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GPU와 메모리 오버클럭으로 고성능 추구, 이엠텍 XENON GTX660 MAXX 트윈쿨

2012-11-05 12:00
방수호 前 기자 scavenger@bodnara.co.kr

최근 엔비디아(NVIDIA)는 경쟁사인 AMD와 마찬가지로 28nm 공정 GPU 기반 그래픽카드 라인업을 완성시킨 상황이며, 그로 인해 각 제조사들은 라인업 별로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는 중이다.

그 중 퍼포먼스 라인업의 경우 높은 그래픽 사양을 요구하는 게임을 즐기고 싶지만 하이엔드 라인업 그래픽카드는 구입 비용이 부담스러운 소비자들로부터 지속적인 수요를 이끌어내고 있는데, 그에 부응하여 차세대 퍼포먼스 라인업 제품 중 하나인 지포스 GTX 660 역시 시장에 출시되는 제품이 증가해 나가고 있다.

 

최근 국내 시장에 출시된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660 MAXX Twin Cool (이하 제논 GTX 660 트윈쿨)은 엔비디아 지포스 GTX 660 GPU가 탑재된 그래픽카드로, 퍼포먼스 라인업 제품에 걸맞는 성능을 지원하는 제품이다.

또한 레퍼런스 지포스 GTX 660에 비해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GPU와 메모리에는 팩토리 오버클럭이 적용되어 있으며, 효율적인 발열 해소를 위해 듀얼 쿨링팬과 히트 파이프 2개를 기반으로 하는 쿨링 솔루션이 제공된다.

 

듀얼 쿨링팬 및 구리 히트 파이프로 구성된 쿨링 솔루션

제논 GTX 660 트윈쿨에는 듀얼 쿨링팬 및 구리 히트 파이프를 주축으로 하는 고유의 쿨링 솔루션이 탑재되어 레퍼런스 제품과 차이를 두고 있다. 특히 GPU와 직접 닿는 히트 스프레더 부분은 히트 파이프와 동일한 구리 재질이며 GPU보다 넓은 면적의 직사각형 형태여서 발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원부의 모스펫에는 별도의 히트 싱크가 부착되어 발열에 대비하고 있다.

한편 쿨링 솔루션 장착 시 길이가 173mm에서 241mm로 대폭 길어지는 레퍼런스 지포스 GTX 660과 달리 이 제품은 쿨링 솔루션을 장착하더라도 길이가 190mm에 불과해 케이스 내부에서 다른 장치들과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적다는 이점이 있다.

 

레퍼런스 규격의 PCB

PCB는 엔비디아 제시한 레퍼런스 규격대로 설계되어 전원부는 5페이즈로 구성되어 있으며, SLI 커넥터와 6핀 보조전원 커넥터는 1개씩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메모리는 전면부와 후면부에 4개씩 총 8개 탑재되어 2GB 용량을 제공한다.

 

팩토리 오버클럭이 적용된 GPU와 메모리

제논 GTX 660 트윈쿨에 탑재된 GK106 (GK106-400-A1) GPU는 28nm 공정 및 케플러 아키텍처가 적용되어 있으며, GPU 클럭은 980MHz (GPU 부스트로 최대 1033MHz)이지만 이 제품은 팩토리 오버클럭이 적용되어 1006MHz (GPU 부스트로 최대 1072MHz)로 작동한다.

상위 제품인 지포스 GTX 660 Ti에 탑재된 GK104 (GK104-300-KD-A2) GPU와 비교했을 때 쿠다 코어는 384개 감소한 960개, 텍스처 유닛은 32개 감소한 80개, ROPs는 24개로 동일하다.

또한 다이렉트X(DirectX) 11.1과 Shader Model 5.0, Compute Shader 5.0, OpenCL 1.2, Direct Compute 11, 3D Stereoscopic 기반의 3D Vision과 3D Vision Surround 및 Blu-ray 3D 등을 지원하며, HDR+AA와 후처리 AA (Anti-Aliasing) 기법인 FXAA 및 하드웨어 MSAA를 조합한 TXAA (TXAA 1 / TXAA 2)를 통해 AA 및 AF (Anisotropic-Filtering)의 효율을 높였다.

 

메모리는 삼성의 2GB GDDR5 메모리(K4G20324FD-FC03)가 탑재되어 있는데, 100MHz 오버클럭 되어 6108(1527)MHz로 작동하고 메모리 대역폭도 144.2GB/s에서 146.6GB/s로 증대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는 192bit로 레퍼런스 제품과 동일하다.

 

출력부에는 DisplayPort와 HDMI 포트, 듀얼링크 DVI-D 포트(상), 듀얼링크 DVI-I(하) 포트가 제공된다. 단일 그래픽카드로 3D Vision Surround를 지원하므로 3대의 모니터를 연결해 하나의 화면으로 출력하면서 모니터 1대를 추가 연결해 보조 모니터로 사용하는 3+1 구성이 가능하다.

 

구성물로는 사용자 설명서와 6핀 보조전원 케이블, DVI to D-Sub 젠더, 드라이버 및 유틸리티 설치 디스크 등이 제공된다.

 

그래픽카드간 성능 비교

제논 GTX 660 트윈쿨의 성능은 어느 정도 수준인지 확인해보기 위해 다이렉트X 10 환경 기반 벤치마크 프로그램인 3DMark Vantage로 테스트를 실시해보았다.

테스트 결과 제논 GTX 660 트윈쿨은 Performance Preset에서 라데온 HD 7870과 약 0.6% 낮은 점수를 기록해 근소한 차이를 보였으나 Extreme Preset에서는 약 7.2% 높은 점수를 기록해 한층 높은 성능을 제공하였다.

또한 오버클럭이 적용된 제품답게 Extreme Preset을 기준으로 레퍼런스 지포스 GTX 660에 비해 3.7% 정도 높은 성능이었으며, 이전 세대 하이엔드 라인업의 지포스 GTX 570보다는 약 28.1%의 큰 차이로 우세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다이렉트X 11 환경에서의 성능을 비교해보기 위해 3DMark 11으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3DMark Vantage 테스트 때와 마찬가지로 제논 GTX 660 트윈쿨은 Performance Preset에서 라데온 HD 7870과 오차 범위 수준의 근소한 차이를 보였으나 Extreme Preset에서는 그 차이가 7.1% 정도로 늘어났으며, 심지어 하이엔드 라인업의 라데온 HD 7950과의 격차도 5.2% 정도에 불과하였다.

그리고 Extreme Preset을 기준으로 레퍼런스 지포스 GTX 660보다는 약 1.5%, 지포스 GTX 570에 비해서는 약 16.4% 높은 성능이었다.

 

그래픽카드간 온도 비교



GPU-Z 0.6.6으로 확인한 이엠텍 제논 GTX 660 트윈쿨의 사양 및 온도

한편 자체 규격의 쿨링 솔루션이 탑재된 제논 GTX 660 트윈쿨의 쿨링 성능은 어느 정도 수준인지 파악하기 위해 GPU-Z 0.6.6 버전의 GPU 온도 센서로 각 제품의 온도를 측정해보았다.

다이렉트X 11 그래픽카드 벤치마크 프로그램인 Heaven을 구동하여 GPU를 풀 로드 상태로 20분 이상 유지시키면서 제일 높은 온도를 최고 온도로 기록하였는데, 각 그래픽카드의 온도는 개방된 시스템에서 측정되어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경우와 일정 부분 차이가 날 수 있다.

테스트 결과 제논 GTX 660 트윈쿨은 테스트 제품들 가운데 풀 로드 및 IDLE 상태 모두 세 번째로 낮은 온도를 기록하였으며, 레퍼런스 제품과 비교 시 풀 로드 상태에서 4℃ 낮은 온도를 기록해 쿨링 효율이 더 높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레퍼런스 사양을 벗어나 경쟁력 향상

근래 들어 모바일 분야가 강세를 보이면서 상대적으로 PC 분야가 위축되는 경향이 있지만 PC 컴포넌트의 발전은 지속되고 있으며, 주요 컴포넌트 중 하나인 그래픽카드는 28nm 공정 및 새로운 아키텍처가 적용된 GPU 기반의 제품으로 세대 전환이 완료되었다.

그에 따라 소비자들은 라인업 별로 자신에게 적합한 차세대 그래픽카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으며, 그런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해 제조사들은 레퍼런스 사양에 구애 받지 않고 오버클럭 및 자체 규격의 쿨링 솔루션이 탑재된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는 중이다.

이엠텍 제논 GTX 660 트윈쿨은 GPU와 메모리에 오버클럭을 적용하여 레퍼런스 제품 이상의 성능을 지원하며, 오버클럭으로 인해 증대될 수 있는 그래픽카드의 발열을 해소하기 위해 듀얼 쿨링팬과 히트 파이프가 사용된 고유의 쿨링 솔루션이 제공되므로 퍼포먼스 라인업 그래픽카드 소비층에게 긍정적인 제품으로 인정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모델명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660 MAXX Twin Cool

GPU

NVIDIA GeForce GTX 660 (28nm, GK106-400-A1)

동작 클럭

- GPU: 1006MHz (GPU Boost 클럭 1072MHz)
- 메모리: 6108 (1527)MHz

메모리

Samsung GDDR5 2GB
메모리 인터페이스 192bit, 대역폭 144.2GB/s

출력 단자

- DisplayPort 1개
- HDMI 포트 1개
- Dual-Link DVI-I 포트 1개
- Dual-Link DVI-D 포트 1개

인터페이스

PCI-Express 3.0 x16

제품 특징

- 960 CUDA 코어/케플러(Kepler) 아키텍처(통합 쉐이더)
- GPU 및 메모리에 팩토리 오버클럭 적용
- DirectX 11.1 지원
- 192bit 메모리 인터페이스의 2GB GDDR5 메모리 제공
- NVIDIA 2-Way SLI 지원
- NVIDIA PhysX,
Adaptive VSync, FXAA / TXAA, 3D Vision,
  3D Vision Surround 지원
- 최대 4대(3+1)의 디스플레이 출력 지원
- HDMI 1.4a, Blu-Ray 3D 지원

제조사

이엠텍아이엔씨 (http://www.emtekinc.co.kr/)

가격

275,000원 (2012년 11월 5일 기준)

이 기사의 의견 보기
고고플레 / 12-11-05 12:34/ 신고
로드시 팬속 46%에 1560rpm 이라면 소음도 정숙하겠군요.
작년과 비교하면 이엠텍 그래픽카드도 많이 좋아진 느낌입니다.
마프티 psywin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11-05 22:08/ 신고
작은 크기임에도 쿨러가 탄탄하네요. 600번대 다들 잘 나온듯...
종건 whdrjs073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11-06 3:26/ 신고
신공정의 혁신이 체감되는건 데탑의 많은 부품중에서
ssd와 글픽뿐이라는 생각입니다.
저전력이라 파워 생산업체도 주력제품이
500w급에서 고정되는 듯 하고요.
anshigo / 12-11-06 15:49/ 신고
좀 작긴하지만 쿨링은 좋아보입니다.
프리스트 rubyc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11-12 6:40/ 신고
650Ti도 그래프에 있었으면.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11/05] 넷마블 신작 <뱀피르>, ‘디렉터스 코멘터리’ 경쟁편 공개  
[11/05] AWS, 국내 AI 도입 확산세 확인  
[11/05] '천상비M',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인기 웹툰 '북검전기' 콜라보 발표!  
[11/05] 시스템베이스, 다이렉트/크로스 서지 젠더 2종 동반 출시!!  
[11/05] 소리샵, 부메스터(Burmester) 풀 패키지 프로모션 진행  
[11/05] 에스넷시스템, KT와 국내 최초 성균관대 전 캠퍼스 5G 특화망 구축  
[11/05] 넥슨, ‘블루 아카이브’ 글로벌 PC 버전 스팀 정식 출시!  
[11/05] 현대인의 여행과 출장길 동반자, 벨킨 부스트차지 시리즈  
[11/05] MSI, 지포스 그래픽카드 사고 스팀 월렛 받자  
[11/05] 포켓몬코리아, 메타몽 프로젝트 in 부산 개최 예고  
[11/05] 마이크로닉스, 실버스톤 FLP01 레트로 케이스 출시  
[11/05] LAPIN(라핀), 닌텐도 스위치 패키지판 호평 예약 접수 중  
[11/05] 넷이즈게임즈, 데스티니: 라이징 글로벌 출시 발표  
[11/05] 크래프톤, 인도 최정상 프로팀 초청 BGMI e스포츠 대회 개최  
[11/05] 에이수스, 팬리스 임베디드 컴퓨터 EBS-S510W/EBS-P310W 출시  
[11/05] Niantic, Pokemon GO 피카츄의 사계여행: 청량한 여름파티 진행  
[11/05] 영혼 키우기 x 귀환자의 마법은 특별해야 합니다, 콜라보 사전예약 실시  
[11/05] 2K, WWE 2K25 닌텐도 스위치2 버전 오는 23일 전 세계 동시 출시  
[11/05] OneUI 8서 삼성전자 멀티 폴드 스마트폰 애니메이션 유출  
[11/05] 슈퍼지구의 민주주의 전파, 헬다이버즈 2 엑스박스로 출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