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기는
그리 크지 않으며 기판에 빈자국이 없어 설계시의 사양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는걸 느낄수 있었습니다..
사진에는
바이오스롬이 2개 꼽혀있지만(설계시 트윈바이오스를 고려했나봅니다)..
실제로는 바이오스는 하나이며 하나는 공간만 있구 메꿔져
있습니다.
대용량의 콘덴서를 많이 채용해서 전압을 안정성엔 문제가 없으며...전체적으로 조립시 전혀 문제가 없었습니다.
세부사항
E-IDE커넥터는
마스터 세컨더리 모두 파란색과 흰색으로 구분해놓아 편리하며 플로피
커넥터는 세로로 위치되어 있으나
조립에 별다른
분제점은 없었습니다
램슬롯은 3개이며
AGP카드에 충분히 떨어져 있고, 대형의 VGA인 부두 4,5 시리즈 장착시
조금은 문제가 될것같습니다만..
무난한 보통의
VGA를 사용한다면 문제없으리라 봅니다
소캣주변은 넓어서
알파pep66은 힘들겠지만 수냉셋은 장착이 가능한 충분한 공간이 있습니다...
노스브릿지는
VT8363를 사용하여 FSB133이 가능하며...메뉴얼에는 160MHZ까지도 오버가능하다
했으나
브릿지 위에 양면테이프로
붙여있는 방열판으로는 힘들어 보입니다...
사우스브릿지는
686B를 사용해 ATA100이 지원가능하며
쿨러공급소켓은
CPU, CASE 그리고 파워팬 총3개가 제공되며 CMOS상에서 체크가
가능합니다...
오버클럭을 위한 딥스위치는 배수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FSB를 위한 설정은 점퍼로 100,133 중에 선택이 가능합니다...
확장슬롯은 AGP슬롯이 1개 제공되며
PCI슬롯은 5개,특이하게 ISA슬롯이 1개 있는데 구형기기를 가지신 분들에세
좋은 잇점이 될것 같군요
그리고 거의 쓰이지 않는 AMR슬롯이
있는데 차라리 이걸빼구 PCI슬롯을 하나 더 늘렷으면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백패널은 기본적인 PC99사양입니다...한가지
특징이라면 저가의 AC97 내장사운드가 아니라 6채널(5.1CH)까지 지원하는
CMI8738칩이
내장되어 있어 별도 사우드카드가
필요없이 맑고 깨끗한 소리를 내줍니다...물론 6채널 구성를 위한 브라켓이
별도가 아니라
기본으로 제공되는점 또한 주목할만한
특징이라 할수있습니다...
바이오스는 AWARD BIOS를 사용했으며...
제조사의 바이오스 업데이트는 샘물홈피나 체인텍 홈피를 보면 자주
업데이트 되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5. 테스트사양
제조회사
사양
CPU
DURON 650MHz
AKBA 0030주차
TC-6800(6800RPM) COOLER
MAINBOARD
야누스 KT133A(CHAINTECH 제조)
RAM
PC133 128M SDRAM
VGA
TRIDENT BLADE 3D 8M
HDD
DiamondMax VL 40 34098H4/U4-40.9GB
CDROM
CRD-8523B 52X CDROM
NIC
REALTEK 8139C
SOUND
CMI 8738
6. 각종테스트결과
테스트조건
OS: MicroSoft Windows 98se
SisSoft Sandra version 2001.3.7.50
Via
4 in 1 4.32 정식
다이렉트X 8.0 한글판
CPU정보
부팅속도 자체가 asus a7v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 a7v는 모니터가 켜지기도 전에 윈도우 진입준비를
하고
있었는데(같은 주변기기에서 부팅 약 1분10초), 야누스 경우 약 4-5초
내외의 지연이 있었습니다..
산드라 테스트
분석
기존에 쓰던 A7V와의 수치상의 특이점을
전혀 찾지 못했으며...
메모리 설정을 2-2-2로 할수 없는것이
아쉬웠다
7. 오버클러킹테스트
테스트조건
OS: MicroSoft Windows 98se
SisSoft Sandra version 2001.3.7.50
Via
4 in 1 4.32 정식
다이렉트X 8.0 한글판
CPU 정보
DURON 650@800 값입니다
(100*8.0)
전에 쓰던 보드는 ASUS A7V였습니다..같은
CPU로 오버 측정을 한 결과 A7V에서는 배수오버만으로 850까지
되었으나 야누스 보드에서는 800까지 밖에 되질 않습니다.. 배수를
8.5로 고정하고 부팅하니 바로 BIOS CHECKSUM ERROR가 뜹니다...
전압은 1.85V입니다... FSB오버는
전배수에 걸쳐 불가능했습니다... 아마도 코어상태가 좋지 않아서 그런듯
합니다...
산드라 테스트
분석
메모리 벤치를 보면 이상하게 오버시나
노오버나 수치가 같게 나옵니다...
3번에 걸친 값이 같게 나온걸 보면..
그리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것 같습니다..
뛰어난 오버능력을 보여주지는
못하지만...비슷한 사양의 보드중에서
배수조정 설정으로 제한적인 오버클러킹을
할 수있다는 점에서
(CMOS상으로는 FSB,VCORE전압조정가능) 주목할
만하나 IO전압과 4-Way Interleave설정항목이 없으므로 램 최대성능을
이끌어 낼수 없는 부분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8. 내장사운드테스트
메뉴얼에는 6채널이라구 써 있지만 정확히는 5.1채널입니다...
보드에 내장된 칩셋인 8738또한 여러 계열이 있는데
야누스보드에 내장된 칩은 가장 최신의 칩셋인 5.1이 기본 지원되는 CMI 8738/PCI-6CH-LX칩을 씁니다..
CMI8738 칩은 다른 보드에 내장된 보드의 AC97과는 달리 사우스브리지에 이용된 AC97 코덱을
사용하는 것과
별도의 DSP를 사용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AC97(Audio Codec 97) 은 인텔이 기반이 되어 구축한 사운드 처리 기술로, DSP의 역할을 사우스브리지와 PCI버스로
연결된 CPU가 DSP의 역할을 하며
여기에 AC-link로 연결된 아날로그 코덱을 추가하므로서 동작하는 형태로 DSP대신의 저가격의 코덱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재 AC97 2.2까지 발표되어 있습니다.
이 AC97은 특정한 칩을 가리키는 말이 아닙니다.. 말 그대로 규격 이죠.. 비아나 인텔칩셋이 따라가는 규격...
대부분의 사운드카드에서도 AC97코덱을 탑재합니다. 음..잡설이 길었는데.. 온보드 AC97코덱은 현재로서는 4채널 까지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와는 달리CMI 8738L 시리즈를 온보드 한 경우에는 6채널 출력이 가능하게 되어 있습니다...(케벤에서
발췌)
바로 브드를 수령하기 전에 사용하던 카드는 사블 PCI 128 이었습니다... 일반적인 사운드 카드라 할수 있습니다...
스피커는 오자키 누크 리브라 입니다.. 우퍼포함된 2.1채널이져... 그냥 이 스피커를 꼽고 2채널루 들어두 음질은 나무날대가
없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5.1을 포기 할수는 없습니다...큰맘먹고 먼지를 뒤집어쓴채 놓여있는 전축과 스피커를 들고왓습니다...오디오라
하기에는 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