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기가바이트의 명성을 그대로~ GN-B41G/WBKG 사용기.
 김경근
 조회 : 4318 , 2004/10/30 07:34

 

 

 * 작성자 : 김 경 근 (zoneAndy.vgaclub.co.kr)

 

 

얼마전까지만해도 유선공유기 하나만 있어도 허브(Hub)사용때보다 훨씬더 편리하곤 했었는데.. 이제는 무선 인터넷환경이 보급화되면서 유무선 IP공유기 자체가 많이 상용화되는 분위기인것 같다. 한통에서 네스팟(Nespot) 서비스를 시작한후 이를 사용하는 가정집이 늘어나는것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따라 별도로 무선랜(usb2.0 방식이던 pcmcia 방식이던)과 공유기 자체를 구매해서 장기간 사용시 좀더 비용절감을 꾀할수가 있을것이다.

 

속도면에서도 11Mbps까지 지원가능한 802.11b 제품을 넘어서서 이제는 54Mbps 지원해주는 802.11g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고급형 경우는 최대 108Mbps 까지도 지원을 해주므로 N-topia 나 E-Valley를 사용하는 유져들에게도 메리트가 충분할것으로 보인다. 기가바이트 제품중에서는 GN-B41G 라우터가 보급형으로 출시된 녀석이라 54M 지원이며, 고급형으로 나온 GN-B49G 경우는 super-G 라는 기능이 추가된 즉 108M 까지를 지원해주는 라우터이다.

 

본인이 테스트를 해불것은 보급형으로 출시된 GN-B41G 라우터와 usb2.0 방식의 무선랜 GN-WBKG 세트이다. 사실 기가바이트 제품은 메인보드와 글픽카드에서 많이 접해보았을뿐 네트워크 장비로 접하는것은 이번이 처음이라, 초딩때 소풍가기 전날밤의 들뜬 기대감도 들곤 했었다. 과연 외관상 모습뿐 아니라 성능면에서는 어떠한지를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 기가 B41G, WBKG 외관부터 살펴보자.

 

   

 

유통사가 "강원전자"이므로 박스표지에는 KWShop 이라고 적혀있다. 일전에 Netmate usb2.0 리더기를 받아보았을때와 마찬가지로, 강원전자 유통제품은 박스 자체부터 상당히 이쁘고 깔끔한 포장이라 버리기가 아까울 정도이다. 컴부품들 모아두는 재활용 공간으로 이용할만하다.

 

  유무선라우터 및 무선랜 박스 모습.

 

  10/31일까지 이벤트 행사를 하고있다.

 

  다국어지원 및 WireLess concept.

 

 

내부박스 자체는 B41G 라우터와 WBKG 무선랜 2개로 나누어지는데 둘다 상당히 깔끔한 이미지이다. 특히 강원전자에서 유무선 IP공유기 구매자 대상으로 10/31일까지 이벤트 행사를 한다는 스티커가 붙어있는데.. 홈피 가서 살펴보니 여행상품권, MP3, 가방을 비롯해서 경품들 종류가 상당수 많았다.

IP공유기 필요하신분들 겸사겸사해서 이번 기회에 구매하는것도 괜찮은 선택이 될수도..*.*    

 

그리고, 한글 펌웨어 내장이라는 스티커도 있는데.. 필자가 받은 B41G 에는 오리지날 영문 펌웨어였으며 강원전자 홈피에서 별도의 한글 펌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업데이트 할수있게끔 되어있었다. 아래에서 살펴보겠지만 펌웨어 업뎃 방법은 메인보드와는 달리 정말 손쉬운것이라 별 어려움이 없을것이다.

  

 

 

 

GN-B41G 내용물 전부이다. 설명서와 제품보증서뿐 아니라 메뉴얼시디와 다이렉트 케이블 및 어댑터 등이 잘 들어가 있다. 메뉴얼CD 경우는 말그대로 안에 *.pdf 파일 설명서만 몇개 들어있는 상태라 책자로 딸려오는 한글설명서를 읽어보는게 더 도움될것 같다. 또한 UTP 케이블 경우는 길이를 재어보지는 못했지만 대략 2~3M 정도 되는것 같았다. 

 

  한글설명서 경우 형식적이지가 않고 내용이 상당히 풍부하였다.

 

유경험자일지라도 한번쯤 읽어보면 도움될만한 내용들이 많이 실려있다.

 

 

   

            △ DC 5V 2.0A 전원 어댑터                             △ 드라이버CD 및 메뉴얼CD

 

우선 UTP 다이렉트케이블 경우는 RJ-45 잭 부위의 동그란 보호막(?) 같은것 때문에 끼운녀석을 다시 빼낼때 조금 에로사항이 있었다. 살짝 눌러줘서 잭을 빼내야 잘 빠지는데 보호막 때문에 눌러주기가 힘든게 사실이다. 모양은 이쁘긴해도 조금 그렇다. 

 

무선랜 WBKG 드라이버CD 경우는 여타 제품도 마찬가지겠지만, 기가바이트 홈피에 가면 좀더 최신버젼의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을수가 있었다. 아래에서 테스트할시에도 최신 드라이버를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였다.

 

 

                             △ 위에것들만 있으면 만사 오케이다. ㅇㅇ;

 

 

☆ 유무선 라우터 GN-B41G 알아보기

 

IEEE 802.11b/g 지원에 최대주파수 2.4GHz 대역을 가지는 기가바이트 GN-B41G 라우터의 스팩은 아래와 같다. 출처는 강원전자 홈피이며, 으례껏 등장하는 스팩이라 조금 거시기 하지만.. 빼먹기도 그래서 참고삼아 보시길 바란다.

 

GN-B41G (802.11G 유무선 IP공유기)

규 격

통신 규격

IEEE802.3(10Base-T), IEEE802.3u(100Base-TX),
IEEE802.11b/g(무선)

포트 / 버튼 LAN 포트 - 4 port 10/100 Ethernet (auto-MDIX), RJ-45
WAN 포트 - 10/100 Ethernet (auto-MDIX), RJ-45
Init (리셋) 버튼
전 원

외부아답타 DC 5V 2A

제품 성능

주파수 대역

2412 ~ 2483 MHz(지역 규격에 따름)

전송 방식

QFDM and DSSS
64QAM, 16QAM, QPSK, BPSK, DBPSK, DQPSK, CCK

전송 속도

Up to 54 Mbps

송신 출력

20dBm @ Nominal Temp Range

수신 감도

-68dBm @ 54Mbps

안테나 외부 안테나
무선 범위 실외 : 100 ~ 300m , 실내 : 30 ~ 100m

안전 규격
&
동작 환경

EMC 인증

FCC Part 15(미국)

CE(유럽)

동작 온도

동작 온도 : 0 ~ 40 ℃, 저장 온도 : -20 ~ 65 ℃

동작 습도

10% ~ 85% non-condesing

통신 지원

통신 지원

유동, 고정 IP 지원 TCP/IP
NAT, PPTP, PPPoE
VPN Pass - Through (IPSec, L2TP)
DHCP (Client & Server)

보 안 64/128 bit WEP; WPA-PSK; WPA

제 품

LED 표시

Power/Status; WLAN; LAN (1-4); WAN

무 게 240± 5g
크 기

110mm × 160mm × 25mm

 

 

  상단 모습이다.

GIGABYTE 라는 이름이 왠지 신뢰감을 주고있다.

 

이것도 브랜드 파워일까.

  전면 모습이다.

 LAN #1~4, WAN, WLAN, PWR 이렇게 모두 7개의 LED 가 보이며

 

회선이 연결되면 LED에 불이 들어오고 회선간 전송이 이뤄질때 LED가 깜빡거리며 표시를 해준다.

  하단부 모습이다.

통풍구가 잘 뚫려있어 뜨거운 공기 배출에 도움이 될것 같고, 무선 공유기인만큼 벽걸이장착 홈도 2개가 파혀있다.

  각종 포트를 꽂는 위치이다. LAN포트 4개와 WAN포트 1개 그리고 전원용 포트 한개를 꽂을수가 있다.

 

메인컴은 유선으로 연결하고 리모트 피씨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이런식 조합이 가능할것이다.

 

 

 

 

GN-B41G 의 아랫면에 보면, 잘 찾기 힘든 부위중 하나가 바로 위의 INIT(= initilalization) 버튼이다.

볼펜이나 요지 같은 뾰족한걸로 눌러주면 공유기가 초기화가 된다. 이게 일반 모뎀처럼 전원선 꽂는 후면부에 위치하면 더 편리할것 같기도한데, 하튼 GN-B41G 경우는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 이런 초기화시키는것은 공유기 설정메뉴(=> 192.168.1.254) 들어가서 오른쪽 보이는 Initialization 을 클릭해줘도 마찬가지이다.

  

 

☆ 무선랜 GN-WBKG 알아보기

 

GN-B41G 와 같이 세트로 나오는 무선랜 경우는 종류가 세가지가 있다. 아래에서 살펴볼 usb2.0 방식의 무선랜인 GN-WBKG 와 데스크탑 pci슬럿에 꽂아 사용할수 있는 GN-WPKG  그리고 노트북용에 사용되는 pcmcia 방식의 GN-WMKG 이렇게 세 종류가 나온다.  어느게 수신감도에서 더 뛰어난지는 모두 사용해보지 않은이상 모르겠지만, 일반적으로는 pcmcia > pci > usb2.0  이런 순서로 수신율이 좋다고들 이야기된다.

 

대신에 usb2.0 방식 경우는 데탑이나 노트북 가릴것 없이 장착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은 있으며 또 요즘에 보편화되는 NESPOT 서비스 경우도 데탑일 경우 허접한 usb2.0 무선랜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거 드라이버 구한다고 상당히 노가다 한적도 있었는데.. 아마 기억이 제조사는 SK인가 그렇고 드라이버는 네스팟 홈피에서 다운로드 가능하고 그랬던것 같았다. 이런것에 비교하면 GN-WBKG 경우는 디자인부터 깔끔할뿐 아니라 드라이버 및 사후지원도 아주 뛰어난편에 속할것이다.

 

 

△ 박스내부에서는 다국어 설명서 및 드라이버CD 그리고 ESD 정전기방지 비닐팩에 잘 쌓여진 무선랜 GN-WBKG 의 모습이 보인다.  IEEE 802.11g 규격의 54Mbps를 지원해주며 usb2.0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게끔 되어있다. 심심해서 이것을 usb1.1 포트에 꽂아보기도 했었는데.. 여기서도 무선랜은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였다.

 

예전에 네스팟 사용하는 친구녀석 집에서 usb2.0 무선랜이, 구형보드인 440BX 에 달면(= usb1.1만 지원) 정상작동이 안된다는 소리를 들은적이 있어서.. usb2.0 controller 카드를 NEC 칩 사용하는걸로 1.7만원에 구입해서 달아준 기억이 있다. 근데 이번에 테스트해보니깐, 작동까지는 별 무리없이 잘 되었다. 다만 속도가 절반 정도로 뚝 떨어진 상태로 측정이 되었다. 아마도 480Mbps지원 usb2.0 과 기존의 usb1.1 과는 처리속도면에서 상당수 차이가 나기때문에 그렇지 않을까싶다.

 

 

 

802.11 b/g Wireless USB LAN Card

규 격

인터페이스

 USB 2.0/1.1

동작 전압

 컴퓨터 USB전원(5V)

제품성능

통신 규격

 IEEE 802.11g(802.11b 호환)

주파수 대역

 2412 ~ 2484 MHz(지역 규격에 따름)

전송 방식

 QFDM and DSSS
 64QAM, 16QAM, QPSK, BPSK, CCK, DQPSK, DBPSK

전송 속도

 Up to 54 Mbps

사용 전압

 대기상태 : 270mA,   통신상태 : 320mA

송신 출력

  20dBm @ Nominal Temp Range

수신 감도

 -68dBm @ 54Mbps , -85dBm @ 11Mbps

안테나

 내장형 안테나

안전 규격
&
동작 환경

EMC 인증

 FCC Part 15(미국)

 DGT(대만)
 CE(유럽)

 

동작 온도

  동작 온도 : 0 ~ 55 deg C, 저장 온도 : -20 ~ 65 deg C

동작 습도

 Max. 90% non-condesing

스프트웨어

지 원

드라이버

 Windows 98SE/Me/2000/XP

보안

 WPA-PSK(TKIP, AES), 802.1X client for Windows XP,
 64/128 bit WEP

통신 지원

 IEEE 802.11b/g AP 호환

관련 유틸리티

 네트워크 환경 체크 프로그램

제 품

크기

 109mm*25mm*16mm

무게

 24±1g

포장

 기가바이트 표준 제품 페키지

LED 표시

 네트워크 검색, 데이타 전송, 송수신 감도 표시

 

 

 

  두껑을 닫을시에 사이즈도 아담하고 외관도 상당히 깔끔하다.

 

크기는 대략 만인이 애용하는 불티나(!) 라이터 정도쯤 된다. 휴대하기가 상당히 편리할것이다.

  연결포트 부위는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장착한후 걸리적거리지 않게 위치도 조절가능할것이다.

  뒷면 모습이다. S/N 및 스팩이 적혀있다.

 

 

☆ GN-B41G, -WBKG 설치를 해보자~

   

              

자세히 보시면, GN-B41G 에 달린 안테나 모습이 기존의 108Mbps지원의 B49G 에 달린 녀석과는 모습이 사뭇 달라진 형태이다. 길이가 좀더 길어진게 특징이며 또한 360도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무지향성 안테나(omnidirectional antenna) 라고 하던데.. 수평방향의 전방향으로 고르게 같은 크기로 방사된다는것 말고는 지향성 안테나와의 차이점은 잘 모르겠다. 안테나 이득(Gain) 경우도 어떻게 측정되는지도 전공이 아니라 패스한다~  하튼 홈피에 올라온 얘기로는 이전의 B49G에 딸려오는 안테나보다는 좀더 개선된 녀석이라 하니 그냥 좋다고만 알고 있다. -0-

 

 

 

위는 현재 사용하고있는 메인컴의 전면 USB포트에 GN-WBKG 를 연결해본 모습이다. 장치인식은 꽂기만하면 PnP로 자동인식이 되기는하지만.. 작동을 제대로 하기위해서는 무선랜 드라이버 및 설치(관리)유틸도 같이 설치를 해주어야 한다. 물론 드라이버CD 안에 제공이 되고있다. 

 

아래 자동실행 화면을 보시면..

 

 

 

두번째 Install Wireless LAN Utility 를 클릭해주면 지가 알아서 드라이버 및 관리유틸까지 모두 인스톨이 되어준다. 근데, 드라이버 경우는 확인해보니 버젼이 좀더 새로운게 기가 홈피에 등록이 되어있어서 최상의 환경을 위해서 이걸로 다운받고 설치를 해주었다. 최신이 ver 2.1.2.0.06.01 이다.

 

 

 

위 그림 클릭하면 기가 홈피 GB-WBKG 드라이버 다운로드로 가게끔 해놓았다. 필요하신분 받아가시면 될것이다. 얼레레~ 글 쓰면서 확인해보니 최신버젼이 ver 2.1.2.0.09 로 며칠사이에 또 새로 올라온 모양이다. 새로 설치하시는분들은 이걸로 하는게 좀더 나아보인다. 어차피 위 링크속에 같이 있으니.

 

 

 

지금은 2.1.2.0.06 버젼 드라이버로 업뎃하고 나서보니 위와같이 버젼 표시가 제대로 되어진다. 또 우측하단에 안테나 수신표시가 나타나는데 오리지날 버젼에는 없었던걸로 기억한다. 저것을 클릭해주면 연결이 끊어졌다가 다시 클릭해주면 재연결이 되기도한다.

 

 

 

장치관리자에도 무선랜 WBKG 가 제대로 잡혀진다. 참고로, 아래 Marvell Gbit Lan 경우는 아수스 p4p800-E Dlx 에 내장된 녀석이다. IEEE 1394 어댑터도 마찬가지이다.

 

 

 

화면 우측 트레이의 모습이다. 신호강도가 "우수함"으로 나타나며 속도도 802.11g 규격의 54Mbps 로 표시가 되어진다. 아이콘중에 왼쪽것은 무선랜 WBKG의 수신상태를 나타내며, 오른쪽것은 GbConfig Configuration Utility 를 나타내며 다양한 설정을 해줄수가 있다. 관리유틸 경우는 설치시 자동으로 msconfig의 시작프로그램에 등록이 되는데 사실 필요치는 않으므로 체크해제 해주어도 무방하다.

 

 

 

 

유무선 라우터 GN-B41G 를 설치하고 인터넷연결을 해보았다. 뒤에 보이는 케이블모뎀은 Net&Sys 제품으로 필자가 현재 관악인터넷(유선케이블) 사용하고있다보니 같이 제공되는 녀석이다. Net&Sys 모뎀 경우는 보급형으로 많이 풀린것이라 성능도 고만고만하고 특별히 살펴볼것도 없다. 별 기대를 안하고 사용하면 쓸만한 녀석이다.

 

 

☆ 공유기 설정방법을 알아보자

 

연결이 완료되면 IE창을 하나 열고 주소에 192.168.1.254 라고 치면 공유기 설정화면이 나타난다.

 

 

 

위의 다양한 메뉴에서 보듯이, GN-B41G 경우 초보자들뿐 아니라 고급유져들을 위한 상세한 세팅까지 제공을 해주고 있다. 또 Smart Setup 기능이 제공되므로 초보분들은 그냥 저것만 클릭해주면 자동으로 감지되고 인터넷연결이 가능해진다.  우선 192.168.1.254 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아이디/패스워드 입력이 필수인데 아래 그림처럼 변경도 물론 가능하다.

 

 

  초기 아디/패스는 admin/admin 로 되어있다.

 

타 제조사 경우 패스 자체가 "password" 인 경우가 많은데 기가바이트 제품은 패스 자체도 "admin" 이라는게 좀 다르다.

  아래쪽의 [Change Password] 항목을 클릭해서 변경을 해줄수가 있다. 필자 경우 왼쪽과 같이 변경을 해보았다.

 

또 주의점은 영문 대/소문자를 구별을 하기때문에 small a 로 적을시 다른 아이디로 인식을 한다. large A 로 구별해서 적어줘야 한다는점.

 

GN-B41G 초기펌웨어 경우는 1.04E 로써 영문판이었는데.. 강원전자 홈피 자료실에 가보면 한글펌웨어도 등록이 되어있다. 이걸로 업뎃할시는 공유기 설정메뉴도 한글로 볼수있어 좀더 편리할것이다. 사실 그다지 대단한 용어들이 아니라서 영문판으로 보더라도 사용상 어려움은 없지만 말이다.

 

또 기가 홈피에 뒤져보니 최근에 1.06E 로 새로운 펌웨어가 포스팅 되어있길래 이걸로 업뎃을 한판 해보았다. 아래그림 클릭하면 기가 홈피 다운로드로 접속이 바로 될것이다. 업뎃후에는 Initialization 눌러줘서 공유기 초기화 시켜주라는 글귀도 보인다.

 

 

 

 

펌웨어 파일을 다운받고 HDD 등에 저장한후 위의 Upgrade Firmware 눌러서 경로지정해주면 자동으로 업글이 진행이 되어진다. 클린부팅으로 메인보드 바이오스 업글하는것에 비하면 누워서 떡먹기쯤 될것이다.

 

    기존 1.04E 펌웨어

    업글후 1.06E 펌웨어.

 

 

이제 새로운 설정을 적용하기 위해서 우선 IP주소를 갱신해볼 필요가 있다.

시작/실행 cmd or command 로 콘솔창 열고서 ipconfig /release 라고 쳐서 초기화 시켜준후에

다시 ipconfig /renew 명령어로 새로운 IP를 할당받아주면 된다. 

 

 

 

IP 주소가 192.168.1.2 로 정상적으로 들어옴을 알수가 있다.

 

그러면, 여기서 Smart Setup 을 눌러줘서 자동설치를 해도 되지만.. 약간의 수동작업을 배려한게 바로 아래의 Setup Wizard 이므로 이걸을 클릭해서 셋업절차를 간단하게나마 알아보도록 하자.

 

                  

  Setup Wizard 를 눌러서 설정으로 들어간다.

  LAN 설정화면.

 DHCP 경우는 기본값이 사용함(enabled) 인데, 사용안함(disabled) 옵션도 보인다.

      

  xDSL 사용자분들은 PPPoE 선택하면 될것이고,

 제 경우는 유선케이블 방식이라 Dynamic IP 로 선택을 하였다. 이게 한글판에서는 "케이블모뎀" 이라는 명칭으로 나온다.

      

  아무거나 적어주면 된다.

관악인터넷이 KCNET 이라길래..

        

  설정완료.

 리부팅 한판해주면 끝이다. 

 

 

이상, 기본적인 설정은 모두 끝이고.. 대신에 GN-B41G 에서는 고급유져들을 위해서 Advanced Setup 메뉴도 제공을 해주고있다. 여기서는 맥 접근통제, 보안설정, 가상 서버 등 다양한 설정을 할수가 있는데.. 사실 아래것들 기본값대로 두고 사용해도 사용상 별 하자는 전혀 없다. 그래도 심심하니깐 한번 살펴보도록 하자.~

 

 

△ 위 영역은 필요시 LAN 설정을 사용자가 변경할수 있는 부분이다. 또 특정 PC에 특정 IP주소를 할당하는 기능인 IP-MAC 매핑도 보인다. 바로 옆 탭의 WAN 설정에서는 사용자가 각각 4개의 WAN 연결설정을 할수가 있으며, xDSL 및 케이블모뎀 방식의 결정과 또 MTU, NAT, universal PnP 등의 설정메뉴가 제공이 된다. 세번째 탭인 Session 설정에서는 사용자가 백업세션에서부터 주요세션까지를 변경할수가 있으며, 예컨데 주요세션이 연결에 실패한다면 백업세션으로 바로 교체가 될것이다.

 

 

 

△ 무선랜 802.11g의 설정화면이다. 우선 RF Type 에서는 802.11g Mixed/Pure 두가지 옵션이 있는데 Mixed 경우는 802.11b(11Mbps) 와 802.11g(54Mbps) 전송속도 모두를 지원해준다는 의미이고, Pure 로 맞추게되면 802.11b만을 지원하는 무선랜 사용시 인터넷 연결이 불가능해진다. 오로지 54M 이상을 지원하는 802.11g 규격의 무선랜을 사용해야 가능하다. 기본값은 Mixed 이므로 별도로 변경할 필요는 없을것이다.

 

SSID(= Service Set Identifier)에는 무선공유기를 식별하는 적당한 이름을 적어두면 될것이고, 바로 아래의 Hidden SSID(숨김기능) 경우는 무선 송신시 공유기에서 연결할 SSID가 보이지 않게하여 다른 사용자가 SSID 에 접근할수 없도록 해주는 옵션이다. 기본값은 disabled 이다.

 

WEP(= Wired Equivalent Privacy) Default Key 경우는, 무선네트워크에 권한이 없는 사용자들의 접근을 막을수 있게 암호화된 데이타를 전송하는 기능인데.. disable/64bit/128bit 세가지로 설정을 할수 있다. 기본값은 사용안함(disabled) 이며, -> 64bit ->128bit 로 올릴시에 보안기능이 강화되는 한편 인터넷 전송속도는 그만큼 더 느려지게 된다.

 

 

△ Static(= 고정) 라우팅 테이블 경우는 destination IP 주소를 미리 입력을 해서 기본게이트웨이를 거치지않고 빠른 경로를 통해 라우팅 할수있게 해주는 옵션이란다. 사용해본적이 없어서 패스~

 

 

 

△ DMZ 세팅이다. 온라인 게임이나 VPN 등을 하다가 특정게임에서 공유기로는 접속이 되지않을 경우 설정하는 기능인데.. 이런 DMZ 설정은 공유기 없이 바로 지정된 IP의 컴터만이 다이렉트로 연결된것처럼 만들어줄수 있다. 대신에 고정 IP 주소를 정해주어야만 한다. 예컨데 Enable 체크하고 IP 주소에는 192.168.1.2 처럼 입력해주면 된다.

 

 

△ PPPoE/DHCP/Static type 경우는, 공유기 안의 피씨에서 특정서비스나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서 설정하는 기능이며.. 해당되는 프로토콜과 포트 및 가상서버를 지정해줄수가 있다.

바로 옆의 PPPoE UnNumber type 경우도 이와 유사한 기능이다.

 

 

△ 보안 설정은 높음/중간/낮음 세가지중 하나를 선택하면 서브메뉴들은 자동으로 설정이 된다.

기본값은 낮음(Low) 이며.. 한단계씩 올릴때마다 아래쪽 옵션인 Stealth mode 와 불법으로 접근하는 컴터 탐지기능에서의 기능들이 체크가 되어진다.

 

 

△ 이곳은 유동 DNS 서비스를 설정하는 부분이다. 사용자가 IP주소로 접근하는 대신에, 가상 서버의 URL을 이용해서 접근하는 것이란다. 위에 보이는 dyndns.org 가서 유동 DNS서비스를 유상으로 등록해야 된다고 하니.. 일단 무시를 하고 넘어가자. -0-

 

 

△ 특정 URL 을 제한하는 기능이란다. 웹주소를 적고 확인을 눌러주면 된다. 시험삼아 적어본것은 야후코리아 이다. 또한 URL제한 설정을 초기화할 경우에는 Reset URL Blocking 을 눌러주면 될것이다.

이상으로, 공유기 설정방법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다. 사실 더 들이대고 봐봤자 아는것도 없다.^^; 

 

 

 
2


 
xxx
불법 광고글 신고하기
   이 게시물의 댓글 보기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