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온글]높은 성능의 인텔듀얼코어, TLB버그의 트리플코어
 샤프심볼펜심
 조회 : 2705 , 2008/04/15 21:22

지난 몇 년간 멀티코어의 발전은 무어의 법칙보다도 빠르게 진행되어 왔다. 싱글코어는 기존시장에서 사라지고 있을 정도로 듀얼코어, 쿼드코어의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 현재는 제조공정 또한 세밀해지고 있어 제품의 선택폭이 다양 해지고 있다.

인텔은 45나노 하이케이메탈 게이트 공정의 제품을 출시하여 높은 성능과 뛰어난 전력효과로 많은 소비자들로부터 사랑 받고 있다. 특히 Q(쿼드)9XXX시리즈 와 듀얼코어E8XXX시리즈는 강력한 성능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현재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AMD사도 작년 말에 쿼드코어를 출시하였지만, TLB버그로 인해 소비자들로부터 부정적인 반응을 받았다. 최근에는 트리플코어를 런칭하였지만, 트리플코어 또한 기존 TLB버그를 해결하지 못한 프로세서로, 트리플코어 프로세서를 구매한 고객은 필수적으로 바이오스 패치를 해야 한다.

TLB버그는 바이오스와 마이크로 코드의 수정(패치)을 통해 해결 할 수 있지만, 이 경우 L3 캐시가 막히면서 L3 캐시의 성능이 40~50%로 떨어지고 전체적으로 10~15% 성능을 하락시킨다. 이번에 출시된 AMD Phenom 8400, AMD Phenom 8600 두 제품은 모두 B2스테핑으로 디자인된 프로세서로 TLB버그를 가지고 있다.

AMD사의 트리플코어는 본질적으로 코어가 4개 있는 쿼드코어였다. 하지만 수율이 떨어지는 한 개의 코어를 죽여(Disable)세개의 코어를 트리플코어로 명칭하여 제품을 런칭하였다. 전력 부분에서도 듀얼코어보다 훨씬 높은 전력을 소비한다.

누구나 2보다 3이 크다고 하지만 프로세서에서는 이 명제가 통하지 않는 것 같다. 인텔의 듀얼코어는 AMD사의 트리플코어 및 B3스테핑 된 쿼드코어 제품보다 높은 성능의 벤치결과가 나와 인텔제품의 우월성을 보여주기도 했다.

인텔의 E7XXX시리즈, E8XXX시리즈, Q9XXX시리즈 프로세서는 최신 기술인 SSE4명령어와, Radix-16디바이더 등 최신 기술을 프로세서에 접목시켜 높은 성능을 요구하는 3D게임과, UCC동영상 작업등을 완벽하게 지원한다.

올 한해 강력한 게이밍 성능과 완벽한 그래픽환경을 원한다면 인텔의 프로세서는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이 될 것으로 보인다.

 
1


 
210.121.164.xxx
불법 광고글 신고하기
   이 게시물의 댓글 보기
  valkyrie (ID)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4-16 1:02/ 이댓글에댓글달기
  뭐, 코어가 많다고 무조건 성능이 좋은 것은 아니죠. 멀티코어를 제대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코어가 많을 수록 유리한 것일 뿐. 게임 같은 단일 코어만을 이용하는 작업에서는 클럭이 높고 IPC가 높은 프로세서가 유리합니다.
  joel83 (ID) joel8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4-16 2:06/ 이댓글에댓글달기
  AMD 라고 해서
[높은 성능을 요구하는 3D게임과, UCC동영상 작업등을 완벽하게 지원]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인텔에 비해 상대적인 성능이 부족할 뿐이지요.
- 이부분도 일반인이 체감할 정도의 차이는 사실 아니죠.

어쨌거나 AMD로서는 기존의 B2계열 라인업을 빠르게 소진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고, 그에 걸맞는 저렴한 가격으로 뿌려주고 있으니 별다르게 문제될 건
없다고 봅니다. 사실상 트리플이 일반 리테일로 국내 시장에 뿌려질거
같지도 않구요.

아키텍쳐적으로 한건 뻥 하고 터트려줘야 할 시기인데 아직도 쿼드 하나에
목매달고 있는게 요즘 AMD의 근황이라 좀 아쉬울 뿐입니다.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