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사 (VESA)는 임베디드 디스플레이포트 (이하, eDP) 1.2 버전 표준에 디스플레이포트 1.2 버전 표준의 몇 가지 향상된 기능들을 추가했다는 소식이 xbitlabs에 올라왔다.
디스플레이 규격의 표준을 제정하고 있는 VESA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는 최근 임베디드 디스플레이포트 (Embedded DisplayPort (eDP)) 표준 1.2 버전에 2010년 1월 제정된 디스플레이포트 (DisplayPort) 1.2 버전 표준에 추가된 몇 가지 향상된 기능들을 포함했다고 전했다.
eDP 1.2 버전은 디스플레이포트 1.2 규격을 따라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고 향상된 컬러 또는 스테레오스코픽 3D (Stereoscopic 3D) 기술 지원이 포함되고 있다.
베사 멤버에 속한 회사들은 eDP를 개발 중이며, 10년 넘게 노트북 PC에 사용되어온 LVDS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eDP는 모바일 PC에도 이용 가능하며, 올해 이를 적용한 제품들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In-Stat는 올해 모바일 PC 시장은 전체 PC 시장의 대략 11%를 점유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모바일 PC에 사용되는 eDP 1.2 버전 (v1.2)은 2011년 상반기 제품화될 것으로 보여지며, 2013년 LVDS를 대대적으로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eDP 1.2 버전은 새로운 LCD 패널과 백라이트 컨트롤, 디스플레이포트 양방향 AUX 채널 지원 등을 포함한 많은 향상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올해 1월 표준으로 제정된 디스플레이포트 1.2 버전과 같은 링크 당 5.4Gbps의 높은 대역폭을 제공해 비디오 데이터 채널의 2배에 이르는 높은 데이터 대역폭을 제공하게 된다. 높은 대역폭을 바탕으로 풀 HD (1080p 60fps)의 스테레오 3D (Stereo 3D), FSC (Field Sequential Color) 패널 지원도 가능해진다.
또, eDP 1.2 버전은 백라이트 밝기와 주파수 컨트롤 모듈화, 다이나믹 백라이트 컨트롤, 컬러 엔진 동작, 디더링, 자동 테스트 모드 등을 지원하게 된다.
베사 eDP 에디터와 의장을 맡고 있는 Craig Wiley는 eDP는 내장 GPU 아키텍처에 큰 이익과 변화를 주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것은 CPU로부터 LVDS를 직접적으로 지원하기 어렵게 되며, GPU에 포함되어 많은 수의 핀과 높은 전압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 eDP는 PCI-Express와 유사한 물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디자인 과정을 단순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