose (ID) / 05-10-06 18:31/ 신고
메모리로 저장할수만 있다면 정말 좋겠네요
이런 경쟁통해
시케이트나 삼성이나 좋은 제품 싸게
내놓으면 좋겠어요
waplenet (ID) / 05-10-06 18:43/ 신고
전적으로 동감. 플래쉬메모리 읽고쓰는속도로 파일전송하면 속텨저 죽겠어요.
notebe (ID) / 05-10-06 18:55/ 신고
삼성과 시게이트라면 일단 전 시게이트~
chp61 (ID) / 05-10-06 19:06/ 신고
전 히타치나 웬디라면 몰라도
삼성 VS 시게이트라면 무조건 삼성!!
valkyrie (ID)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10-06 19:12/ 신고
일장일단이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봐선 메모리로 가게 되지 않을까요...???
makesound (ID) / 05-10-06 19:16/ 신고
저는 솔찍히 10수년전에는 지금쯤이면 하드 없어질줄 알았습니다...^>^

그때는 4메가 램가지고도 램디스크 쓰고 놀았으니....^.^ 램은 널널할꺼다~~~라는 생각에...언제나 램은 작다지요...^>^
myloveu00 (ID) myloveu0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10-06 19:45/ 신고
글쎄요. 하드디스크의 용량은 증가하지만 성능은 그대로라...

무언가 획기적인 변화가 없다면 플래시도 가능성이...^^
leodio (ID) leodi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10-06 19:45/ 신고
휴맥스社에서 디지털 TV도 만들었었나요? TV까지 만드는지는 몰랐는데...
hy0415 (ID) / 05-10-06 19:50/ 신고
삼성이 조금만 더 개선한다면 좋을것 같은데...2%가 부족한듯.,..
cufetajo (ID) / 05-10-06 20:04/ 신고
이래서 시게이트사장이 삼성이 버릇이 없다고 했었군요..
그래도 플래시 발전속도가 하드 발전속도보다는 빠른거 같으니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되네요..
zooc80 (ID) / 05-10-06 20:31/ 신고
이번이 16기가 낸드 플레쉬였는데 가격
과 용량이 받쳐주는 기술의 향상이
있다면 하드시장에 위협이겠죠....
아직은....무리처럼 보이는
xercxess (ID) / 05-10-06 21:05/ 신고
플래시메모리가 메모리이긴 해도 전송속도가 DRAM만큼 빠른것도 아니고, 현재로서는 작다는것 이외엔 HDD에 비해 나은게 하나도 없습니다. 가격대 용량비 성능비로 따졌을땐 아직도 HDD가 우위에 있죠... 다만 플래시메모리가 가격이 정말 낮아진다면, 모바일분야와 랩탑시장의 저장메체로서는 가장 유리해 질겁니다.^^
masasi (ID) masasi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10-06 21:24/ 신고
소형화/고속화/고용량화 되었다지만 사실 소형화는 다른 부류에 제품에만 사용되고 있고, 고속화는 지지부진한것 같네요. 상위제품에서만 활용되고 짧은 시간도 아닌 몇년동안 보급형으로 내려오지 못하고 있으니 아쉽습니다.
midway8 (ID) / 05-10-06 21:46/ 신고
맞는 말쌈...제3세계의 자그마한 나라에서 까지 HDD가 죽는 때를 말하는 거란 전제로...ㅎㅎㅎㅎ

지금도 진공관제품(취미가 아니라...)쓰는 식이겠죠...

3별는 상당히 혐오하는 기업이지만, 위 제품은 굿......칭찬해주고 싶습니다.

자고로,,,미리미리 준비하는 자가 대빵...
utopia50 (ID) / 05-10-06 23:33/ 신고
아직은 기술개발이 있어야죠
kss8569 (ID) kss856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10-06 23:58/ 신고
음... 난 삼성하드 싫다..
wini7007 (ID) wini700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10-07 9:26/ 신고
15KRPM이 등장하고 나서 별다른 성능 향상이 없죠. 그나마 15K는 고사하고 10K도 대중화 되지 않고 있고..
rbear (ID) rbe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10-07 9:27/ 신고
다양한 기술의 접목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저장매체가 나타나겠죠. 그래도 가장 중요한것은 바로 가격대비 성능이겠죠. 현재 살아남은 컴 부품의 경우 이러한 규칙이 철저하게 적용된다고 생각됩니다. FDD도 없어진다고 공헌한것이 아마 5년 전쯤인가요? 그래도 아직 살아 남고 있고..
하드에 메모리 결합형 제품이 나올지도..
jins01 (ID) / 05-10-07 9:28/ 신고
아무리 플레쉬가 좋다곤들 하나,
하드의 가격을 따라잡을 날이 올까요..
기술 발전되도, 하드는 가만히 있을것도 아니고..
initialY (ID) / 05-10-07 9:38/ 신고
게임 같은것 아니면 용량을 무지막지 하게 먹는건 별로 없으니 플래시하드를 만들어서 양산한다면 높은 속도를 원하는 사람들은 구입 할거 같은데..
waplenet (ID) / 05-10-07 13:19/ 신고
시게이트는 안죽는다..
shc572 (ID) shc57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10-07 14:06/ 신고
절대 시게이트는 죽지 않습니다!!
절대로!!

(퀸텀이 망한후 시게이트매니아가 되어버린 호철씨)
voran (ID) / 05-10-07 14:56/ 신고
개인적으로 .. 웬디가 좋긴한데 .. 시게이트도 좋죠 ...

mygirl2 (ID) mygirl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10-07 15:15/ 신고
대용량 메모리의 보급화가 되기 전까지는 하드디스크는 사라지지 않죠.
healings (ID) / 05-10-07 15:31/ 신고
나두 삼성하드 싫은데 AS는 사기수준이더군요(장직한AS기사님들이 계시다면죄송)
역병창궐 (ID) 역병창궐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10-07 16:20/ 신고
사라지고 말 것은 시장과 시간이 알려
줄 문제라 생각하는데
두고 봐야 알겠죠-_-
하지만 플로피 디스크를 쓰는
사람은 이젠 많치는 않지만-_-
아직까지도 남아 있는 것처럼
leams (ID) / 05-10-07 17:57/ 신고
삼성하드도 좋은 선택중 하나건만...

예전에 비해 삼성하드 포스가 약해지긴 했군요..
그게...이제 그만 접고 플래쉬 메모리로 대체하기 위한 건가요...

여튼...하드디스크 없어질겁니다..언젠간..ㅎ
leams (ID) / 05-10-07 17:58/ 신고
덧붙이자면 5.25인치 FDD 가 사라졌듯이 ㅡ.ㅡㅋ
raychani (ID) / 05-10-07 19:19/ 신고
머지않아 데이터 보관용 저장매체와 프로그램 설치용 저장매체로 분리 되지 않을까요. 2기가만되도 운영체제가 들어가고, 4기가정도만 돼도 운영체제와 주요 유틸리티가 거의 들어가고...8기가면 게임을 제외하면 충분하죠. 게임 같은 경우 속도가 중요한 부분만 빠른 쪽에 넣고, 그외 자주 읽지 않는 부분은 느린 하드에 넣는 식의 설치 옵션이 생길 지도 모르겠네요.
ascentia (ID) ascenti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10-07 22:11/ 신고
이미 모바일 분야에서 각광받던 하드디스크는 이번 아이팟 나노 출시로 시들해 지겠죠.
97095195 (ID) / 05-10-08 10:08/ 신고
시게이트 하드디스크의 영역이 굉장히 넓군요.
zwood (ID) zwoo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10-08 12:43/ 신고
좀더 지켜보면 자명해지겠죠.
moone81 (ID) / 05-10-09 9:53/ 신고
확실히...
삼성의 발언은 5년이상 빠른 발언...
ronaya (ID) ronay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10-09 11:03/ 신고
삼성이 오버했군요.
css75 (ID) / 05-10-09 12:38/ 신고
삼성이 발언한내용은 2인치미만의 초미니 HDD를 이야기한것 같은데요....
3.5인치 시스템용하드 단종은 말두 안되는이야기구....
다만 1인치HDD들은 별루 메리트가 없더군요.. 용량도 그렇거니와 기껏 2~6기가정도이구 충격이나 좀 예민하니...
moonwolf (ID) moonwolf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10-09 13:37/ 신고
HDD가 시장에서 퇴출되려면 아직 한참 멀었죠.^^
ansdmsdud (ID) / 05-10-09 19:13/ 신고
그렇죠.
아직까지는 HDD가 대세 아닌가요>
blasty (ID) blast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10-09 22:38/ 신고
하드 아직 멀었습니다
16기가비트 메모리 80개는 꽂아야 160기가인데..
아무리 빠르다고 해도, 가격감당은 어떻게...아직은 무리입니다
하드의 기술도 아직 남았구요
pierrot (ID) / 05-10-10 2:06/ 신고
갑자기 일본에서 판매했다는 ASUS제품 이 생각나는군요. 그나저나 아직은 메모리가 HDD를 따라오기엔 힘든것 같습니다.
kssin75 (ID) / 05-10-10 12:59/ 신고
그나마...삼성이라서 그정도 말할수 있는거 아닐까요? ^^;;;
지금까지 1년마다 메모리용량 2배씩 늘리는데 성공했는데...놀랍다고 할 수 밖에 없는 삼성...;;;
diskfull (ID) / 05-10-10 16:47/ 신고
삼성너무 자만하는듯..
zhdskanf (ID) / 05-10-11 3:06/ 신고
그 누가 뭐라고 해도 삼성은 역시 삼성.
cheeks (ID) cheek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10-11 13:00/ 신고
그래도 반도체의 발전속도가 빠르니.. 실제로 얼마정도 걸릴지
ryangedu (ID) / 05-10-11 21:05/ 신고
플래시 하드가 빨리 나오면 좋을텐데..
hufskon (ID) / 05-10-12 19:19/ 신고
크기의 문제가 아닌 속도의 문제...
picomis (ID) / 05-10-16 19:48/ 신고
언젠가는 하드가 사라질지도 모르겠지만, 아직은 아닐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demonpwr (ID) / 05-10-19 17:10/ 신고
아직은 hdd가 역시 대세인듯^^
mbyoon (ID) / 05-10-20 12:05/ 신고
15년전에도 EEPROM(플래쉬의 전단계정도인 메모리입니다. 게임기용 롬팩생각하시면 됩니다)로 HDD 대체한다고 얘기했었습니다. 그때는 HDD용량이 도시락통 만한게 40MB였고 메모리는 4Mbit가 나올려는 시점이었죠.
mbyoon (ID) / 05-10-20 12:08/ 신고
근데 1인치 하드시장은 이미 사라지고 있다고 하던데요. 아예 더 작은 0.85인치로 가던지 용량확보가 쉬운 1.25인치로 간다는 기사를 보았는데...
eendori (ID) / 05-11-02 16:26/ 신고
플래시 메모리가 HDD 만큼 용량대비 가격적인 메리트가 있다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매우 환영할 일이죠..
그때가 언제일지는 모르지만 아직은 시기 상조가 아닐까요..ㅎㅎ
mirapey (ID) / 05-11-03 22:43/ 신고
아직은 hdd가 대세인거 같은데요
아직은 무리일 듯^^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10/06] 엔비디아, 영상 검색과 요약 위한 블루프린트 출시..영상 분석 AI 에이전트 개발 가속화  
[10/06] 엔비디아, AI 팩토리 디지털 트윈용 옴니버스 블루프린트 지원 확대  
[10/06] 엔비디아, 옴니버스 디지털 트윈으로 대만 제조업체 산업용 AI 가속화  
[10/06] 엔비디아, 세계 최대 규모 양자 연구용 슈퍼컴퓨터 ‘ABCI-Q’ 지원  
[10/06] 엔비디아, 물리 AI 위한 클라우드-로봇 컴퓨팅 플랫폼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혁신  
[10/06] 엔비디아, AI 플랫폼 ‘DGX 클라우드 렙톤’ 출시  
[10/06] 엔비디아, AI 데이터 플랫폼으로 스토리지 선도기업 AI 인프라 구축 지원  
[10/06] 삼성전자 2025년형 OLED TV, 엔비디아 지싱크 호환 인증  
[10/06] 엔비디아, 개인용 AI 슈퍼컴퓨터 ‘DGX 스파크, ‘DGX 스테이션’ 공개  
[10/06] 엔비디아, RTX PRO 서버로 AI 팩토리 구축 가속화  
[10/06] AI 시대 선도를 위한 노력,엔비디아 컴퓨텍스 기조 연설 정리  
[10/06] 엔비디아, 세미커스텀 AI 인프라 구축 지원하는 ‘NV링크 퓨전’ 출시  
[10/06] 넥슨, ‘2025 던파로ON: Summer’에서 하반기 ‘던파’ 대규모 업데이트 공개  
[10/06] 아스크텍, ATX 3.1-PCIe Gen 5.1 지원 '써멀테이크 터프파워 GT시리즈' 출시  
[10/06] 벤틀리모터스코리아, 럭셔리 그랜드 투어러 4세대 ‘더 뉴 컨티넨탈 GT’ 고객 인도 개시  
[10/06] 넥슨, 신작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6월 9일 글로벌 알파 테스트 시작  
[10/06] 에이슬립-경동나비엔, AI가 자동 온도 조절하는 매트 출시  
[10/06] 슈퍼마이크로, 차세대 직접 수냉식 솔루션 DLC-2 공개  
[10/06] 인텔 공인대리점 3사, ‘나를 자랑해줄래?’ 프로모션 실시  
[10/06] 고성능에 AI 경험까지 결합된 팔방미인 노트북 ‘MSI 벤처’, 레드닷 디자인 수상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