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세대 무선 디빅스 플래이어~ MEDIAGATE MG-350HD - 성능편
 훌랄라리 미디어로그가기
 조회 : 3306 , 2006/06/24 16:35

 

 

 

 

purple01_next.gif 전환버튼 주변의 LED

 

 

 

 

전원이 연결되면 PWR LED에 붉은색 조명이 점멸되면서 작동함을 알리게 된다. 하드디스크가 내장이 되면 맨 하단의 HDD LED에 노란색 조명이 들어오면서 현재 작동상태를 알리게 된다.

 

 

구분

테스트 사양

CPU

AMD Athlon 64 3000+(Orleans, 1.8GHz)

Motherboard

MSI K9N NEO-F

Memory

Samsung DDR2 PC-4200 512MB x 2

Graphics

REX 7600GS 256MB 1.2ns 올인

HDD

WD S-ATA 36GB 10000rpm

ODD

BENQ DW1650

PSU

SKYHAWK 420PC

NETWORK

 OVITT 유무선 공유기 802.11g 지원

HD DEVICE

 시그마컴 BULEBOX HDTV

USB DEVICE

 USB MEMORY 256MB

OS

Windows XP SP2 PRO

 

purple01_next.gif 테스트 시스템

 

 

이번 스토리지 테스트는 MG-350HD가 갖는 기본적인 기능으로 외장하드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는지, 하드디스크의 인식은 제대로 되는지 살펴 보기로 한다.

 

 

 

 

MG-350HD의 USB 포트와 테스트 시스템을 연결하면 장치관리자에서 보는 것처럼 USB 디바이스로 하드디스크를 인식하게 된다. USB 외장 장치로 인식되는 것으로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바로 인식되어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지니고 있다.

 

 

 

purple01_next.gif HD-TUNE 테스트 결과

 

USB 2.0을 지원하는 외장형 저장 장치로 인식되기 때문에 외장 스토리지로서의 성능 테스트를 실행했다. USB 2.0은 최대 480Mbps의 전송속도를 지니고 있어 60MB/sec의 스트림 속도를 내게 되는데, 실제로는 이론 속도의 30~40%정도만 통상 지원된다. 그렇게 생각한다면 일반적인 전송속도는 20~25MB/sec이기 때문에 이번 테스트에서 보여준 22.2MB/sec는 정상적인 범위내의 속도로 볼 수 있다. 하지만, CPU 점유율이 다소 높은 것은 아쉽게 생각된다.

 

 

 

 

 

purple01_next.gif 초기 화면

 

 

 

 

네트워크의 설정은 두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MG-350HD의 프로그램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은 설정부에서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로 나눈다.

 

 

 

purple01_next.gif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 설정으로 NDAS를 실현할 수 있는데, IP 자동받기등의 메뉴에서 윈도우 XP 사용자라면 굳이 설정이 필요없고, 윈도우 2000 이하 운영체제 사용자라면 매뉴얼을 참조해서 설정하면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 설정에서 AP 스캔을 통해 무선 라우터를 인식하게 된다. 여러 무선 라우터가 존재하게 되면 많은 수의 AP가 인식되겠지만, 실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내부 네트워크로 연결된 AP를 선택해야 한다.

 

 

 

 

무선 네트워크 설정을 통해 검색된 무선 채널 SSID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네트워크 종류에는 AP 모드와 Ad-hoc 모드가 있다. Ad-hoc 모드는 공유기와 MG-350HD간의 1:1 모드로 전환된다.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된 PC 시스템의 영화 재생 목록이다. PC 시스템에서의 공유 폴더는 미리 공유되도록 설정을 마쳐야 한다. 영화 목록의 경우에는 자동으로 검색이 되는데, LAN과 WIRELESS의 차이점이 생기게 된다. 그것은 검색 시간의 차이, 창 전환의 시간 지체등으로 나타난다. HDD에 담긴 영상의 경우 거의 실시간 영화 검색과 창전환이 가능하지만, LAN이 조금 늦은 편이고, 무선의 경우 지체되는 시간이 길어진다.

 

이는 MG-350HD에 도달하는 버퍼링 속도의 차이로, HDD>LAN>WIRELESS 순이다. 아무래도 무선의 경우 54Mbps이므로 실제 전송속도는 2~3MB/sec여서 생기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purple01_next.gif LAN NDAS를 통한 영상 출력

 

LAN을 통한 영상 출력은 리모콘의 반응 속도로 보면 0.5~1초 정도의 지체 현상이 생긴다. 즉 리모콘으로 명령어를 전달하면 MG-350HD가 반응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유선에서 이정도의 속도라면 썩 만족할만 하다고 본다.

 

 

 

purple01_next.gif WIRELESS NDAS를 통한 영상 출력

 

무선을 통한 영상 출력은 LAN NDAS보다는 지체 현상이 약간 긴 편이다. 약 2~2.5초 정도인데, 일단 버퍼링이 시작되면 영상물에서는 크게 LAN NDAS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또한 영상물의 경우 무선임에도 거의 끊김이 없이 영상 출력이 가능해서 무선 네트워크 강도에 따라서는 먼 지역내에서도 충분한 영상 출력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USB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USB HOST 단자의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다. USB HOST 단자는 외부 USB 저장장치와 연결해 데이터를 작동할 수 있다고 하지만, 실제 테스터의 경우 256MB USB 메모리는 인식은 되지만, 내용까지 인식하지 못하는 아쉬움을 남겨 주고 있다. 사용설명서에도 모든 USB 외부기기와의 호환성은 보장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아 호환성은 완벽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purple01_next.gif USB 메모리 인식 장면 : 내용 검색에는 실패

 

 

 

 

 

 

영상 출력은 디빅스 플래이어의 존재 이유기도 하다. 영상 출력은 현재 연결되는 기기에 맞추어 설정의 비디오 출력에서 설정하게 된다. HDTV를 지원하면 그에 상응하는 설정을 하면 깨끗한 영상 출력이 가능하다.

 

 

 

purple01_next.gif 영화 [울트라 바이올렛] 중 한장면

 

스펙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MG-350HD는 현존하는 거의 모든 영상 코덱을 지원하고 있어 디빅스 영상물은 거의 감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영화 감상은 간단히 리모콘의 버튼 조작으로 동작하게 된다. 영상물의 정보를 알고 싶다면 리모콘의 INFO 키를 누르면 간단한 정보가 출력된다.

 

 

 

purple01_next.gif 영상물의 정보 확인

 

 

 

purple01_next.gif BOA'S ARENA TOUR 중 한 장면 (AC3/ XviD)

 

 

 

purple01_next.gif 영화 [스타워즈 에피소드 3] 중 한장면

 

 

 

purple01_next.gif 애니메이션 [유령 신부] 중 한장면

 

 

예제로 올린 영상물을 통해 거의 모든 영상물을 인식하고 출력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고사양의 디빅스 플래이어에서만 출력이 WMV9에 대한 영상물을 확인해 본다.

 

 

 

purple01_next.gif 애니메이션 [스크럼블]중 한장면

 

 

 

purple01_next.gif 영상 정보

 

영상 정보를 확인해 보면 640x480 해상도의 WMV9/WMA 코덱을 사용한 영상물임을 확인할 수 있다. WMV9 코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높은 압축률을 지닌 최신 인코딩 기술이라 할 수 있다. WMV9 코덱이 주로 애니메이션에 사용되는 이유는 간단하다. 같은 용량으로 고화질의 영상의 인코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점차적으로 영상물은 WMV9등의 고압축 기술로 인코딩하게 되기 때문에 디빅스 플래이어도 이런 추세를 따르게 된 것이다.

 

 

 

 

 

 

음악 감상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코덱은 역시 MP3와 OGG 일 것이다. 현실적으로 MP3와 OGG 코덱만 지원한다면 거의 모든 음악 파일의 재생은 가능하다고 볼 수도 있다. 또한 MG-350HD는 거의 모든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있어, 스테레오 사운드부터 디지털 사운드 출력까지 호환성이 완벽한 편이다.

 

 

 

 

MP3의 재생을 통해 음악감상을 시도했다. 역시 MP3는 거의 문제없는 출력이 가능했다. 개인적으로 5.1채널 스피커를 사용하고 있는데, 사운드 자체도 좋은 편이여서 마음에 든다. 이외 PHOTO의 경우에도 비슷한 사용법을 통해 슬라이드쇼를 즐길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형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을 했다. 기능적인 면을 보면, 이전의 MG-35NDA S에서 제공하던 리모콘과는 배열과 기능이 약간씩 틀린 편이다. 상단에는 타이틀, 자막, 스크린 사이즈등의 영상 출력에 대한 부수적인 기능을 위한 버튼부이고, 중간에는 재생에 관련된 버튼이 위치한다. 하단에는 디바이스, 메뉴, 셋업등의 버튼과 각 실행 미디어 단축 버튼이 위치한다. 각 기능의 버튼 배열은 엄지 손가락등에 맞추어 위치하고 있어 사용할 때 편리하다.

 

무선 제어 리모콘의 기능도 중요하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무선 성능이다. 디빅스 플래이어는 편리를 추구하기 위해 탄생한 멀티미디어 첨단기기다. 다른 멀티미디어 기기들도 마찬가지지만, 디빅스 플래이어의 경우에는 필수 조건의 기기가 아닌 것이 다르다. 디빅스 플래이어를 대신할 PC 시스템등이 많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충분 조건으로서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그 중 무선 리모콘은 디빅스 플래이어를 선정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테스터의 경우 4종 이상의 디빅스 플래이어를 사용해 보았지만, 가장 불편을 주는 요소가 바로 리모콘의 무선 성능이었기 때문이다.

 

리모콘의 무선 성능은 세가지를 살펴본다. 무선 방위성과 무선 감도, 무선 수신 거리등이다. 무선 방위성이란 디빅스 플래이어를 중심으로 얼마간의 방위각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보통 거실에 위치해 디빅스 플래이어를 사용하는 가정등은 TV 옆에 디빅스 플래이어를 위치하게 된다. 디빅스 플래이어와 리모콘간의 수신 방위각이 좋아야 어떤 자세든 어떤 위치에서든 편하게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전에 사용하던 한 디빅스 플래이어는 정면이 아니면 무선신호를 감지하지 못하는 암울한 경험이 있다.

 

무선 감도는 반응속도를 뜻하는 것으로 리모콘의 조작에 따른 각 동작이 얼마나 빨리 반응을 보이는가 하는 점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리모콘으로 재생중이던 영화의 한 장면에서 멈추려고 정지 버튼을 눌렀는데, 반응 속도가 느려 그 장면을 넘긴 화면에서 정지하는 일이 발생한다. 또는 이동을 위해 버튼 조작을 했는데, 반응이 느려 두 번 세 번 누르다 보면 엉뚱한 결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대개 방위각이 좋지 않은 제품들이 무선 감도도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무선 수신 거리는 말 그대로 얼마나 먼 거리에서도 반응을 하는가란 문제다. 대개 거실문화를 이루고 있는 아파트의 경우에는 TV와 거리가 멀다고 해도 5M 이상은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5M 정도의 무선 수신 능력만 있으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le01_next.gif MG-350HD의 방위성과 무선 수신거리

 

그림과 같이 여러차례 테스트를 해 보았는데, MG-350HD는 최소 180도 이상의 전면 무선 방위각을 지녔다. 물론 180도 이상도 가능하지만, 실제 활용공간 측면에서 본다면 디빅스 플래이어 후면에서 작동할 일은 별로 없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최소 180도의 방위각이 기기 동작에 원활한 것으로 생각된다. 무선 수신 거리는 약 5M 정도까지만 테스트를 해 보았고, 정상적인 동작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반응속도에서는 MG-35NDAS보다는 다소 떨어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두 제품을 모두 사용해 본 입장이기 때문에 동작에 따른 반응 속도를 기억하는데, 이번 MG-350HD의 경우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반응은 괜찮은 편이지만, NDAS를 통한 영상물 제어는 다소 지체현상이 보이고 있다. 유선, 무선 공히 2초 정도의 조작 지연 현상이 발생하는데, 네트워크에 의한 문제일 수도 있지만, 이전 MG-35NDAS 제품군에서 이런 현상이 거의 없었던 것을 생각하면 아쉬운 부분이다.

 

 

 

 

 

 

ALTECH MEDIAGATE MG-350HD는 제3세대 디빅스 플래이어라 불리우기에 충분한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다. 다양한 포맷과 코덱을 지원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며, HD 기기와의 호환성을 극대화하고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한 제품이다.

 

전면 투명 아크릴로 라운딩 디자인도 빼어날 뿐 아니라 무선 제어 리모콘의 기능도 다양해지고 무선 제어 성능도 우수한 편이다. 디빅스 플래이어의 탄생 초기만 하더라도 TV-OUT을 대체하는 정도의 영상 기기로 생각되어졌지만, 현재는 외장 스토리지로서의 활용도 가능하고, 영상에 한정된 것이 아닌 음악, 사진 슬라이드쇼 감상등의 올라운드 플래이어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는 제품이 된 것이다. 현재로서는 이만한 디빅스 플래이어는 없을 정도의 많은 기능과 편의를 제공하지만, 한두가지 정도는 아쉬운 점이 남는다.

 

우선 하드디스크의 지원인데, 테스터의 경우에는 거의 IDE 하드디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입장이다. 시스템들에 필요한 하드디스크가 S-ATA 규격을 지원하고 그에 따라 S-ATA 하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MG-350HD 이후 제품에서는 S-ATA 하드디스크를 지원하는 제품이 출시되었으면 한다.

 

또 하나는 무선 제어 중 감도가 떨어진 점으로 반응속도는 사용자가 익숙해지면 약간의 불편을 감수하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디빅스 플래이어의 근본이 편의를 위한 기기였던 것인만큼 반응속도의 향상도 다음 제품에서 바라고 싶다.

 

처음 MG-350HD를 받아들었을 때는 더 이상 진화할 디빅스 플래이어는 없는 것처럼 생각되었다. 몇가지 아쉬운 것이 있긴 하지만, 현존 최고의 디빅스 플래이어라는데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이제 데이터를 옮기느라 PC와 TV 사이를 번거롭게 왕래하는 세상은 사라진 것이다.

 
2


 
218.49.183.xxx
불법 광고글 신고하기
   이 게시물의 댓글 보기
  metdol (ID) metdol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6-25 22:39/ 이댓글에댓글달기
  정말 하나 구입하고 싶은 제품인것 같네요
디자인도 이쁘고 무선기능도 좋와 보이고 ndas기능에 멋진제품이네요..
  deltahos (ID) / 06-06-25 23:09/ 이댓글에댓글달기
  수고하셨습니다.
  hyeonsig (ID) / 06-07-01 10:41/ 이댓글에댓글달기
  제품의 편차를 줄였으면 더욱 좋을듯...
  moonwolf (ID) moonwolf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7-02 19:01/ 이댓글에댓글달기
  애니게이트가 정말 물건하나 만들어냈군요.
  irmscher (ID) / 06-07-02 22:02/ 이댓글에댓글달기
  MG-350HD가 풀HD출력을 지원하는데 가장좋은
화질로 보기위하여 풀HD TV도 필요한데 저렴한 가격에 직접 만들수도 있습니다.
다이마트에서 Full HD 1080p입력을 받을수
있는 42인치 LCDTV를 DIY할수 있는 자작킷트
제품이 나왔습니다.
http://www.diymart.co.kr
  bluemun (ID) bluem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7-17 1:06/ 이댓글에댓글달기
  잘 봤습니다. ^^
  yuhwa (ID) yuhw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7-17 13:19/ 이댓글에댓글달기
  괜찮은 거 같네요.
  sky0734 (ID) sky0734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7-17 21:47/ 이댓글에댓글달기
  좋은 정보네요.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