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학 테스터의 최종보고서
 웹마스터
 조회 : 1304 ,2001/08/01 00:00








보드나라 KT133A 필드테스트 yanus KT133A 최종보고서입니다.저작권은 보드나라 ( www.bodnara.co.kr )와 김재학 테스터에게 있습니다.

글 : 김재학 테스터











야누스 KT133A

이번에 테스트한 제품은 체인텍에서 제조하고 샘물테크에서 판매하는
KT133A보드로서 타사의 KT133A보드보다 저렴한 가격과 떨어지지 않는 성능과
기능으로 KT133A메인보드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보드상자


1.제품의 스펙


스펙


제품의 스펙을 보면 알수 있지만 어느보드에 비교해서 떨어지지 않는
스펙을 제공하는것을 알수 있따. 특히 사운드는 타사의 AC97코덱과는 차이가
많다. 또한 H.I.R이라는 하드복구 기능고 가지고 있다.


2.제품의 외형및 레이아웃


야누스보드


제품의 레이아웃을 보면 몇가지 아쉬운 점이 눈에 뛴다. 요즘 거의 안쓰는
AMR(내가보기엔 CNR같음)이 있는것도 맘에 안드는데 위치도 첫번째 슬롯이라서
아쉽다. 있더라고 두번째 슬롯에 있으면 그래픽카드때문에 거의 비워놓는
슬롯이기 때문에 그나마 좋았을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파워연결커넥트의
위치가 보드의 중앙부근에 있어서 조립후에 선정리를 비롯하여 내부의 공기순환에
상당히 악영향을 미친다. 나머지는 보통의 보드와 비슷하도 노스브릿지에
쿨링팬이 없는점도 아쉽다. 물론 제조사에서 충분한 테스트를 했겠지만 FSB가
올라갈수록 노스브릿지에 상당한 열이 난다는것을 알수 있다. 오버용 보드로
유명한 아수스,아비트 보드에는 쿨링팬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6(5.1)채널
사운드를 지원하기 위해 사운드 브라켓이 제공되고 있다.


3.제품의 설치


제품을 설치하는데는 다른보드와 크게 다른점이 없었다. 별다르게 설정할것은
없고 사운드 기능,FSB(100/133) 그리고 배수조정정도만 하면 된다. 이 세가지만
설정하고 바로 보드를 장착하여 부팅을 하였다. 아무문제 없이 화면이 나왔다.
근데 다른보드와 다른문구과 눈에 띄었다. 다름아닌 ALT+F2를 눌러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할수 있다는 것이다.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자주 하는것은 아니지만
상당히 유용한 기능으로 보여진다.


4.바이오스


바이오스는 다른 KT133A보드와 다른점은 크게 없고 바이오스 상에서 FSB와
코어전압을 설정할수 있다. 다만 아쉬운점은 IO전압과 4-Way Interleave설정항목이
없었다. 이는 추후 바이오스 업데이트로 생겼으면 좋겠다.


5.오버클럭테스트


이보드의 오버능력은 몇가지만 보강하면 상당히 강할것 같다. 가장 아쉬운점은
코어전압설정 부분인데 코어전압을 올리는 항목이 있는데...고르는 항목이
+0.025,+0.05,+0.075,+0.10,+0.125....이런식으로 나가는데 처음보고선 전에
사용하는 보드에서의 최고전압보다 높게 설정할수 있을것 같아서 기뻐서
단번에 +0.15로 설정하고 부팅을 해서 전압을 보니 1.76이 나오는것이었다.
한단계씩 내리고 해보닝...썬더에서는 +0.075로 설정하면 1.84가 설정되는
최고전압이었다. 이건 보드이 전압보호회로때문에 1.85이상은 안올라간다는
것이었다. 타보드들은 1.85로 설정하면 더 들어가는것까지 하면 1.93까지
들어가고 했었는데 상당히 아쉬웠다. 그리고 올리기만 하고 내릴수 없는점도
문제였다. 시퓨에 따라서는 디폴트 전압보다 낮추어도 제대로 동작하는 시피유들이
있다. 썬더의 경우 발열이 상당하기 때문에 전압을 약간만 낮추어도 상당히
온도적인 측면에서 이득이 될수 있다. 그리고 배수설정이 10.5배가 설정이
안된다. 10.5배도 오버에 있어서 상당히 많이 쓰는 배수일것이다. 못찾아서
그런지는 몰라도 10.5배로 설정할수 없었다. 1.4기가까지 오버되는 시피유를
가지고 있다면 아쉬워도 1333으로 돌리던가...아니면 비정규 140*10으로
1.4기가를 돌려야 할것이다. 이런점에도 불구하고 아비트 보드와 동등한
오버능력을 나타내었다. 테스트중 아비트 보드를 교환받아왔을때는 아비트
보드가 1533에서 더 안정적으로 돌아갔었는데 그건 코어전압의 차이때문이라고
생각되어진다.


6.테스트 환경


테스트는 각종부품들을 쉽게 교체가능하게 컴퓨터책상위에서 테스트를
하였다. 여러가지 부품들의 호환성 테스트를 위해서는 케이스내에서는 상당히
번거러워서 이렇게 외부로 꺼내놓고 테스트를 하였다.


TEST


 <테스트 사양>




















































시피유



 T-bird 1G@1.33G



RAM



SAMSUNG PC133 256MB*2



HDD



SEGATE BARACUTA ATA3 40G



SCSI



ADAPTEC 2940UW



VGA



ATI READON LE ULTRA



POWER



MICRONICS 340W



CASE



GMC CYBER COOL



CD-ROM



PLEXTER 40TSI



COOLER



POWERCOOLER PCH-137



MONITOR



SAMSUNG 700PT



SOUND



HOONTECH DIGITAL-XG



LAN



INTEL 100M LAN



 


7.각종부품들과의 호환성 테스트


가지고 있는 여러가지의 부품들의 가지고 테스트 해보았으나 그렇게 특별한
호환성 문제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은 테스트한 부품들이다..



램은 삼성 PC-133 256MB 6개로 하였다. 양면2개 단면 4개였는데 야누스보드에서는
이중 단면 두개에서만 CL-2가 동작하였다. 물론 전에 사용하던 아비트 보드에선
6개의 램 모두가 2-2-2 로 동작하였다.



그래픽카드 테스트는 ATI READON LE ULTEA 2EA,VOODOO BANSHEE,ELSA GLORIA
SYNERGY 그리고 MGA 밀레니엄이었다. 물론 특별한 문제는 없었는데 라데온의
그래픽이 약간씩 깨지는 문제와 3DMARK 2001이 윈2천에서 튕기곤 하였는데
드라이버를 3224버전으로 업데이트한후에 말짱이 사라졌다.



테스트한 랜카드는 3COM,INTEL,REALTEK의 10/100모델이다. 이세종류의
카드는 지금 현재 시중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카드라 할수 있는데
세가지 카드 전부 아무 문제없이 동작하였다. 랜카드의 칩에서도 상당히
많은 열이 나서 쓰리콤카드에는 그냥 남는 방열판을 하나 달아봤다.



스카시카드는 가지고 있는것 두개가 아답텍 제품이라서 약간 아쉽다.
테스트제품은 2940,2940uw이다.물론 이 두 제품에 아무 문제없었고 이 두제품에 플랙스터 40배속 시디롬,소니
10배속 레코더, 야마하 6배속 레코더, 플랙스터 8배속 레코더를 물려서 레코딩
작업을 해봤으나 아무 문제없었다. 테스트도중 야마하 6배속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보드문제가 아니고 외장케이스의 전원부의 문제로
밝혀졌다.이니셔제품이나 어드밴시스 제품을 테스트를 못해서 아쉬웠다.


8.보드별 성능테스트



보드의 성능비교테스트는 abit kt7a-raid,msd k7vza-le보드와 비교테스트하였다.
테스트 항목은 산드라와 엔벤치로 하였다.



산드라의 cpu벤치마크는 abit,msd,janus순으로 나왔다. msd의 보드가
아비트의 근소한차이로 2번째성능을 차지하였다.


 



메모리벤치에서는 야누스보드가 너무 실망스러운 결과가 나왔다. 역시
아비트 보드의 성능이 제일 우수한것으로 나왔다.



엔벤치결과에서는 예상과는 달리 야누스보드가 2위를 차지하였다. 그래픽카드는
오버를 안하고 디폴트상태로 측정한것이다.역시나 아비트보드가 최고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사실 보드성능테스트는 어떻게 객관적으로 보드의 성능을 측정할수 있는
자료가 될수는 있으나 실사용과 체감성능에는 산드라벤치 몇점차이로는 느낄수
없을지도 모른다. 물론 아비트 보드가 수치상으로 가장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지만
실사용에 있어서는 세가지 보드의 체감성능차이를 느낄수가 없었다.


 


9.보드의 장단점












장점



단점



1.저렴한 가격


2.6채널 사운드


3.하드디스크 자료복구기능


4.강력한 오버클럭능력


5.부팅없이 바이오스 업데이트



1.타보드보다 약간 떨어지는 성능


2.10.5배수 미지원


3.io전압및 코어전압설정문제


4.파워커넥터의 위치


5.강력한 램설정 미지원


6.노스브릿지의 쿨러부재



10.테스트를 마치며


테스트 하는 동안 백번넘는 시피유 탈장착이 있을정도로 여러번 보드를
바꾸어 보았고 다른 카드들도 많이 교환하면서 사용을 했었다. 그러면서
일어났던 문제가 윈도우2000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도 생기고 하였다.
야누스 보드 처음에는 그냥 단순히 저가형보드라고 생각했었는데 가격대
성능비가 괜찮은거 같다. 물론 몇가지 수정해야할 문제가 있는것 같다. 이런
문제점들만 조금 수정하여 나온다면 아주 좋을거 같다.


 


 












보드나라 KT133A 필드테스트 yanus KT133A 최종보고서입니다.저작권은 보드나라 ( www.bodnara.co.kr )와 김재학 테스터에게 있습니다.

글 : 김재학 테스터




 

내 용 작 성
 
 
 
  
  DNDCOM ASRock K7S41GX 필드 테스트 공지사항입니다 폭풍전야 2004-03-03 4113
  버그수정 완료, 글 작성 가능합니다. 감자나무 2003-08-27 3436
6712   다들 완료 하셨나요.. gsface 2004-03-14 3521
6711   해당보드에 라운드 케이블 써보셨나요? gsface 2004-03-13 3525
6710   다들 어느정도까지 진행하셨나요??? upset007 2004-03-10 3623
6709   [필드테스트]잘만 하드쿨러 ZM-2HC2 tim95 2004-03-08 3650
6708   첫번째 (보드스펙상 사무용이나 일반가정용관점에서 t.. joom77 2004-03-07 3977
6707   작성자가 게시물을 삭제 하였습니다 gsface 2004-03-06 3515
6706   일단 제품만 대충 살펴보았습니다~ upset007 2004-03-06 3783
6705   다른 분들은 벌써 시작하셨나봐요? upset007 2004-03-06 3276
6704   필드테스터 일정 joom77 2004-03-05 3116
6703   드디어 도착했군요 오늘은 일단 쉬고 내일부터 joom77 2004-03-04 3201
6702   아무 글도 안올라 오길레 게시판도 살릴겸 글 올려요~ upset007 2004-03-03 3466
6700   이상하네요 아래 필테 자료 다시... hi79 2003-11-30 3459
6699   [필드테스트] 가격대 성능비 굿 ~~ ASRock P4VT8 hi79 2003-11-30 4867
6698   질문있어서~~~ hi79 2003-11-20 3646
6697   휴..오늘 새벽에서야 겨우 글을 올렸네요, 늦어져서 .. mrpardon 2003-09-09 3395
6696   사용기 업로드가 조금 늦어질 것 같아요.. mrpardon 2003-09-03 3654
6695   [FX 5200 Ultra power]다들 필테하고 있나요? hy0415 2003-09-02 3533
6694   [FX 5200 Ultra power]다들 물건 왔나요? hy0415 2003-08-30 3531
 1 
결과내 재검색
* 작성자 검색은 2003년 7월 이전 글은 '이름'으로, 2003년 7월 이후글은 'ID'로 검색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