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SLI를 위해 태어난 Leadtek WinFast PX6600 GT TDH Extreme SLI Premium Pack

2005-03-30 11:25
이우용 수석기자 guyg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guygun@bodnara.co.kr

 

NVIDIA는 불과 얼마전에 GPU 2개를 하나로 묶어 보다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술을 발표하였다. 그 기술은 SLI(Scalable Link Interface)로 과거 VooDoo2에 사용되었던 SLI(Scan Line Interleave)를 떠올리게 된다. 그 당시에도 2개의 그래픽 카드를 연결하여 비록 이론상의 2배 성능 향상은 아니었지만, 1개를 이용할 때 보다 상당히 좋은 성능을 발휘했던 기억이 있다.

그 SLI 기술이 NVIDIA에 의하여 다시 재현되어 현재 그 막강한 성능을 맛보려는 여러 사용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그러나, SLI를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외부 슬롯 형태가 PCI-Express x16인 슬롯 2개(SLI 구성시 내부 동작은 x8 + x8)를 갖춘 메인보드가 필요하며, SLI를 지원하는 2개의 그래픽 카드를 연결해주는 골드핑거 또한 필요하다.

현재 AMD64 939 소켓의 CPU를 지원하는 nForce4 SLI 칩셋이 SLI 구성을 해볼 수 있으며, 조만간 인텔이나 SIS, VIA, ALi(ULi) 등의 호환 칩셋들도 지원할 예정에 있다.

그러나, nForce4 SLI 칩셋을 적용한 메인보드들의 경우 그래픽 카드 2개를 연결해주는 골드핑거가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지만, nForce4 Ultra 칩셋에 PCI-Express x4 슬롯이나 PCI-Express x16 슬롯을 하나 더 추가한 유사 SLI 구성 메인보드들의 경우 골드핑거를 쉽게 구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SLI 구성이 상당히 어려운 실정이다.

오늘 소개할 Leadtek WinFast PX6600GT TDH Extreme SLI Premium Pack은 SLI 구성에 꼭 필요한 구성 요소인 골드핑거를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다.

 

제품명

Leadtek WinFast PX6600 GT TDH Extreme
SLI Premium Pack

GPU

NVIDIA GeForce 6600GT

코어 클럭

550MHz

메모리 클럭

SAMSUNG GDDR3 SDRAM 1.6ns 560MHz (DDR1120)

메모리 버스

128bit

인터페이스

PCI-Express x16

출력

D-SUB, DVI, TV-OUT

제조사 / 유통사

Leadtek (http://www.leadtek.com)
(주)리더스CNS (http://www.leaderscns.com)

 

Leadtek은 항상 국내에 다른 그래픽 제조사들보다 빠르고 조금은 독특한 제품들을 내놓기로 유명한데 이번에도 어김없이 SLI 골드핑거를 포함한 그래픽 카드 패키지를 내놓아 유사 SLI를 지원하는 메인보드에서도 비교적 큰 제약없이 SLI 구성을 시도해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ASUS사의 메인보드는 슬롯의 공간이 비교적 넓어 전용 SLI 골드핑거를 구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다른 제조사들의 경우 제공되는 골드핑거와 길이가 같으므로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면, 지금부터 골드핑거를 기본으로 제공하는 Leadtek의 6600GT SLI Premium 제품을 살펴보도록 하자.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앙? / 05-03-30 12:12/ 신고
첫번째. PCI-X 16x 를 두개나 장착한 메인보드는 타이얀의 메인보드가 유일합니다. 일반적은 nforce4 SLI 는 8x 가 2개 입니다. -_- (8x+8x)..

따라서 16x 가 두개인 메인보드라는 말은 틀렸습니다.

그리고 Vidia 가 nforce4 SLI 이외의 칩셋에 대한 SLI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중단했고, 그 기능을 차단하고 있으므로...... 실제 이것을 nforce4 Ultra 에 장착하기 위해 구입하는 유저는 없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알다시피 성능에 많은 문제가 있죠. 과연 리드텍이 그런 유저를 위해 ... 골드핑거를 포함했다고 생각하십니까?..

글쎄 의문입니다...
로잘리 / 05-03-30 12:16/ 신고
앙?님의 말씀에 부정확한 부분이 있습니다

PCI-Express 16x 슬롯은 있습니다 싱글로 쓸 때 16x이며, 듀얼로 전환할때는 양 슬롯이 8x로 전환되게 됩니다
앙? / 05-03-30 12:44/ 신고
그런데.. 로잘리 님의 말도 부정확 하지 않습니까?

본문에는

'PCI-Express x16 슬롯 2개를 갖춘 메인보드가 필요하며,'

라고 되어있습니다. 두개합쳐서 16x 가 되는거지.. 16x 슬롯을 2개나 갖춘 메인보드는 타이얀 밖에 없습니다..-_-
pg13 / 05-03-30 13:49/ 신고
'PCI-Express x16 슬롯 2개를 갖춘 메인보드가 필요하며,'
위의 문장은 맞는 것으로 보입니다. 카드가 모두 x16에만 낄수 있도록 되어 있으니,물론, 내부에서 데이터 처리는 8X는 하향되지만..
즉, 외부슬롯은 x16 슬롯 2개 필요, 내부 처리는 x8로 동작 이 맞을듯^^ 타이얀 보드도 내부도 모두 x16 으로 2개 모두 작동되나요? SLI에서?
pg13 / 05-03-30 13:51/ 신고
'PCI-Express x16 슬롯 2개를 갖춘 메인보드가 필요하며,' 문장은 내부처리가 아닌 외부 슬롯의 형태를 지칭하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내부에서 처리가 x1 이든 x16 이든...-_-)a
viper2 (ID)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03-30 15:22/ 신고
작성자인 viper2입니다.

앙?님이 지적하신 부분은 pg13님의 말씀대로 외부 슬롯 형태인 pci-express x16이 2개라는 의미이며, 내부 동작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SLI 메인보드들 공통적으로 외부 형태가 pci-express x16인 슬롯을 2개 제공하지만, 셀렉트 카드로 싱글 구성시 슬롯 하나의 내부 동작은 x16이고 SLI 구성시 2개 모두 x16 작동이 아닌 8x + 8x입니다.

그리고 엔포스4 울트라 칩셋의 경우 개조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많지는 않지만 있을 것이고 이럴 경우에 장점이 될 수 있다는 부분을 언급하고자 하였습니다.

현재 dfi 엔포스4 울트라 제품을 제외하고 대부분이 pci-express x4를 제공하여 유사 SLI 구조가 가능하지만 실제는 x2로 작동되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칩셋을 개조해도 SLI와 완전하게 동일한 성능이 나오지는 않습니다.

외부 슬롯 형태인을 덧붙여 글을 수정하도록 하겠으며, 내용상의 표현으로 인해 혼란을 주지 않도록 주의하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지적 부탁드리겠습니다.
낭만청년 (ID) / 05-03-30 16:03/ 신고
오타지적이라... 제품에 대한 말은 한마디도 없군요
제가 이제품 가격은 모르지만 40만원초반~중반으로 매겨질듯합니다(다나와지금확인하니 45만5천원 매리트가엄청 없는 가격 골드핑거추가라지만...) 솔직히 어디 벤치를 보니 8x 2개를 사용하는 것보다 40~50만원짜리 16x짜리를 쓴것이 거의 성능차이가 없는 것을 봤습니다(모델은 명확히 기억이 안나서...) 또 sli구성의 큰문제중의 하나인 소음 이것또한 문제가 이지요...
핑클안티 / 05-03-30 21:34/ 신고
sli 꼭 필요한 건가요 ?
gameboy (ID) / 05-03-31 0:19/ 신고
그럼 전 걍 6800 1개 사서 X16으로 쓸래요. ㅎㅎㅎ
redcurse (ID) redcurs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03-31 1:03/ 신고
XGI 로드맵보니까
2006년에 PCI-E II라고 되어있더군요
5~6GHz를 사용하는 PCI-E가 나오는게 아닐까하는 ^^
resume (ID) / 05-03-31 9:29/ 신고
가격이 45만원이라면 전혀 메리트가 없다고 봅니다.
차라리 번들 줄이고 가격을 38-40만정도로 해야 경쟁력이 있겠네요.
gipple (ID) / 05-03-31 10:57/ 신고
욜라 좋긴 하네요.
makeat / 05-03-31 11:23/ 신고
듀얼 GPU가 들어간 제품(비싸겠지만..싸지면)을 구매해서 16X로 쓰는것이 현명한듯...;;;
김완수 / 05-03-31 15:34/ 신고
제 생각에는 SLI구성에 대한 메리트가 없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6600GT SLI구성이 6800GT의 싱글보다 빠른 것도 아니고(이미 여러 벤치마킹에서 증명되었죠. 뭐 드라이버 미비라지만 혁신적인 성능향상은 거의 기대하기 어렵겠죠.) 가격적인 면에서 메인보드가격까지 생각한다면 가격대비 성능을 요구하는 일반유저 입장에서는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6800울트라를 SLI로 써서 현존하는 최고라는 정도가 아닐까 합니다. 마치 AMD 64 FX가 일반인들한테 별로 와닿지 않는것과 마찬가지가 아닐까요? 아무튼 SLI에 기대할 건 별로 없는거 같습니다.
으음 / 05-03-31 16:07/ 신고
앙?님의 말씀중 또 다시 잘못된 부분이 있습니다.

Ultra-D의 경우 개조를 하면 칩셋 자체를 SLI로 인식합니다.

엔비디아 칩셋 드라이버 자체가 nForce 4 SLI로 인식하는 이상 드라이버로 막을 방법은 없겠죠

NVIDIA가 드라이버상에서 막는다는것은 그래픽카드 1장에 2개의 코어를 박아넣은 제품들 기준인것으로 알고있습니다. -_-
별로.. / 05-03-31 20:43/ 신고
sli는 실제 보편화되긴 무리가 있습니다. 성능또한 3dmark 점수놀이가 아닌한 몇몇 게임을 빼면 별 성능향상도 없습니다.
그돈으로 6600gtsli보단 6800gt나 x800싱글을 권합니다.

sli는 얼굴마담용이죠. n사의 다음 차기코어 출시전까지 r520에 대응하는...
ilstar (ID) il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03-31 20:52/ 신고
SLI가 하드웨어 유저에겐 욕망일 수 있다고 봅니다. 싱글로는 나올 수 없는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매력적으로 다가오지만, 실질적으로 과연 SLI를 구성하는 것과 싱글로 가는 것과 어떤게 더 메리트가 있을까 하는 겁니다.
SLI를 구성하려면 일단 20만원 중반의 마더보드와 GT 2개 40만원 중반으로 총 70만원이 소요되는 엄청난 가격의 압박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실질적인 성능은 두배가 160~170%로 나옵니다. 그러다 보면 싱글로 구성하는 메인보드만 못한 결과도 나오게 됩니다. 한번쯤은 SLI와 싱글로의 벤치마크를 해 봄직하다 생각합니다.
일단 골드핑거가 지원된다니 반가운 일이네요..
소마왕자 / 05-04-14 2:15/ 신고
이제품사서 노말로 테스트했는데 05에서 6600정도 나왔습니다.....
오버하면 조금더 성능향상이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제가 리니지2를 하는데 기란말에서 사람들은 바로바로 뜨는거 같은데요.....
만족은 합니다...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3/30] 로보락 S9 MaxV Ultra, GS홈쇼핑 판타지에스 특집 방송 진행  
[03/30] 플레인비트-나루씨큐리티, 디펜더 서밋 2025 개최  
[03/30] 넥슨, 메이플스토리 2025 여름 ‘어셈블’ 쇼케이스 6월 7일 개최  
[03/30] ‘고출력 파워의 새 기준’ 마이크로닉스, WIZMAX G 80PLUS 골드 ATX 3.1 시리즈 출시  
[03/30] 넥슨 ‘FC 모바일’, Apple과 함께 오프라인 이벤트 ‘Today At Apple’ 진행!  
[03/30] 스텔라 블레이드 PC 버전 출시일과 사양 공식 발표  
[03/30] 에픽게임즈 스토어, 에픽 메가 세일 2025 시작  
[03/30] 하만, 넥쏘에 채택된 오디오 바이 뱅앤올룹슨 사운드 시스템을 통해 동급 최고 수준의 프리미엄 청취 경험 선사  
[03/30] 지클릭커, 풀윤활 카일 LP 스위치로 최고의 키감 구현한 SPK80 무선 키보드 출시  
[03/30] MSI, 다수의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03/30] PC 이용자를 위한 더 편하고 쾌적한 조명, 벤큐 스크린바 헤일로2 출시 간담회  
[03/30] 토탈 이미징 솔루션 기업으로 이어진 40년, 캐논코리아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  
[03/30] 유니씨앤씨, 5월 16일 오전 11시, 가정의 달 특집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 LIVE 진행  
[03/30] MSI, 컴퓨텍스 2025에서 획기적인 PC, 메인보드 라인업 공개  
[03/30] MSI, COMPUTEX 2025에서 다수의 수상 영예  
[03/30]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GRADIUS’ 40주년 기념 ‘GRADIUS ORIGINS’ 음원 공개  
[03/30] PC업계가 게이밍 마케팅 꿀을 그만 빨고 새로운 메시지를 내놓아야 하는 이유  
[03/30] 탁상 위 프리미엄 냉방 혁신, 디앤디 ‘라이브박스 탁상용 서큘레이터’ 출시  
[03/30] 뉴트리불렛, ‘울트라 플러스(Ultra Plus+)’ 출시  
[03/30] 뷰소닉, 무선 미러링 캐스트 ‘뷰쉐어(WPD-900)’ 출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