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빅빔 FIC AZ11EA |
cellspacing="0" width="100%" bordercolor="silver">
Chipset |
North : VIA KT133A |
South : VIA686B |
Processor |
AMD Athlon 1.33
and up @266MHz FSB |
AMD Duron 800 and
up @200MHz FSB |
Memory |
3DIMM Bank |
PC100 &
PC133 Support |
1.5GB |
ExpansionSlot |
1AGP / 5PCI / 1CNR |
2 ATA100 IDE Port |
1 FDD Port |
1 LPT / 2Serial
Port |
4 USB Port |
1 PS/2 Mouse &
KBD Port |
Protection
& Management |
ACPI Ready(STD)
& STR(Option) |
CPU Voltage &
Multiplier Swith |
H/W Monitoring |
Auto Power Failure
Recovery |
WOL / WOR |
Hardware based intelligent
anti-virus protection |
AC97 Sound
System |
VIA AC97 Sound Codec |
Game / MIDI Port |
Novus |
Audio Alert II(optional) |
BIOS Guardian |
Logo Genie |
Hotkey |
Overclock Partner |
ClockMeter |
|
|
1. LAYOUT |
width="600" height="450" border="0">
|
진한 파랑색의 비닐로 코팅이 되어있고
두께도 두꺼운 포장 박스입니다. (사진을 클릭하면 큰 사진을 보실 수
있습니다.) |
|
border="0">
|
기본 구성물입니다. 다국적
매뉴얼, 한글메뉴얼, 퀵인스톨가이드, CD Plus, CD Pro, IDE 케이블
2개, FDD 케이블이 있습니다. |
|
border="0">
|
생산단가를 낮추기 위해서 AZ11E
생산라인을 그대로 이용하여 AZ11EA를 생산하였나봅니다. 똑같이 생겼습니다.
노스브릿지만 KT133에서 KT133A로 바꾼 것이지요. KT133A로 바꾸면서
쿨러를 장착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쿨러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우선 쿨러 전원선이 메인보드를 관통합니다. 이것은 따로 쿨러 전원
커넥터를 만들지 않고 보드의 케이스팬 파워커넥터에 칩셋 쿨러를 달았기
㏏?都求? |
|
width="600" height="450" border="0">
|
메인보드 전체 사진입니다. 노스브릿지
쿨러 전선이 보드를 관통하고 있어서 좀 보기가 안좋습니다. 그런데
빅빔홈페이지나 FIC홈페이지에 있는 AZ11EA 사진에는 쿨러 전원선이
나오지 않습니다. |
|
width="600" height="642" border="0">
|
퀵 인스톨 가이드입니다. 종이
한 장에 메인보드 관련 설명이 다 나와있습니다. 게다가 스티커 형식으로
되어있어서 케이스 안쪽에 붙여놓고 볼 수 있습니다. AZ11E와 AZ11EA의
레이아웃이 같기 때문에 AZ11E 퀵인스톨가이드를 넣어놨습니다. |
|
border="0">
|
이것은 Panel S/W 매뉴얼 사진입니다. 영문메뉴얼에
있는 것으로 자세히 보시면 한글 퀵인스톨가이드에 있는 설명과 다릅니다.
Power LED 점퍼 부분이 다르다는 것을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
|
border="0">
|
백페널입니다. VIA AC97 Sound Codec을
내장하고 있어서 사운드 포트가 있습니다. |
|
border="0">
|
CPU 소켓 주변입니다. 소켓의 쿨러
걸이 바로 옆에 엄청 큰 캐패시터가 있습니다. 하지만 걸이부분은 엄지손가락
하나가 들어갈 정도의 공간은 있습니다. |
|
border="0">
|
배수와 전압을 설정할 수 있는 스위치입니다.
ADR, ADV라는 점퍼를 이용해서 배수와 전압의 수동설정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해줍니다. ADR, ADV접퍼를 수동설정으로 해주면 스위치 2개를
이용해서 배수와 전압을 설정해줄 수 있습니다. 배수는 5x ~ 12.5x까지
있으며 전압은 1.475v ~ 1.850v까지 있으며 0.025v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진에는 나와있지는 않지만 FSB를 100MHz와 133MHz로
설정하는 점퍼가 있습니다.
장점: 바이오스에 들어갈 필요없이 오버가 가능합니다. 또한
CMOS chech sum error이 나도 CMOS clear필요없이 정상으로 돌릴 수
있습니다.
단점: 배수가 12.5가 한계입니다. 바이오스에서 배수를 설정해주면
바이오스 업그레이드를 통해 배수를 올려줄 수 있지만 스위치를 이용하다보니
더 높은 배수를 설정해줄 수 없습니다. |
|
border="0">
|
AGP 슬롯입니다. 가이드가 없어서
썰렁해보입니다. |
|
border="0">
|
CNR슬롯입니다. CNR슬롯을 잘 사용하지
않는데 CNR보단 ISA, PCI 슬롯을 달았으면 더 낫지 않나 싶습니다.
CNR슬롯과 PCI슬롯 사이에 WOR, WOL 커넥터가 보입니다. |
|
border="0">
|
노스 브릿지에 있는 쿨러 사진입니다. 노스브릿지에
쿨러가 있어서 안정성에 조금은 기여를 하겠으나 이것 때문에 보드 중간에
전선이 관통하지요. |
|
border="0">
|
충격! 노스브릿지에서 방열판을 떼고 바로
찍은 사진입니다. 놀랍게도 써멀그리스가 안발라져있군요. |
|
width="450" height="422" border="0">
|
사우스브릿지입니다. |
|
border="0">
|
프론트 페널스위치, 확장 USB커넥터,
IR커넥터입니다. 프론트 페널스위치에는 각 핀에대한 설명이 다 적혀있습니다.
확장 USB커넥터가 있습니다만, 케이블을 안줍니다. 쿨러커넥터 밑에
있는 것이 IR 커넥터입니다. |
|
border="0">
|
파워커넥터가 있는 부분입니다. 위에
CPU FAN커넥터가 있으며 아래에는 ADV(auto detect voltage)점퍼가 있습니다.
|
|
border="0">
|
여러 커넥터들입니다. 왼쪽부터 BT_Audio(Blue
Tooth 오디오), AUX_in, CD_in1, CD_in2, FNT_Audio(Front 오디오)입니다.
네모난 AC97 Sound Codec도 보입니다. |
|
border="0">
|
CLR_CMOS 점퍼, 시스템온도센서,
CHASS열림방지점퍼, FSB설정 점퍼가 보입니다. 사우스브릿지아래 파란색의
튀어나온 것이 시스템온도센서이며 바로 옆에 있는 점퍼(CHASS)가 케이스열림방지점퍼입니다.(사용법은
모르겠습니다. 매뉴얼에도 자세하게 안나왔습니다.) |
|
border="0">
|
ROM BIOS사진입니다.(PMC Flash써있는
것.) 그 위는 Aidio Alert1커넥터이고 롬바이오스 바로 오른쪽(사진에는
잘 나오지 않았지만..)에는 Audio Alert2 커넥터가 있습니다. |
|
border="0">
|
케이스에 장치 모두를 장착한 후
찍은 사진입니다. 보시다시피 파워선이 쿨러 상단을 지나갑니다. IDE
커넥터의 위치가 보드 상단(메모리 슬롯 옆)에 있어서 케이블 길이가
넉넉히 남아서 정리가 쉽습니다.(사진에서는 제가 정리를 안해서 쫌
지저분합니다. ^^;;) 네 번째 베이에는 확장 USB케이블을 꽂아 본 겁니다. |
|
2. BIOS |
border="0">
|
바이오스 메인화면입니다. |
|
border="0">
|
HDD S.M.A.R.T Capability옵션과 BIOS Guardian옵션이
눈에 띱니다. |
HDD S.M.A.R.T Capability : S.M.A.R.T(Self
Monitoring Analysis, Reporting Technology)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시스템의 상태를 감시하고 분석하여 최적의 데이터 보존상태를 유지하는
첨단기술로 ATA-3부터 적용된 기술입니다. |
BIOS Guardian : CIH 바이러스와 같은 ROM
BOIS 침투형 바이러스로부터 시스템의 롬바이오스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
|
border="0">
|
메모리 설정을 자세하게는 해 줄 수 없지만
메모리 인터리빙을 지원합니다. |
|
border="0">
|
irq를 강제할당해 줄 수 있습니다. |
|
border="0">
|
PC Health Status옵션입니다. 팬속도, 온도,
전압을 모니터링합니다. |
|
border="0">
|
바이오스의 Frequency/Voltage Control
부분입니다. 메인보드에 배수와 전압을 설정하는 스위치가 있기 때문에
메뉴가 간단합니다. CPU Host/PCI Clock옵션에서는 여러 가지 FSB를
골라 줄 수 있습니다. |
|
3. NOVUS-II |
Logo Genie : 로고 지니는 윈도우즈95/98
전용 응용 프로그램으로 컴퓨터에 전원을 켜고 운영체제가 시작하기
전까지 사용자가 입력한 로고 이미지를 모니터상에 출력해주는 기능입니다. |
BIOS Guardian : 바이오스 가디언은
롬바이오스 공격형 바이러스로부터 롬바이오스를 보호하기 위한 백신
소프트웨어(롬바이오스 내장)입니다. |
Easy Key : 부팅화면에서 CMOS Setup의
서브메뉴를 직접 변경하는 단축키입니다. |
Overclock Partner : 롬바이오스의
무리한 설정(오버클럭)으로 인하여 시스템이 정상적인 동작이 불가능할때
메인보드의 점퍼 또는 DIP S/W를 초기상태로 복구하여 문제를 해결하나
, 오버클럭 파트너는 이러한 불편함을 키보드의 조작만으로 쉽게 복구
할 수 있습니다. |
Clockmeter : CMOS Setup메뉴가
아닌 윈도우즈 화면에서 FSB(Fron Side Bus) Clock과 CPU 배율설정을
변경하는 응용프로그램입니다. |
Audio Alert II[선택사양] : 오디오
얼러트 기능은 씨피유, 메모리, 비디오카드의 불량 및 접촉불량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실행이 불가능할때 내장된 오디오 서브시스템을 통하여
에러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입니다. |
|
4 . 번들 플그림 |
CD Pro : 메인보드 관련 플그림(ex.
비아 패치)가 들어있는 CD입니다. 제가 테스트한 보드가 5월에 생산되
보드인데 비아 서비스팩 4.28이 들어있었습니다.(참고로 전에 테스트한
솔텍보드는 5월에 생산된 것인데 비아서비스팩 4.29가 들어있었습니다.) |
CD PLUS : 번들 유틸이 들어있습니다.
플그림이 9개나 들어있습니다. 노턴안티바이러스2000(솔텍은 2001),
노턴고스트, 버츄얼드라이브, APPIO(온라인 쇼핑 플그림), Auto Save(파일
백업 유틸), X-STOP(성인사이트 차단 플그림), Cute Dialer(Dialup Manager),
IMAGEMORE(clipart), Acrobat Reader... |
|
5. 총평 |
장점 |
IDE 커넥터의 위치가 보드 상단에 있어서 케이블을 꽂고 정리하기가
쉽습니다. |
메인보드의 딥 스위치를 통해 오버클럭을 하므로 바이오스 체크섬에러가
나도 대처가 쉽습니다. 그리고 윈도우상에서도 FSB를 조절하여 오버클럭을
해 줄 수 있습니다. |
퀵인스톨가이드를 제공하여 매뉴얼없이 보드의 모든 것을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
irq강제 할당기능이 있습니다. |
풍부한 번들 플그림. 노턴 안티바이러스, 노턴고스트, 버츄얼드라이브
외에 쓸지 않쓸지는 모르지만 여러 플그림이 번들로 제공됩니다. |
내장사운드. 장점이 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일반유저분께는 쓸
만하지요. |
튼튼하고 고급스러워보이는 박스. |
메모리 인터리빙 지원 |
바이오스 가디언. 롬 바이오스로부터 바이오스를 보호하는 기능이지요. |
단점 |
파워커넥터의 위치가 안좋습니다. 파워선이 쿨러위를 지나가는군요. |
너무 불필요한 기능이 많습니다. 위에서 잘 보셨으면 아시겠지만
CNR슬롯, BT_Audio, Front_Audio, Audio Alert(옵션 기능이므로 추가
부품을 사야합니다.)등 잘 쓰지 않는 기능을 탑재하여 제품 단가를 올라갔습니다. |
3핀 커넥터의 부재. 매뉴얼에는 2개라고 적혀있지만 씨피유 쿨러 커넥터,
노스브릿지 쿨러 커넥터를 쓰고 나면 하나도 안남습니다. |
단점이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확장 USB커넥터를 안줍니다. |
한글 매뉴얼. AZ11EA보드에 AZ11E 매뉴얼을 넣어놨습니다. 비록 AZ11E와
AZ11EA의 레이아웃이 같다고는 하지만 구매자 입장에서는 회사가 성의가
없어 보입니다. |
세밀한 메모리 설정 불가. 2-3-3밖에 안됩니다. 물론 트윅을 해서
2-2-2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