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ower TOP-700D 80PLUS BRONZE 파워 (1부)
 튼튼
 조회 : 3577 , 2013/12/19 14:23
  이 게시물의 태그 : Topower, 파워서플라이


첨부사진 1.클릭시 확대됩니다.

 
00 제목.jpg
 
00 작성인.jpg
 
 
안녕하세요? 튼튼입니다.
 
이번에 "필드 테스트 (이하, 필테)"를 작성하게 된 제품은 "topower TOP-700D 80PLUS BRONZE" 파워 서플라이 (이하, 파워) 입니다. (1부)
 
제조사(또는 수입사)는 탑파워(TOPOWER) 코리아 (http://www.topower.co.kr/) 입니다.
 
00 탑파워 브랜드 로고.jpg
 
탑파워는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의 주요 파워 9개 제조사(또는 수입사) 중 하나입니다.
 
개인적으로 탑파워와는 인연이 많습니다. 2011년 12월(그러고 보니 만 2년 되었네요) 국내 처음 런칭할 때만 해도 지금의 입지를 가지리라고 100% 확신할 수는 없었습니다.
 
* 탑파워 국내 런칭 행사 관련 참관기:
 
 
탑파워가 해외에서는 매니아들 사이에 알려져 있었지만 국내에서는 조금씩 부분적으로 수입되었을 뿐, 제대로 대량 공급된 일이 없었습니다. 탑파워 코리아에서 탑파워(대만) 본사와 독점 공급 계약을 맺고 1~2개 모델을 중심으로 수입하기 시작했던 것이 벌써 2년이 되었네요.
 
이제는 대략 11개 모델로 제품군을 갖추었으며 앞으로도 신제품들이 더 출시된다고 합니다.
 
 * 제품에 대한 정보:
 
 
본 제품은 정격 700W ATX 타입 파워로 80Plus 브론즈 인증을 받았고 기본적으로 프리볼트 제품입니다.
 
전체 리폼 케이블 처리가 되어 있으며 액티브PFC 회로가 탑재된 파워입니다.
 
00 필테의 순서.jpg
 
필테의 순서는 위와 같습니다.
 
1부에서는 제품의 외형과 내부를 살펴 봅니다.
 
참고로 본 필테를 진행하는 사용자는 일반 유저로 파워에 대한 전문가이거나 테스트 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내용상 오류가 있을 수 있고 가급적 객관적으로 서술하려고 노력하였으나 일부 주관적인 내용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음을 감안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필테를 통하여 제품에 대한 어떠한 보증도 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 둡니다.
 
 
01 제품의 외형.jpg
 
 
05 박스.jpg
 
박스의 외형입니다.
 
기존의 동종 시리즈의 박스와 비슷합니다.
 
06 봉인.jpg
 
봉인 처리가 되어 있으므로 미사용 제품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07 개봉.jpg
 
개봉하였습니다.
 
08 내용물.jpg
 
내용물 전체입니다.
 
09 벨크로 타입 케이블 타이.jpg
 
재사용이 가능한 벨크로 타입의 케이블 타이.
 
10 나사-일반 타이.jpg
 
일반 케이블 타이 2개, 나사 5개.
 
11 파워 케이블.jpg
 
기본 동봉된 파워 케이블.
 
12-2 근접.jpg
 
인증받은 정품입니다.
 
12-3 근접.jpg
 
"K" 마크가 보입니다.
 
13 포장.jpg
 
파워 자체의 포장은 완충재(일명 뽁뽁이)로 되어 있습니다.
 
14 개봉.jpg
 
개봉한 모습.
 
15-1 쿨러.jpg
 
쿨러 중심으로 한 컷.
 
케이블은 모두 리폼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15-2 쿨러2.jpg
 
쿨러의 로고 덕분에 고급스러워 보입니다.
 
15-3 쿨러3.jpg
 
근접하여 한 컷.
 
16 통풍구.jpg
 
퉁풍구 부분.
 
일반적인 벌집 모양입니다.
 
본 제품의 경우 프리볼트이므로 별도로 110v, 220v 표기는 없습니다.
 
다만, 프리볼트임을 알리는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으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17-1 dc-output.jpg
 
제품의 DC-OUTPUT 부분.
 
17-2 dc-output.jpg
 
각종 인증 부분도 확인해야 하지만 이 제품 정도의 수준이라면 위에 표시된 부분이 더 중요하게 확인해야 할 부분일 듯 싶습니다.
 
80Plus 브론즈 인증을 받은 마크와 AS센터 전화번호, +12v 단일 출력 제품으로 가용력은 정격 700W 제품임을 고려할 때에 696W로 거의 100%에 가깝습니다.
 
최근 고급 사양의 경우 +12v를 많이 사용하므로 가용력이 높으면 사용자에게 더 유리합니다.
 
18 케이블 마감.jpg
 
배선의 외부 마감 상태입니다.
 
케이블의 단선을 방지하는 구조입니다.
 
19 후면.jpg
 
쿨러 반대쪽 부분.
 
액티브PFC 회로가 탑재된 제품임을 알 수 있으며 자체 테스트 통과 제품임을 스티커로 표시해 놓았습니다.
 
각 제품은 바코드로 관리됩니다.
 
20 주 커넥터.jpg
 
주 커넥터는 20+4핀 형태입니다.
 
21 주 커넥터2.jpg
 
이와 같이 단순 분리되는 타입으로 되어 있습니다.
 
22-1 6-2핀.jpg
 
VGA카드를 위한 6+2핀 커넥터도 위와 같은 외부 구조를 갖습니다.
 
22-2 6-2핀.jpg
 
좀 더 근접한 모습.
 
23-1 4-4핀.jpg
 
CPU를 위한 보조 전원 8핀은 4+4핀 형태입니다.
 
케이블에 사용 용도가 표기되어 있습니다.
 
간혹 6+2핀 커넥터와 4+4핀 커넥터를 혼동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으로 보입니다.
 
23-2 4-4핀.jpg
 
이 커넥터 역시 결합된 구조는 아닙니다.
 
24-1 ide.jpg
 
IDE 커넥터는 위와 같은 1개의 라인에서 4개의 커넥터를 지원하며 FDD등을 위한 커넥터도 추가로 1개가 기본 지원됩니다.
 
24-2 ide.jpg
 
모아본 모습.
 
25-1 sata.jpg
 
S-ATA용 커넥터는 위에서 보듯이 2개의 라인에서 총 6개가 기본 지원됩니다.
 
25-2 sata.jpg
 
동일하게 모아서 한 컷.
 
 
02 제품의 내부.jpg
 
 
 
다음은 제품의 내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30 내부 쿨러.jpg
 
내부측 쿨러 부분.
 
31 근접.jpg
 
쿨러의 기본 사양을 볼 수 있습니다.
 
DC12V, 0.15A 제품입니다.
 
32-1 내부.jpg
 
내부 전체.
 
32-2 내부.jpg
 
다른 각도에서 내부 전체.
 
32-3 내부.jpg
 
내부는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습니다.
 
33-1 emi.jpg
 
EMI 필터 부분입니다.
 
33-2 emi.jpg
 
일반적인 EMI 필터와는 조금 다른 구조입니다.
 
33-3 emi.jpg
 
구조가 약간 특이하죠.
 
33-4 emi.jpg
 
EMI 필터 아래 쪽으로 접지 부분이 위치합니다.
 
33-5 emi.jpg
 
근접하여 한 컷.
 
34-1 콘덴서.jpg
 
주 콘덴서는 "TEAPO" 제품으로 고급 파워에도 사용되는 제품입니다.
 
용량은 400v, 470uF 입니다.
 
105도 제품이 사용되었습니다.
 
34-2 콘덴서.jpg
 
콘덴서 부근 모습.
 
35-1 방열판.jpg
 
방열판의 모습입니다.
 
35-2 방열판.jpg
 
방열 면적이 극대화된 구조를 갖습니다.
 
36 정류부.jpg
 
제품의 정류 부분입니다.
 
40 커넥터.jpg
 
쿨러는 위와 같이 분리가 가능한 타입으로 되어 있습니다.
 
41 그린 ic 회로.jpg
 
그린 IC 회로로 생각되는 부분.
 
43 스위칭 트랜스.jpg
 
스위칭 트랜스 부분.
 
44-1 출력부.jpg
 
패라이트 코어 부분.
 
44-2 출력부.jpg
 
출력부 배선 마감을 볼 수 있습니다.
 
44-3 출력부.jpg
 
PCB에 +12v 표기가 있습니다.
 
본 제품은 단일 출력 제품으로 가용력이 100%에 가깝습니다.
 
44-4 출력부.jpg
 
출력부 콘덴서들의 모습.
 
44-5 출력부.jpg
 
출력부의 마감은 위에서 보듯이 깔끔한 편입니다.
 
 
 
이상으로 본 제품에 대한 1부의 제품의 외형과 내부 소개 부분을 마치고 2부에서 계속됩니다.
 
2부에서는 제품의 테스트 부분과 총평 등의 부분을 다루겠습니다.
 
 
 
----- 1부 끝, 2부에서 계속... -----
 
 
99 테스터 튼튼.jpg
 
99 카페 피관사.jpg
 
 
 
 
4


 
112.144.177.xxx
불법 광고글 신고하기
   이 게시물의 댓글 보기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