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벤치] 린필드vs샌디vs스카이레이크 성능 차이는!!?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피씨디렉트
 흥엉흥엉이
 조회 : 11583 , 2015/12/14 07:31




스카이레이크의 모든 것을 살펴본다! i3 6100, i5 6600 벤치!!

1세대, 2세대 할배 린필드, 샌디브릿지 vs 스카이레이크

스카이레이크와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피씨디렉트 보드의 궁합은!?



1.png


어느덧 스카이레이크가 출시되면서, 인텔 코어 시리즈는 1세대 린필드를 시작으로 6세대까지 출시되게 되었습니다. 사실 많은 벤치마크를 많이 접하셨겠지만, 스카이레이크는 기존 하스웰, 브로드웰에 비해 성능 차이는 크지 않다고 많이 들으셨을 것입니다. 그리고 샌디브릿지 K를 4.5기가 오버해서 사용하면 그 역시 성능 차이가 크지 않다고 하였습니다. 저는 곰곰히 생각했습니다.

 

과연 그렇다면 1세대인 린필드, 2세대인 샌디 브릿지에 비해 얼마나 성능 향상이 있을까? 더군다나 오버 유저보다 노오버 유저가 상당수인데, 노오버로 사용하다가 스카이레이크로 업그레이드시 얼마나 체감을 할 수 있을지 제가 꼼꼼히 테스트하였습니다.

 

먼저 다소 부족하더라도 이해해주시면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들어가기에 앞서 저에게 이러한 체험단 기회를 주신 피씨디렉트 관계자님, 다나와 관계자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번 리뷰에서는 기존 린필드, 샌디브릿지, 그리고 AMD 조스마 쿼드코어, 헥사코어에 비해 얼마나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지 스카이레이크 i3 6100, i5 6600 CPU와 성능 비교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그리고 성능 비교 테스트는 여러가지 벤치마크 프로그램, 그리고 실성능 테스트, 게임 벤치마크, 게임 실성능 테스트, USB 3.0 테스트, S-ATA3 테스트를 모두 병행하였습니다.

 

소비전력과 발열 테스트까지 하였고,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피씨디렉트 메인보드에 대해 꼼꼼히 테스트 하였습니다.




2.png


이번에는 스카이레이크 i3 6100, 6600 프로세서와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메인보드의 스펙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3.png


인텔의 새로운 프로세서인 스카이레이크가 출시된지 얼마지나지 않았습니다. 스카이레이크는 기존 22나노의 하스웰에서 14나노로 공정을 개선한 브로드웰을 잇는 프로세서이며, 같은 14나노 CPU입니다. 브로드웰은 공정개선 전환에 시간이 걸리면서, 예상보다 출시가 늦어졌기에 인텔에서 사실상 버리는 카드가 되어버렸고, 스카이레이크가 하스웰의 뒤를 잇는 프로세서라고 보시면 됩니다.



4.png

 6세대 최신 프로세서 스카이레이크는 소비전력 절감에도 좋은 모습을 보여줄 거라고 합니다. 스카이레이크에서는 아이들시 소비 전력을 절감했다고 하는데, 아무작업을 하지 않고 가만히 있을 때나 가벼운 작업을 할 때에 따라 소비 전력 또한 달라지게 됩니다.




10.png

 이는 C 스테이트를 개선하였는데, 기존 C0~C6까지 밖에 없었던 C 스테이트를 개선하여, C7~C10까지 절전 아이들 상태를 추가하면서 보다 전력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면서 아이들시 소비 전력을 개선하였다고 합니다. 기대가 됩니다.




14.png

 소비전력 절감은 노트북이나 디지털기기의 배터리 지속시간 증가로 이어지게 됩니다.


8.png







1세대 45나노 네할렘이었던 린필드를 시작으로 6세대 스카이레이크까지 끊임없이 공정을 개선하였고, 아키텍쳐를 개선하면서 성능 향상을 이루어왔습니다. 공정개선 후 다음 세대 프로세서는 명령어를 추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꾸준히 성능 향상을 이루어온만큼 스카이레이크에서는 1세대, 2세대와 비교해서 어떠한 모습을 보여줄지 기대가 됩니다.






5.png

 스카이레이크 프로세서는 CPU 코어 레이아웃이 변하게 되었는데, 기존의 레이아웃과 다릅니다. CPU 코어 가운데에 쉐어 LL 캐시를 두고, CPU 코어가 이를 둘러싼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프로세서의 미세화와 함께 다이상에 열을 효율적으로 어떻게 분산 시키느냐가 중요하게 되는데, 이 방식이 해결책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인텔 내장 그래픽 코어의 크기도 상당히 큰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이번 스카이레이크에서 내장 그래픽 코어의 성능 향상을 신경썼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6.png


인텔은 세대를 거듭할수록 CPU 성능이 약간이라지만 꾸준히 향상되고 있고, 더군다나 내장 그래픽 코어 성능 개선 또한 상당히 신경쓰고 있습니다. 예전에 그래픽 감속기라는 별명이 무색할 정도로 성능향상이 꽤 되었습니다.





11.png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메인보드의 스펙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2.png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메인보드는 1151 소켓의 스카이레이크 프로세서들을 지원합니다.



13.png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메인보드는 1150, 1155 소켓의 프로세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DDR4 메모리를 지원하니 DDR3를 가지신 분들은 DDR4로 구입하셔야겠네요.



15.png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메인보드는 B150 칩셋을 탑재하였습니다.




16.png


기존 하스웰 프로세서를 지원 하는 메인보드 칩셋들을 H110부터 Q170 칩셋들이 기존 메인보드 칩셋들을 대체할 것입니다. 일반적인 보급형 H110과 B150 메인보드들이 보급형 보드로 많이 선택하실 겁니다. 그런데 Q150, Q170이 보이는데 저건 인텔 Vpro 기능을 사용하는 메인보드입니다. 즉 리모트뷰를 이용해 전원 제어를 위한 메인보드인데, 일반 유저들은 사용을 잘 하지 않으니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22.png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Product Specifications






18.png

 19.png

 20.png

 21.png


GIGABYTE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메인보드의 상세 스펙입니다.





25.png


26.png


27.png


28.png




23.png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메인보드의 박스 외형과 구성품 사진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_C109568.JPG


피씨디렉트에서 포장 꼼꼼히해서 보내주셨습니다.



32.png



_C109626.JPG


_C109628.JPG


_C109631.JPG


_C109632.JPG


_C109633.JPG


_C109634.JPG


_C109635.JPG


_C109637.JPG


_C109638.JPG


_C109640.JPG


_C109641.JPG


_C109643.JPG


_C109645.JPG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메인보드의 박스 외형은 블랙 색상을 바탕으로 한 박스 디자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블랙 색상으로 디자인 하면, 고급스러워 보이는데요. 블랙 에디션 같이 말이죠. 예전에 제가 P67이나 Z77 보드 필드테스트 할 때의 박스 디자인을 비교해보자면



24.png


25.jpg


26.jpg


예전에는 푸른색 바탕의 박스 디자인이었는데, 갑자기 블랙 색상으로 바뀌더니 저렇게 화이트 색상의 박스 디자인도 나오더라구요. 개인적으로 화이트 색도 좋아해서, 박스 디자인이 마음에 들었었습니다.



_C109650.JPG


_C109651.JPG


기가바이트는 세계적인 메인보드 제조사 중 하나입니다. 피씨디렉트는 이 제조사의 메인보드를 유통하는 것입니다. 



_C109654.JPG


_C109657.JPG


예전에는 울트라듀러블 버전을 기재하였는데, 이제는 아예 울트라듀러블이라고 나오네요. 이 기술을 기존 PCB보다 두배나 많은 구리를 사용하여, 시스템 온도를 크게 떨어뜨리고 열 전달 효과를 높여서, CPU 전력 공급부 등 메인보드 핵심부에 쿨링 효과를 제고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또 PCB 저항을 50% 줄일 수 있고, 전력 낭비를 줄이고, 컴퍼넌트의 발열 방지를 한층 강화하는 강점이 있습니다. 이 기술로 인해 시스템의 안정성 및 오버클럭 성능을 강화했다고 하네요.

 

유리 섬유 PCB 기술을 이용하여, PCB 유리섬유 두께가 얇고 효율성을 높여 습기가 스며드는 것을 막아준다고 합니다.

 

그리고 고품질 IC 칩을 탑재하여, 기존의 칩보다 3배나 뛰어난 정전기 방지 효과를 보여준다고 합니다. 부품의 경우 정전기에 의해 고장이 나는 경우가 종종있는데, 이러한 고장을 줄여주게 됩니다.

 

끝으로 기가바이트 메인보드는 듀얼 바이오스가 장점인데, 이 기술로 인해 바이오스를 최대한 보호해주며, 단전으로 인한 바이오스 손상 또는 업데이트 실패를 자동으로 복구해줍니다.

 

이때문에 기가바이트 메인보드의 안정성이 증가되어 불량도 많이 줄어든 것 같습니다.




_C109660.JPG


메인보드가 불량이나 고장이나면 걱정마세요. 3년이라는 기간동안 사용자 과실이 아닌 이상 무상 AS로 교체를 해준다고 합니다. 피씨디렉트에서 교환받으시면 됩니다. 피씨디렉트 사이트에서 찾아보니 전국에 서울 용산 지점을 포함하여 3개의 지사가 더 있었습니다. 부산, 대구지사와 광주지사가 있었는데, 이로 인해 경상권과 전라권이 직접 내방해서 AS 받을 수 있고, 여유가 없다면 용산센터에 AS 택배로 보내시면 됩니다.

 

아쉬운점은 강원, 충청권이 센터가 없다는 것이 아쉬움이 남네요. 저는 경북 지역이라 대구 방문해서 직접 AS 받을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습니다.



_C109663.JPG


_C109664.JPG


_C109665.JPG


_C109666.JPG


_C109670.JPG

  



33.png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메인보드의 구성품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_C109634.JPG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메인보드의 박스를 개봉박두!




_C109622.JPG



비닐에 포장된 메인보드가 인사를 하네요!




_C109624.JPG


_C109618.JPG



아래에는 구성품이 숨어있었습니다!




_C109620.JPG



메인보드를 포함한 전체 구성품입니다. 설명서, 백패널, 사타선 이렇게 있습니다. 보급형에 너무 많은 구성품을 기대하긴 그렇죠.




_C109680.JPG


_C109682.JPG


_C109683.JPG


_C109684.JPG


_C109685.JPG


_C109688.JPG


_C109690.JPG



가이드와 설명서입니다. 설명서가 예전에는 두꺼운 설명서였는데 이제는 간략한 설치 가이드식으로 바뀌었네요.




_C109692.JPG



설치 DVD인데, 요즘같이 ODD를 잘 쓰지 않는데, 쓰시는 분이면 문제 없겠지만, ODD가 없는 분들은 사이트에서 유틸리티나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해서 USB에 넣어두시면 될 것입니다.




_C109694.JPG


_C109696.JPG



백패널입니다. 어느정도의 포트들이 있는지 대략 예상이 가죠? 




_C109698.JPG


_C109702.JPG



사타3 케이블입니다. 수량은 2개입니다.



37].png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메인보드의 외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_C109703.JPG


_C109706.JPG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메인보드의 박스 디자인과 같이 PCB 기판 색도 동일한 블랙 색상입니다.



_C109707.JPG


_C109709.JPG


_C109713.JPG


_C109714.JPG


_C109715.JPG


_C109716.JPG


_C109718.JPG


_C109719.JPG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메인보드눈 4+4핀 파워커넥터와 5페이즈 전원부를 탑재하였습니다. 더군다나 솔리드 캐패시터를 사용하여 메인보드 내구성과 안정성을 높였습니다.



_C109721.JPG


_C109722.JPG


_C109723.JPG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메인보드는 DDR4 메모리를 지원합니다! 최대 64기가 메모리를 지원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메인보드 칩셋 방열판입니다

 




_C109725.JPG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메인보드는 PCI 익스프레스 16x 슬롯과 1x 슬롯 2개가 있습니다.



_C109726.JPG


이 부분이 독립적인 오디오 PCB 부분입니다. 하이퀄리티 오디오 캐퍼시터를 사용하였고, LED 라이트닝 오디오 & 노이즈 가드로 인해 노이즈 차단 및 튜닝 기능을 추가했다고 합니다. 



리뷰 더 보러 가기 : http://europa1230.blog.me/220567196

 
4


 
180.71.208.xxx
불법 광고글 신고하기
   이 게시물의 댓글 보기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