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7NCR18D-Pro는 nForce2를 장착하였다는것을 제외하고 제품자체는 평이한 편이다. 별도로 특별한기능이 제공된다거나 하는것은
없다. 물론 이는 nForce2 자체가 대부분의 기능을 내장화하는 칩셋이기 때문도 하다. 이제부터 제품 자체를 들여다보는 기회를
가져보도록 하자.
Chipset
이전장에서 말씀드렸듯, K7NCR18D-Pro 는 조합3 (SPP + MCP-T)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참고로 국내에서는 K7NCR18D 모델도 출시될 예정인데 이는 조합4 (SPP + MCP)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Leadtek 사에서 제조한 IGP장착 버전은 공급되지 않을 예정이다.
Leadtek을 제외한 몇몇 회사에서도 현재 nForce2의 출시를
저울질중이지만 IGP 장착제품의 출시는 확실치 않다. (ASUS는 출시할것으로 보이지만 ㅡㅡ) 참고로 2주안에 Leadtek 아닌
다른회사의 nForce2 IGP 장착제품이 보드나라에 입수될 예정이니 IGP부분에 관련된 부분은 그때 다시 생각해보도록 하자.
nForce2 SPP는 이전에도 말씀드렸듯, 그래픽코어가 제거된 것을
제외하고 nForce2의 기능을 그대로가지고 있다. nForce2의 장점인 TwinBank Architecture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공식적으로 DDR333, 비공식으로 DDR400 지원이 가능하다. 이는 뒤에서 다시 이야기하도록 하자. 어차피 TwinBank
Architecture가 가지고 있는 이점은 그래픽코어 내장의 IGP버전의 강점이므로 SPP 버전에서는 TwinBank의 장점을 느낄 수
없다. 또한 AMD는 DDR333에서 이미 메모리 대역폭을 전부 만족시키므로, 인텔의 Granite Bay에서 기대하는것 같은
성능향상또한 기대할 수 없다.
k7ncr18d-pro는 MCP-T를 장착하여 APU, IEEE1394,
USB 2.0등을 지원하며 K7NCR18D는 MCP가 장착되어있다.
DDR400까지 지원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
역시 nForce에서만 볼수있는 특이한형태의 메모리구조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K7NCR18D-PRO는 SPP 장착 제품이므로, TwinBank Architecture를 사용해도 성능상
별다른 장점이 없다. 이는 뒷장의 성능벤치마크에서 다시 보여드리기로 하겠다. |
특이한 점이라면 Memory Voltage Jumper를 내장하여
2.7V까지 메모리 볼티지 조정이 가능하다. nForce2는 공식적으로 DDR333지원이지만, nVIDIA에서는 'DDR400도
가능하다'라고 밝히고 있어 이것에대한 지원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점으로 보인다. 실제로 DDR400을 지원한다고 하는 제품은 전부 메모리
볼티지 조정기능을 전부 가지고 있다. 이는 거꾸로 DDR400이 아직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이야기한다고도 할 수 있다.
3-Phase Power Solution
3-Phase로 구성된 충실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2개의 MOSFET, 1개의
초크코일과 2 ~ 3개의 캐퍼시터가 1개의 전원부를 이루어 총 3개의 전원부가 구성이 되어있다.
외부버스
외부버스는 AGP 1개, PCI 4개, ACR 1개를 보유하고 있다. AGP
포트는 8X까지 지원이 가능하나, 현재까지 4X와 별다른 성능차이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어 당분간 8X가 자리를 잡으려면 시일이 걸릴것으로
보인다. PCI슬롯은 4개를 장착하고 있어 단순비교시 타제품보다 확장성은 떨어진다고 볼 수 있으며, 특이하게 1개의 포트를 ACR 포트로
사용하며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IEEE1394 확장카드를 비롯, 다양한 장치를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ACR포트의 다른 용도는 뒤에서
다시 이야기하도록 하자.
nForce는 이전부터 ACR포트를 꼭 채용한 것으로 유명한데, 엔지니어의
말에 따르면 ACR포트를 제거하는것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여하튼 nForce에서의 ACR은 쓸모없는 확장포트가 아닌, 다방면으로 확장할
수 있는 여지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IEEE1394 지원
제공된 ACR포트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인 IEEE1394 확장카드를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MCP-T를 장착한 K7NCR18D-PRO에서만 제공되는 IEEE1394 카드로, ACR용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메인보드의 ACR포트와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