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 늦은 파워컬러 9100프로 사용기
 김경원
 조회 : 3647 , 2003/12/09 13:35
Untitled Document

 

샘물테크 Radeon9100Pro 사용기
 
1. 서 론
3Dfx의 침체 이후 한동안의 nVIDIA의 독주가 계속되는가 했더니 전통의 명가 ATI의 Radeon시리즈를 발판으로 한 도약으로 재미있는 전쟁이 계속되고 있다. 작년 R300시리즈의 등장으로 그 동안 쉽게 넘볼수 없었던 성능상의 우위를 실질적으로 차지하게 되었으며 뒤 이어진 GeforceFX의 등장... 그리고 계속 되는 신제품은 출시 러쉬는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현재 nVIDIA는 5950Ultra, ATI의 9800XT가 출시된 상태이지만 일반 유저들이 만져 보기 에는 아직까지는 거리가 있는게 사실이다. 보통 그래픽카드 시장에서 10만원 미만 가격대는 보급형이라 규정되고 있다. 한 때 ATI의 얼굴마담 역활을 했던 8500이 이제는 시간의 흐름에 의해 보급형 자리에 이르게 된것이다. 작년말 8500LE가 9100으로 개명 되어을 때가 본격적인 보급형으로 거듭난 시기이니 좀 늦은감이 있지만 보급형이라고만 하기에는 아직도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는 샘물테크의 PowerColor 9100Pro를 살펴 보도록 하겠다.

2. 제품사양
PowerColor Radeon 9100Pro
프로세서
RADEON™ 9100GPU
RAMDAC
350MHz
Core / Memory
250MHz / 250MHz
비디오 메모리
128MB DDR memory
메모리 대역폭
128 BIT
최대 해상도
2048*1536@75Hz
제조회사
CP Technology
AGP슬롯
2x/4x지원
기 타
Dual 모니터(CRT+TFT LCD)와 비디오 출력지원

 

3. 외 형
▲ 박스의 외형
박스의 겉 모습이다. 9100 64MB제품과 박스에 나타난 그림은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저가형 치고는 박스가 상당히 넓었는데 다음 사진을 보면서 비교해 보도록 하겠다.

 

▲ CD-ROM박스와의 크기 비교
위의 사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다른 저가형의 작은 박스와는 달리 박스 넓이만은 상당함을 알 수 있다. 기존에 쓰던 리드텍의 5900LX와 박스의 넓이는 거의 동등할 정도였다. 높이는 좀 낮은 감이 있었는데 사진에서 보다시피 시디롬 박스에 비해 상당히 높이가 낮음을 알 수 있다.

 

▲ 밀봉 딱지(?)
일반적으로 그래픽카드의 경우 박스 여는 부위에만 스티커를 부쳐 놓는 경우가 많은데 그것도 살짝 떼면 표가 안나는것이 대부분의 경우이다. 하지만 이 제품의 경우 겉면에 비닐포장과 개봉부위에 딱지(?)를 부쳐놓았는데 쉽게 떨어지지 않게 부쳐져 있었다. 기존에 사용하던 리드텍의 경우 일반적인 메인보드 박스처럼 그냥 열 수 있게 되어 있었는데, 요즘에 개조실패등으로 환불받은것을 되파는 경우가 심심찮게 생기는 것을 보았을때 바람직한 점이 아닐까 생각한다. 사용기를 염두해 두지 않았기 때문에 비닐포장 상태의 사진이 없는것을 양해 바란다. ^^

 

▲ 샘물 스티커
국내 총판인 샘물테크의 인증스티커이다. 뒷면에 주소와 전화번호 까지 적혀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소비자의 수고를 조금이나마 덜어줄 수 있는 좋은 현상이다.

 

▲ 패키지 구성물
패키지 구성물이다. 저가형 치고는 케이블이 알차게 들어 있었다. 중고가형인 9700의 패키지에 들어있던 케이블과 동일한 것 같았다. 이보다 비싼 5600의 경우에도 케이블이 달랑 10cm도 안되는게 하나 들어있었더 거에 비하면 정말 알찬 구성이다. 그리고 윈DVD와 드라이버 시디 메뉴얼로 구성되어 있었다. DVI젠더가 없는게 아쉬웠지만 CRT+CRT듀얼 구성이 안되는것을 생각하면 당연한 건지도 모르겠다.

 

▲ 메뉴얼
메뉴얼 목차에 보면 영어,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한자등은 있으나 한글은 없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샘물테크와 계약맺은지도 1년이 넘은걸로 아는데 아쉽지 아니할 수 없다. 밑에 보다시피 한자는 찾을 수 있었으나 한글은 찾을 수 없었다. 설명서가 없다고 설치하는게 어려운거는 아니지만 서비스라는 면에서 생각해 봤을때 참 아쉬웠다.

 

▲ 카드의 외형
카드의 윗면 모습이다. 고급 고용량 캔형 커패시터는 없지만 자잘한 커패시터들이 카드 전체를 덮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XXXX사의 경우 초기에는 괜찮다가 좀 지나면 저가형의 경우 허허벌판이 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 제품은 빈공간 없이 백백히 들어차 있어서 만족스러웠다. 성능상의 큰 차이를 보이는 거는 아니지만 있어야 할곳에 부품이 없어진다는 것은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좀 촌티 나는 쿨러와 TSOP타입의 램, 그리고 레이지시터칩등으로 카드가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하이닉스 램
제가 구입한 제품에는 하이닉스 램이 달려 있는걸 확인할 수 있다. 어는 분은 MIRA램 달려있다 그러고 홈페이지에 사진은 ESMT램인거 봐서 아무램이 다는 모양이다.^^ 그래도 하이닉스가 다른램보다는 좀 믿음이 간다. 램이 마지막에 4라고 적혀 있는걸 알수 있다. 4ns면 250MHZ이니 스펙을 정확히 준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뒷면의 모습
카드 뒷면의 모습이다. 수입처를 확인할 수 있는 스티커와 바코드등의 스티커가 부쳐져 있다. 스티커를 보면 수입처가 샘물테그, 제조회사가 대만의 C.P. Tech인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장착후 모습
장착한 후의 모습이다. 뭐 크게 특이한 것은 없다. 전에 5900LX의 경우 카드 전체를 철판으로 덮고 있어서 그래픽카드를 고정하는 레버를 만지기가 상당히 힘들었고 카드 길이가 길어 케이스를 상하 양분할 정도 였는데 카드 길이도 적당해서 공기흐름에 큰 영향을 미칠것 같지고 않고 그 외특별한 점도 없다.

 

4. 사 용

2D 환경은 요즘들어 별 차이도 없는 것 같고 DVI로 물려 사용하는지라 크게 차이를 느끼기 힘든게 사실인지라 별도로 언급하지 않겠다. 그리고 보급형인지라 1024*768를 초과하는 고해상도나 안티, 비이등방성 필터링등은 현실성이 떨어지니 이러한 환경에서의 테스트는 하지 않았다. 그리고 성능은 3D Mark 2001, 2003으로 충분히 객관적인 데이터로 검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나머지는 제 시스템 정도에서 어느정도로 게임할 수 있는지를 위주로 테스트 했으며 많이 아는것도 없고 시간도 허락해 주지 않아 테스트가 부실해도 양해해 주시 바란다. 프레임 체크는 Fraps를 이용해 측정했음을 알린다.

 
▼ 테스트 환경
AMD AthlonXP System
CPU
AMD AthlonXP 2500+(@200*10.5)
M/B
Epox 8RDA+
RAM
Hynix DDR3200 256mb*2
VGA
PowerColor 9100Pro
HDD

Samsung P80 120G(8MB)

ODD

LG DVD-ROM 16X
LG CD-RW 32X

SOUNG
내장 MCP-t(SoundStorm)
MONITOR
Samsung CX 171T
CASE
3R System R101

 

▲ Riva Tuner를 이용한 클럭 측정
리바튜너를 이용해 클럭을 측정해 보았다. 저가형은 클럭을 함 확인해 보는게 요즘엔 필수가 된 것 같다. 스펙이 250/250 이였는데 249.8/249.8로 나왔으니 스펙과 일치한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 3D Mark 2001 결과값
3D Mark 2001 구동후 결과값이다. 9612점이 나왔다. 전에 5900LX로 같은시스템에서 14000점을 넘긴걸 생각하면 초라한 수치이지만 가격대가 다르니...^^, 5600으로는 10000점 전후로 나왔는걸 생각하면 꽤 괜찮은 수치로 생각된다.

 

▲ 3D Mark 2003의 결과값
3D Mark 2003을 구동시킨후의 결과값이다. 처참한 수치이다. 역시 세대가 다른 카드의 한계인것 같다. 하지만 보급형 중에 1000점 넘기도 쉽지 않은게 현실이니... 참고로 5900LX에서는 5000점 전후, 5600으로는 2500점 정도 나왔었다. 하지만 5600으로도 DX9세대의 게임을 즐기기는 힘든게 현실일 것이다.

 

▲ PES3의 게임 화면
최근에 나온 위닝일레븐7 PC판 PES3의 게임화면 이다. 1024*768의 해상도에 하이쿼리티로 구동한 화면이다. 게임상의 문제로 수직동기화를 On 시킨후 구동했는데 Fraps로 측정시 거의 60프레임대로 나오다가 골대 근처에서 선수수가 많아질때 간간히 느려지는 모습이 보였지만 게임에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니였다. 그래픽수준을 좀 낮추었을때는 그 증상도 많이 없어졌다.
▼ Fraps를 이용한 측정값
Frames: 3565 - Time: 69078ms - Avg: 51.608 - Min: 19 - Max: 61

 

▲ NFS:UG의 게임 화면
최근에 나온 니드포스피트:언더그란운드의 모습이다. 1024*768에서 하이디테일로 돌린 모습이다. 그래픽은 좋았지만 간간히 끊어지는 모습에 겜을 못할 정도는 아니였지만 짜증을 주기에는 충분한 수준이였다.
▼ Fraps를 이용한 측정값
Frames: 2501 - Time: 52938ms - Avg: 47.243 - Min: 1 - Max: 63

 

▲ NFS:UG의 게임 화면
1024*768에서 중간디테일로 돌린 모습이다. 하이디테이에 비해 바닥등의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하이디테일보다는 나았지만 게임자체의 문제인지 간간히 끊어지는 문제는 여전히 발생했다.
▼ Fraps를 이용한 측정값
Frames: 2703 - Time: 48532ms - Avg: 55.695 - Min: 1 - Max: 63

 

▲ NFS:UG의 게임 화면
1024*768에서 노우디테일로 돌린 모습이다. 도로표면이나 광원등이 많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하이디테일때보다는 많이 좋아졌지만 게임상에 문제로 간혹 끊어질때가 있다. 하지만 속도감을 느끼기에는 충분하지 않을까 한다.
▼ Fraps를 이용한 측정값
Frames: 2866 - Time: 50328ms - Avg: 56.946 - Min: 6 - Max: 64

 

▲ FIFA 2004의 게임 화면
최근에 나온 피파2004의 게임화면 모습이다. 1024*768에 32비트 컬러로 돌렸는데 게임하기에 쾌적한 프레임은 아니였다. 이 게임은 개인적으로 그래픽이 2003보다 못해진것 같기도 하다. 그리고 영 게임성도...^^ 한 화면에 선수수가 많이 나와 편리해진 것도 있겠지만 핸드볼 같던 게임성은 여전한것 같다. PES3보다 사양이 좀 더 높은것 같다. 간간히 버벅일때도 있었는데 게임에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니였다.
▼ Fraps를 이용한 측정값
Frames: 377 - Time: 12391ms - Avg: 30.425 - Min: 17 - Max: 49

 

▲ WARCRAFT III의 게임 화면
이제 나온지 좀 오래된 워크래프트:프로즌 스론의 게임화면이다. 이 게임만 1280*1024돌려 봤다. 해본적이 몇번 안되어서 컴과 1:7로 죽을때 까지 플레이 했는데 생각보다 쾌적한 환경이었다. 한 화면에 나오는 유닛수가 많아지면 프레임이 떨어지긴 해지만 왠만하면 30프레임 이상은 나오는것 같았다.
▼ Fraps를 이용한 측정값
Frames: 3891 - Time: 115672ms - Avg: 33.638 - Min: 1 - Max: 61

 

5. 후 기
5900LX를 매각하면서 고해상도로 게임 돌리는걸 포기하면서 구입한 제품이기에 1024로 요즘 왠만한 게임도 소화해 준다는 거에 만족하고 있다. 비슷한 가격의 경쟁상대라 할 수 있는 5200등보다는 많이 앞서는 느낌이면 5600과 비슷한 성능이 아닐까 한다. 5600이 DX9지원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DX9시대가 오면 지금 하이엔드 급을 달리는 5900이나 9700프로 이상급이 아닌이상 과연 소화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5600과 약 5만원 정도의 가격대에서 비슷한 성능을 내어 준다는 것은 대단히 고무적인 일이 아닐수 업다. 거기에 동영상이라는 +요인까지 있으니 말이다. 끝으로 갑자기 적고 싶어 적었는데 급조된거라 사진화질도 그렇고 개인적으로 HTML언어를 잘 몰라 기술적으로나 시각적으로나 많이 부족한게 사실이다. 그리고 내가 잘못알고 있는 사실도 많이 있을것 같은데 사용기를 보고 이거 잘못되었다 싶으면 지적해 주기 바란다. 끝으로 사용기를 읽어 준 모든 분께 감사드리고 9100은 아직 쓸만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사용기를 마감할까 한다.

 

 
장 점
단 점
 
 
저렴한 가격
무난한 성능
알찬 패키지
완벽한 밀봉포장
한글 설명서 부재
제품마다 다른 메모리
 

 

 

 

 

 

 

 

 

 

 

 

 
3


 
xxx
불법 광고글 신고하기
   이 게시물의 댓글 보기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