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ComeBack nForce2!! Leadtek K7 NCR18D Pro

2002-11-12 01:13
장홍식 대표기자 potatotre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otatotree@bodnara.co.kr

3. Leadtek K7NCR18D-Pro - 레이아웃1



K7NCR18D-Pro는 nForce2를 장착하였다는것을 제외하고 제품자체는 평이한 편이다. 별도로 특별한기능이 제공된다거나 하는것은 없다. 물론 이는 nForce2 자체가 대부분의 기능을 내장화하는 칩셋이기 때문도 하다. 이제부터 제품 자체를 들여다보는 기회를 가져보도록 하자.

Chipset

이전장에서 말씀드렸듯, K7NCR18D-Pro 는 조합3 (SPP + MCP-T)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참고로 국내에서는 K7NCR18D 모델도 출시될 예정인데 이는 조합4 (SPP + MCP)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Leadtek 사에서 제조한 IGP장착 버전은 공급되지 않을 예정이다.

Leadtek을 제외한 몇몇 회사에서도 현재 nForce2의 출시를 저울질중이지만 IGP 장착제품의 출시는 확실치 않다. (ASUS는 출시할것으로 보이지만 ㅡㅡ) 참고로 2주안에 Leadtek 아닌 다른회사의 nForce2 IGP 장착제품이 보드나라에 입수될 예정이니 IGP부분에 관련된 부분은 그때 다시 생각해보도록 하자.

nForce2 SPP는 이전에도 말씀드렸듯, 그래픽코어가 제거된 것을 제외하고 nForce2의 기능을 그대로가지고 있다. nForce2의 장점인 TwinBank Architecture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공식적으로 DDR333, 비공식으로 DDR400 지원이 가능하다. 이는 뒤에서 다시 이야기하도록 하자. 어차피 TwinBank Architecture가 가지고 있는 이점은 그래픽코어 내장의 IGP버전의 강점이므로 SPP 버전에서는 TwinBank의 장점을 느낄 수 없다. 또한 AMD는 DDR333에서 이미 메모리 대역폭을 전부 만족시키므로, 인텔의 Granite Bay에서 기대하는것 같은 성능향상또한 기대할 수 없다.

k7ncr18d-pro는 MCP-T를 장착하여 APU, IEEE1394, USB 2.0등을 지원하며 K7NCR18D는 MCP가 장착되어있다.

 

DDR400까지 지원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역시 nForce에서만 볼수있는 특이한형태의 메모리구조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K7NCR18D-PRO는 SPP 장착 제품이므로, TwinBank Architecture를 사용해도 성능상 별다른 장점이 없다. 이는 뒷장의 성능벤치마크에서 다시 보여드리기로 하겠다.

특이한 점이라면 Memory Voltage Jumper를 내장하여 2.7V까지 메모리 볼티지 조정이 가능하다. nForce2는 공식적으로 DDR333지원이지만, nVIDIA에서는 'DDR400도 가능하다'라고 밝히고 있어 이것에대한 지원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점으로 보인다. 실제로 DDR400을 지원한다고 하는 제품은 전부 메모리 볼티지 조정기능을 전부 가지고 있다. 이는 거꾸로 DDR400이 아직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이야기한다고도 할 수 있다.

 

3-Phase Power Solution

3-Phase로 구성된 충실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2개의 MOSFET, 1개의 초크코일과 2 ~ 3개의 캐퍼시터가 1개의 전원부를 이루어 총 3개의 전원부가 구성이 되어있다.

 

외부버스

외부버스는 AGP 1개, PCI 4개, ACR 1개를 보유하고 있다. AGP 포트는 8X까지 지원이 가능하나, 현재까지 4X와 별다른 성능차이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어 당분간 8X가 자리를 잡으려면 시일이 걸릴것으로 보인다. PCI슬롯은 4개를 장착하고 있어 단순비교시 타제품보다 확장성은 떨어진다고 볼 수 있으며, 특이하게 1개의 포트를 ACR 포트로 사용하며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IEEE1394 확장카드를 비롯, 다양한 장치를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ACR포트의 다른 용도는 뒤에서 다시 이야기하도록 하자.

nForce는 이전부터 ACR포트를 꼭 채용한 것으로 유명한데, 엔지니어의 말에 따르면 ACR포트를 제거하는것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여하튼 nForce에서의 ACR은 쓸모없는 확장포트가 아닌, 다방면으로 확장할 수 있는 여지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IEEE1394 지원

제공된 ACR포트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인 IEEE1394 확장카드를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MCP-T를 장착한 K7NCR18D-PRO에서만 제공되는 IEEE1394 카드로, ACR용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메인보드의 ACR포트와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 / 02-11-12 1:18/ 신고
정말 쓰레기 제품이군요. --; 듀얼채널인데도 kt400에 비해 떨어지다니.. 심각하다.
하얀늑대 / 02-11-12 3:01/ 신고
애슬론XP 1700+은 2.1GB/s의 대역폭만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듀얼 채널 구성으로 생기는 큰 메모리 대역폭은 필요가 없습니다. 단지 2.1GB/s의 메모리 대역폭만 필요로 할뿐,, 그리고 CPU가 사용하고 남는 메모리 대역폭은 내장 그래픽 코어가 사용하게 됩니다.
-_-) / 02-11-12 12:35/ 신고
리뷰 잘 봤습니다~
이쭈깽 / 02-11-12 15:07/ 신고
-_-; 에고고..내 1600+의 중고로서 미래가 훤 하구먼...
하얀나라 / 02-11-12 15:25/ 신고
ㅜㅜ, 나두 1600+인뎅.. 그것도 내가 칼로 멋지게 긁어논거라..ㅡㅡㅋ
pierun / 02-11-12 15:27/ 신고
FSB333짜리 애슬론으로 테스트 해주시지.....
곽문영 / 02-11-12 17:59/ 신고
이보드 사는 사람이 내장 그래픽 코어에 만족할까요? 몇명이나 내장 그래픽 코어를 사용할지..
조성현 / 02-11-12 18:39/ 신고
I/O 쪽을 테스트하는데 왜 DTT곡선을 안쓰는지 원...
조성현 / 02-11-12 18:41/ 신고
또 CPU의 FSB를 올리던지 해서 333FSB를 적용시켰던게 좋았을것이라 생각되는군요
감자나무 / 02-11-12 20:23/ 신고
곡선캡처를 해놓지 않아 공개하지 못했습니다. ㅡㅡ;;; 참고로 이제품은 133FSB CPU를 166FSB로 오버클럭이 불가능합니다. 리뷰를 제대로 보시면 아시겠지만 배수조절 옵션이 없습니다. 그럼
Daem / 02-11-13 0:34/ 신고
all in one 형태로 나오고 가격도 적당하다면 이번기회에 업글을 단행해보렵니다...
관심이 / 02-11-13 10:09/ 신고
asus 제품은 cpu 배수 조절 가능.....
관심이 / 02-11-13 10:13/ 신고
<a href=http://www.ocworkbench.com/2002/asus/a7n8x/a7n8xgallery1.htm target=_blank>http://www.ocworkbench.com/2002/asus/a7n8x/a7n8xgallery1.htm</a>
^^ / 02-11-13 10:23/ 신고
실제로 써봐야 알지 수치만보고는
허접분들 / 02-11-13 10:25/ 신고
벤치마킹테스터해보고 난다음 글올리지요 허접 쓰레기 같네요 ^^
케이 / 02-11-13 20:08/ 신고
솔직히 내장 그래픽 코어만 쓸만하다면 메리트가 있을텐데..^^
yookjy / 02-11-18 9:26/ 신고
차후 배수조절이 지원된다면 괜찮을 듯한 보드...
heaye / 02-11-20 1:40/ 신고
바보 엔포스.--.
소나무 / 02-11-20 12:30/ 신고
엔포스 우습게 보면 안될제품인듯 합니다. 브박에서 동기화된 FSB333의 성능은 같은스펙의 KT400을 경악할 성능으로 압도했습니다. 테스터나 유저들 모두 놀랬지요.. 직접 확인해보시구요. 앞으로 FSB333 예슬론이 나온다면 이제품의 파장은 대단할듯 합니다. 조사해 보시지요. 대단합니다. ^^
납득... / 02-11-20 20:17/ 신고
그렇지만... nForce2의 메모리 대역폭의 한계는 2.7GB/s이고 적어도 400MHzFBS의 애슬론이 나오지 않는다면 DDR400도 무의미해집니다... 아마... 추후에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펜4용 nForce가 나온다면... 얘기는 달라지겠죠... 최소한 4.2GB/s의 엄청난 대역폭을 펜4는 갖게되는 셈이니...
납득... / 02-11-20 20:20/ 신고
nForce2가 DDR333일 때 5.4GB/s의 대역폭을 DDR400일 때 6.4GB/s의 대역폭을 갖는다고 해도 지포스4 MX 420정도의 그래픽코어에 만족할 만한 사람들이 nForce2를 찾을까요?... 그런 사람들은 대부분 IGP보다 SPP를 더 선호할 것 입니다... 그렇게 되면 5.4GB/s - 2.7GB/s = 2.7GB/s의 대역폭은 낭비된다는 뜻이죠... 그렇기 때문에 nForce2가 KT400보다 우수한 결과를 낳게된 이유는 Twin Bank에 의한 것이 아니라 DASP에 의한 것이라 추정되고 있습니다...
납득... / 02-11-20 20:32/ 신고
DASP가 만약 nForce2에 적용되지 않았다면 성능은 KT400과 동일했다고 보아도 될것으로 추정되고 Twin Bank에 의한 5.4GB/s ~ 6.4GB/s의 대역폭은 내장 그래픽코어를 위한 것 뿐이지 결코 KT400과의 성능비교에서 좋은 성능을 내는데 기여한 점은 아닙니다... 어차피 애슬론XP가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은 2.1GB/s ~ 3.2GB/s일테고 Twin Bank에 의한 5.4GB/s ~ 6.4GB/s대역폭은 무의미 한 것이죠... 이정도의 대역폭은 KT400으로도 충분히 2.1GB/s ~ 3.2GB/s의 대역폭은 나올 수 있죠... 그렇다고 해서 nForce2가 나쁘다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적어도 DASP에 의한 성능 결과는 무시할 수 없는 수치니까요...
납득... / 02-11-20 20:39/ 신고
이번에 KT400에 애슬론XP로 업글 할려고 했는데... nForce2때문에 ASUS제품이 한국에 정발 될 때까지 기다려야 겠네요..ㅠ.ㅠ ASUS꺼는 배수조정도 지원되고 오버클록킹 하는데도 꽤나 괜찮으니...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11/12]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90 FE 둠 더 다크 에이지스 에디션 공개  
[11/12] 소니 PS5 가격 세 번째 인상 카드 꺼내나?  
[11/12] 넷마블 신작 세븐나이츠 리버스, CU와 제휴 이벤트 실시  
[11/12] 소리샵, 파이널(Final)의 프리미엄 유선 이어폰 S5000 출시  
[11/12] 웨스턴디지털, 인그라시스와 AI 워크로드 대응 위해 고성능 패브릭 연결 분산형 스토리지 공동 개발  
[11/12] 로보락 S9 MaxV Ultra, GS홈쇼핑 판타지에스 특집 방송 진행  
[11/12] 플레인비트-나루씨큐리티, 디펜더 서밋 2025 개최  
[11/12] 넥슨, 메이플스토리 2025 여름 ‘어셈블’ 쇼케이스 6월 7일 개최  
[11/12] ‘고출력 파워의 새 기준’ 마이크로닉스, WIZMAX G 80PLUS 골드 ATX 3.1 시리즈 출시  
[11/12] 넥슨 ‘FC 모바일’, Apple과 함께 오프라인 이벤트 ‘Today At Apple’ 진행!  
[11/12] 스텔라 블레이드 PC 버전 출시일과 사양 공식 발표  
[11/12] 에픽게임즈 스토어, 에픽 메가 세일 2025 시작  
[11/12] 하만, 넥쏘에 채택된 오디오 바이 뱅앤올룹슨 사운드 시스템을 통해 동급 최고 수준의 프리미엄 청취 경험 선사  
[11/12] 지클릭커, 풀윤활 카일 LP 스위치로 최고의 키감 구현한 SPK80 무선 키보드 출시  
[11/12] MSI, 다수의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11/12] PC 이용자를 위한 더 편하고 쾌적한 조명, 벤큐 스크린바 헤일로2 출시 간담회  
[11/12] 토탈 이미징 솔루션 기업으로 이어진 40년, 캐논코리아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  
[11/12] 유니씨앤씨, 5월 16일 오전 11시, 가정의 달 특집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 LIVE 진행  
[11/12] MSI, 컴퓨텍스 2025에서 획기적인 PC, 메인보드 라인업 공개  
[11/12] MSI, COMPUTEX 2025에서 다수의 수상 영예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