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는 ASUS A8R32-MVP Deluxe가 기존에 발표되었던 A8R-MVP와 비교하여
어떤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알아보도록 하자.
A8R32-MVP Deluxe
CrossFire를 지원하는
ASUS의 A8R-MVP와는 몇 가지 부분에서 변화를 느낄 수가 있는데 전원부나 주변부에 사용되던 캐패시터가
필름형에서 고급형 캔타입으로 교체되었으며, 쵸크 코일도 역시 노이즈가 적은 박스 타입으로 교체되었다. 기판의 색상도
고급스러운 검정색을 적용하였다.
또, A8R-MVP에 보여지던 근접한 PCI-Express x16 슬롯 2개도 PCI 슬롯 하나
뒤에 위치함으로써 쿨러의 크기와 높이가 높은 경우 CrossFire 구성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A8R32-MVP Deluxe는 고급형 메인보드에 어울리게 ASUS 고급형 메인보드들에 적용되는
STACK COOL2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STACK COOL 2 기술은 메인보드 PCB 뒷면은 상단에 위치한
컴포넌트들에서 발생한 열을 PCB 전체로 분산하여 발열을 빠르게 해소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ATI Radeon Xpress 3200 (RD580)은 다이 사이즈는
39mm2의 크기를
가지며, 22만여개에 이르는 트랜지스터가 내장되어 있다. 제조 공정은 TSMC의 0.11nm공정으로 기존 RD480의
0.13nm 공정보다 향상되었고 8와트 정도를 소비하게 된다. 총 40개의 PCI-Express lane을 제공하는데
32개의 lane은 PCI-Express x16 + x16의 구성에 사용된다.
사우스브릿지는 ULI M1575가 사용되었는데 ATI IXP450(SB450)이 가지던 USB와
PCI 성능 문제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메인보드 회사들이 ULI 칩셋을 선호하여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
S-ATA II (3Gbps)를 지원하고 Native Command Queuing(NCQ), RAID 0, 1, 0+1,
5 그리고 JBOD를 지원하며, High Definition Audio(Azalia) 기능을 지원해준다. 4개의 PCI-Express
lane을 지원하여 RD580과 연결되어 데이터 교환에 사용된다.
발열량이 그리 높지 않은 칩셋들 이기때문에 방열판으로 충분히 발생하는 발열들을 해결할 수 있다.
전원부는 기존 A8R-MVP와 마찬가지로 3Phase의 구성을 그대로 이어받고 있으며, 모스펫에
방열판을 적용한 것도 외형적으로 보았을 때는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대신 출력부에는 필름형 캐패시터에서 고급
캔타입의 캐패시터의 적용과 쵸크코일에서 노이즈가 상대적으로 적은 박스타입으로 교체되었다.
전원부는 비록 3Phase의 구성으로 같지만, 오버클럭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알려진 ATI
Radeon Xpress 3200 (RD580) 칩셋을 뒷받침하기 위해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메모리 지원은 총 4개의 슬롯을 제공하여 동일한 색상의 슬롯에 동일한 스펙, 용량, 제조사의
제품을 사용하면 듀얼 채널 메모리 구성을 할 수 있다. AMD Athlon64는 CPU에 메모리 컨트롤러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메모리 지원은 이에 따른다. 단면을 기준으로 총 4기가의 un-buffered 메모리를 지원하고 있다.
[ATI Radeon Xpress 3200 (RD580)에서 40개의 lane을
지원한다.]
확장 슬롯은 A8R-MVP와 동일하게 PCI-Express x16 슬롯 2개와 PCI-Express
x1 슬롯 1개, 그리고 PCI 슬롯 3개를 제공한다. 대신 PCI-Express x16 슬롯 2개의 사이에 PCI-Express
x1 슬롯과 PCI 슬롯을 배치하여 잘만이나 사일런서와 같은 그래픽 카드 쿨러의 높이로 인한 CrossFire 구성의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 A8R-MVP은 NVIDIA의 nForce4 SLI 초기 메인보드들과 비슷하게
CrossFire를 구성하지 않은 Single 환경에서 그래픽 카드 하나만 사용할 경우 Switch-Card를 제공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A8R32-MVP Deluxe는 노스브릿지에서 총 40개의 lane를 지원하고 PCI-Express x16 +
x16 lane을 사용하므로 어떤 슬롯을 사용하던지 Switch-Card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 외에 S-ATA 포트 부분의 위치 변화를 제외하고 기본적인 구성은 크게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다. 프론트 패널의 경우 색상을 통해 구별하고 커넥터에 해당 포트의 글을 인쇄하여 놓아 설치의 편의를 높이고 있다.
FDD 커넥터는 눕혀놓은 상태로 사용에 따라 편리하기도 불편하기도 하다.
지원되는 기능은 Deluxe라는 이름 만큼 풀스펙에 어울리는 구성을 지원하는데 듀얼 기가비트
이더넷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Gigabit PHY인 Marvell 88E8001 칩셋과 PCIe 기반의 Marvell
88E8053 칩셋을 적용하였다.
사운드는 ULI M1575 사우스브릿지에서 지원하는 High Definition Audio를
지원하기 위해 HD Audio 코덱인 Realtek의 ALC882를 사용하였으며, 8채널의 지원과 백패널을 통하여 S/PDIF와
Coaxial 출력을 모두 지원하고 있다.
IEEE1394a는 Ti TSB43AB22A 칩셋을 사용하여 지원하고 있다.
S-ATA 지원 기능은 추가로 Silicon Image Sil3121CNU 칩셋을 사용하여
S-ATA II를 지언하는 한 개의 포트와 SATA on the Go를 지원할 수 있는 외부 포트를 백패널에 추가로
제공한다.
|